Three Worlds' Dialogue
삼속(三俗)의 담(談)


Three Worlds' Dialogue

Three Worlds' Dialogue is an omnibus-style film project comprising three volumes: Bipedal Human's Stride, Between Trees and Silent Transformation. The work explores the material foundation of technological media, humans, and nature discovered in the contemporary secular city. In fact, cutting-edge tools, too precise and transparent, were not suitable for the quest of today’s secular world. The material base of the present day as captured by advanced technologies is excessively polished and defined, to the extent that it functions more like an opaque layer, obscuring and omitting countless elements. In our earthly world characterized by its roughness and irregularities, both state-of-the-art and outdated technologies coexist in various forms. Our examination of today’s secular city is inevitably grounded in the material conditions of these technologies. By strolling through and across the paths offered by technologies, we wished to shift the habitual method of viewing and exploring the world.

The first outcome of our pursuit is Bipedal Human’s Stride. From our family albums, we collected a total of 4000 printed photos, which were then re-photographed, one by one, with a Super 8mm film camera. When we subsequently played the entire rolls of film as a video, set at fast speed, the forms and colors captured in the photos blurred to create afterimages. 4000 photographs with backgrounds and figures of respectively different times cannot converge into a single scene, even when similar pictures are grouped together. These photo images that can be put together but not blended into a collective one continue to appear and disappear as hazy image fragments.

In the fast-paced video playback, only the sprocket holes of the film remain distinct, while an individual’s memories and impressions fade away. The sprocket holes direct our attention to the material conditions of the technological media of the time, conditions that went unnoticed when we were viewing the photographs adhered on the albums. Specifically, we are guided to speculate on the environments and economic circumstances in which the photographer took and developed the pictures. We certainly do not disclose his narrative, since we can all share dissimilar experiences and thoughts about the conditions of film camera usage around 45 years ago through the sprocket holes on each photo image. As the children of the breadwinner who purchased the camera, Moojin Brothers focused their gaze on the financial concerns their father must have had when making the difficult choice to buy the paraphernalia, concerns that led to the family in the end. This is because they reflect our helpless reality in which we stand swayed before the new technological media with state-of-the-art innovations and increasingly high pixel counts released annually, whilst the emergence of AI is already rendering them as old media and diminishing the act of photographing itself.

The faded photographs taken with a manual camera and the process of re-capturing each and every one of them with a Super 8mm film camera do not merely indicate a recollection of the past. The exploration using an obsolete method, now regarded as an old medium, intertwines with the material foundation of contemporary technology. In the past, technological media were closer to consumables that could only be afforded when both the father and the children of the family were fulfilling their roles as bipedal humans, striding across the material grounds presented to them in various ways. In the secular city, an individual’s memories and yesteryear pass by and fade away at a rapid rate. However, old media with a modest presence, such as the sprocket holes of the film, coexist, guiding us to an experience distinct from that of advanced technological media. The more we close up on an individual’s memories, the more clearly we can discover the traces of the media that created and constructed the scenes in between the captured scenes.

Upon a closer look at the material foundation of individuals, we are prompted to question the values and standards to be pursued. Between Trees sheds light on contemporary humans who aim crosshairs at each other, perpetually distinguishing, categorizing, and making value judgements throughout their lives. As long as we live in a secular city, we cannot relinquish the mindset to distinguish and discern, from the very moment of our births to our final breaths. The laser pointer directed at a child, a youth, and an elderly person symbolizes our clamorous minds influenced by miscellaneous yardsticks. Since the source of a laser pointer is ourselves, when we aim it at an object, the crosshairs are simultaneously directed at us. This is why, once our eyes are locked onto an object, we find it challenging to let go of the desire to keep our aim. In our reality, to earn a living and to consume is to calculate the distance from the targeted object and to seek and assess what is required. Thus, we, residing in a secular city, cannot live without the standards of the human world. When a target disappears, another comes into view. We simply raise a question about a life in which one witnesses a singular reality, fixated on a single criterion.

The video shifts the human gaze devoted to a single object to a dense forest, offering nature’s standards to those who exclusively adhere to the criteria of the human world. It is within a scope in which a tree and another can live together and also apart. Upon reflection, we too traverse the stages of childhood, adulthood, and old age, eventually perishing in due course. We are fundamentally living organisms created through the accidents of birth, leading lives that are rich in diversity. Above all, our secular city was also formed amidst a tapestry of trees, where additional trees continue to grow in the spaces between.

From a distinctively human perspective, the video depicts human life on the peripheries of the disconnected human society and nature. The human gaze that calmly discerns and pursues its target in the secular city transmutes into one that violently quivers before the chaotic standards of nature. In the video, the two perspectives intersect, giving rise to conspicuous contrasts. Moreover, at a certain juncture, the targeted objects overlap and blend into each other, reflecting our turbulent minds as we stand in between the trees.

Let us take our eyes off the human world and turn to a more distant mountain. Half of the mountain in the Silent Transformation is covered in graves and the other half in piles of excavated soil, which forms yet another soil mountain. It is a joint work produced in collaboration between the dead and the living. The distance to the vast mountain renders the overnight shift of the terrain into a tomb and emergence of colossal pits as a quietly transformed landscape, one that we accept without much resistance. The sounds of the distant mountains collapsing and the remote oceans melting away hardly reach our ears in the secular city. We only comprehend what humans say about the mountains – their values, the coordinates of their auspicious sites, and the occasional anthropocentric slogans about unsustainable development. All our senses are skewed towards the worldly gains acquired from the drastic forms of life and death. We will never find out about the sounds made by the distant mountains that are endlessly excavated and rebuilt.

As the mountain is cut away and buried in heaps of earth, the deceased cannot sleep in peace and the living solely devote their attention to the weight of the truckload of soil. This also unveils a facet of our secular world. The video does not feature any humans but their products, the graves and the large piles of soil loaded and transported elsewhere. Amidst Silent Transformation are butterflies flapping their wings, the weeds surrounding the graves, and the ancient statue of Buddha, all who have leaned on the far-off mountain. They too are thrust by trucks, carved off and excavated in an indiscriminate manner, eventually transforming into a pile of soil.

Starting off with bipedal human’s strides, we have captured some of the rough aspects of the secular society that encompass the humans in Between Trees, and life and death silently transformed. This is why the title of the project is Three Worlds’ Dialogue. We wished to provide more than a brief glimpse or a surface-level representation, employing various methods of sensing the material foundations at the juncture between a world and another, or a human and another, and reconstructing them. The installation work connected to the three videos is the product of such a consciousness.

The empty cages, stacked from the floor towards the ceiling, recall to the viewers the miscellaneous material conditions of the present day that trap and immobilize us. In the secular city with its infinitely smooth and transparent look, our pursuits are confined to indefinitely convenient and safe places. We may eventually restrict ourselves to the same form of living, alienating ourselves from the complicated material systems. The white cages installed towards the ceiling symbolize the world we encounter when chasing our desires from the secular world. Already lost in the bottomless depths of helplessness at our inabilities in the surge of AI, we opt for safe survival as the ultimate value – even if it means there is nothing we can do with our own bare hands. The cages in the installation work appear to be the only shelter from the roughness and irregularities of the secular world, enabling a safe and trouble-free life.

In an effort not to be confined in the cages, we have scrutinized an individual’s past trajectories and deviated from the technological civilization progressing in a singular direction. Moreover, we have also examined the human epoch, precariously founded on endless standards and judgements, as well as the scenes in nature where human life and death are constantly exchanged as commodity values. We hope that this exploration of the contemporary era, too material and secular,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template human compulsions, restrictive pursuits of values, and ecological issues from a broader perspective.



삼속(三俗)의 담(談)

<삼속(三俗)의 담(談)>은 <직립인간의 활보>, <나무와 나무 사이>, <고요한 전환>를 한데 묶은 옴니버스 영상이다. 동시대 세속도시에서 발견한 기술매체, 인간, 자연의 물질적 기반을 탐색한다. 사실 동시대의 ‘속(俗)’에 대한 탐색에 지나치게 정밀하고 투명한 최첨단 도구는 어울리지 않았다. 첨단 기술에 의해 포착된 동시대의 물질적 기반은 지나치게 매끈하고 선명해 오히려 많은 것들을 감추고 배제한 불투명에 가까워 보인다. 사실 우리의 울퉁불퉁하고 거친 ‘속(俗)’에는 기술 또한 최첨단과 구식이 다양한 방식으로 공존해 있다. 동시대 세속도시의 탐색은 이러한 기술의 물질적 조건 속에서 이뤄질 수밖에 없다. 우리는 이러한 기술의 여러 사이 길들을 활보하며 세상을 바라보고 탐구하는 습관적인 방식의 전환을 꾀해 보고 싶었다.

첫 번째 탐색의 결과는 <직립인간의 활보>이다. 가족들의 앨범으로부터 총 4000장의 인화된 사진을 취합해 슈퍼8미리 필름 카메라로 한 장씩 촬영했다. 그리고 이를 영상으로 재생해 보았는데, 한 롤의 필름을 그 자체로 빠르게 재생하다 보면 사진에 담긴 형태와 색이 뭉게지면서 잔상을 남긴다. 4000장의 사진은 모두 다른 시기의 배경과 인물이 담겨 있어 비슷한 사진을 모아도 하나의 장면으로 수렴되지 못한다. 한데 모을 수 있어도 하나로 섞이지 않은 사진 이미지는 희미한 이미지 파편으로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한다.

그렇게 빠르게 재생하다 보면 개인의 기억과 감상도 흐릿해지는 가운데 오직 필름의 스프로킷 홀만 뚜렷하게 남는다. 이 스프로킷홀은 앨범으로 볼 때 자각하지 못했던 부분인 당시 기술매체의 물적 조건에 주목하게 만든다. 특히 사진을 찍은 주체가 어떠한 환경과 경제적 조건 속에서 사진을 찍고 인화하게 되었는지 궁금해진다. 물론 우리는 그의 서사를 드러내지 않는다. 사진 이미지마다 달린 스프로킷홀을 통해 약 45년 전에 필름 카메라 이용 환경에 대해 각자다른 경험과 생각을 얘기할 수 있어서다. 무진형제는 당시 카메라를 구입한 가장의 자식으로서 그가 45년 전에 어렵게 카메라를 구입하며 했을 경제적인 고민과 그 고민이 결국 가족으로 이어지는 지점에 주목했다. 오늘날 최고의 기술과 화소수를 자랑하며 해마다 출시되는 기술매체 앞에서 고민하면서도 이제는 AI의 출현으로 그러한 매체조차 올드 미디어가 되고 어느새 찍는 행위마저 줄어들고 있는 우리의 무력한 현실이 겹쳐 보이기 때문이다.

수동 카메라에 의한 빛 바랜 사진 조각들과 이를 슈퍼 8미리 필름으로 한 장 한 장 담아내는 과정은 이처럼 단순히 과거에 대한 회상만을 드러내지 않는다. 지금은 올드 매체라 불리며 잘 쓰이지 않은 방식을 자유롭게 탐구해 보는 과정은 동시대 기술의 물질적 토대와도 연관된다. 당대의 기술 매체는 한 가족의 아버지도 자식들도 직립인간으로써의 역할을 다하며 어떤 식으로든 주어진 물질적 토대를 활보해야 구입할 수 있는 소비재에 가깝다. 세속도시에서 개인의 기억과 과거의 한 시절은 빠른 속도로 흘러가고 사라져도 필름의 스프로킷홀과 같은 올드 미디어는 아직까지 미약하게나마 공존하며 첨단 기술매체와 다른 경험으로 인도하고 있다. 개인의 기억을 클로즈업 하면 할수록 우리는 장면과 장면 사이, 그 장면을 만들어내고 구축한 매체의 흔적을 더 확실히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개인의 물질적 토대를 세심히 들여다 보다 보면, 우리는 추구되는 가치와 척도에 대해 자연스럽게 되물을 수밖에 없다. <나무와 나무 사이>는 서로를 향해 가늠쇠를 겨누고 끝없이 구분하고 분류하고 가치 판단을 하며 살아가는 동시대 인간을 조망한다. 세속도시에서 살아가는 이상 우리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구분 짓고 분별하는 마음을 내려놓을 수 없다. 영상에 등장하는 아이와 청년, 그리고 노인을 향한 레이저 포인트는 다양한 척도로 시끌시끌한 우리의 마음을 상징한다. 물론 레이저 포인트는 그 시작점이 우리 자신이기에 대상을 겨누는 순간 동시에 그 가늠쇠가 우리를 향하기 마련이다. 한번 대상을 포착하면 그 겨누는 마음을 쉽게 거둘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의 현실이란 대상과의 거리를 계산하며 필요한 것을 찾고 판단해야 밥을 벌어먹고 소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로 세속도시에서 살아가야 하는 우리들은 인간세의 척도 없이 살 수 없다. 하나의 대상이 사라지면 또 다른 대상을 눈에 들어온다. 다만 하나의 척도에 매몰되어 오직 하나의 현실만을 바라보며 사는 삶에 의문을 표할 뿐이다.

영상에서는 한 대상에 매몰된 인간의 시선을 빼곡한 나무숲으로 이동시킨다. 인간세의 기준만보고 살아가는 자들에게 제시하는 자연의 기준이다. 딱 나무 한 그루와 다른 나무 한 그루가 따로 또 같이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범위다. 생각해보면 우리 또한 어린 아이였다가 청년기를 거쳐 노인이 되어 언젠가 영면에 드는 자연적인 존재이다. 우리야말로 우연히 생성되어 변화무쌍한 삶을 살고 있는 생명체다. 무엇보다 우리의 세속 도시도 나무와 나무 사이에 만들어졌고, 그 나무와 나무 사이에 또 다른 나무들이 자라고 있다.

영상은 구획된 인간세와 자연의 울타리에서의 인간 삶을 철저하게 인간의 시선으로 제시한다. 세속도시에서 차분하게 대상을 분별하고 쫓는 인간의 시선은 자연의 무질서한 척도 앞에서 어지럽게 흔들리는 시선이 되고 영상에서는 이 두 시선이 교차되어 대비를 이룬다. 그러다 어느 순간 눈앞의 대상이 겹쳐지고 뒤섞인다. 이 또한 나무와 나무 사이에 놓인 우리의 어지러운 마음음으로부터 일어난 장면이다.

인간세로부터 눈을 들어 조금 더 먼 산을 바라보자. <고요한 전환>의 산 절반은 무덤으로 가득하고, 나머지 한쪽은 파헤쳐진 흙이 쌓여 또 다른 흙산을 이루고 있다. 죽은 자와 산 자가 이뤄낸 합작품이다. 거대한 먼 산에서 벌어진 일이다 보니 하루아침에 산이 묘가 되고 거대한 구덩이가 생겨도 우리에겐 그저 고요하게 전환된 풍경으로 받아들여진다. 먼 산이 무너지고 먼 바다가 녹는 소리는 세속도시에 살고있는 우리에게까지 좀체 닿을 수 없다. 우리는 오직 산에 관한 사람들의 말만 알아듣는다. 그 산의 값어치와 명당의 위치, 아주 때때로 난개발에 관한 지극히 인간적인 구호만을 듣고 산다. 압축하자면 우리의 모든 감각이 죽음과 삶이라는 극단적 형식으로부터 발생하는 세속의 이익에만 쏠려 있다. 끝없이 파헤쳐지고 개조되는 먼 산이 어떤 소리를 내는지 우리는 끝내 알지 못할 것이다.

다만 산이 깎이고 흙으로 쌓이는 동안 죽은 자들은 영면에 들지 못하고 산 자들은 트럭에 적재된 흙의 무게만 보며 살아간다. 이 또한 우리가 살고있는 지극히 세속적인 세계의 한 단면이다. 영상에 인간은 등장하지 않는다. 그들이 만든 결과물들, 무덤과 적재되고 이동하는 거대한 흙더미만이 제시된다. 그리고 그 사이 고요한 전환이 이뤄지는 가운데 나비의 날개짓과 무덤 주변의 잡초들, 그리고 오래된 부처상이 포착된다. 그 먼 산에 기대 살아온 존재들이다. 물론 이것들도 트럭에 치이고 무차별적으로 깎이고 파헤쳐져 한 무더기의 흙으로 전환된다.

직립인간의 활보를 시작으로 우리는 <나무와 나무 사이>의 인간, 죽음과 삶이 고요하게 전환되는 울퉁불퉁한 세속의 단면을 감지할 수 있었다. 작품의 제목이 삼속의 담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단순히 눈으로 훑고 그 표면을 재현하는데 그치지 않고 세계와 세계, 인간과 인간 사이에 놓인 물질적 토대를 다양한 방식으로 감각하고 새롭게 재구성해보고 싶었다. 세 영상과 연결된 설치 작업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바닥에서부터 천장을 향해 차곡차곡 쌓여있는 빈 새장들은 우리를 가두고 옴짝달싹 못하게 만드는 동시대의 여러 물질적 조건들을 떠올리게 만든다. 한없이 매끄럽고 투명해 보이는 세속도시에서 우리는 한없이 편리하고 안전한 곳만 찾고 있다. 결국 우리 스스로를 복잡한 물질의 체계로부터 소외시키고 동일한 삶의 형식에 가둬 버릴지도 모른다. 천장을 향해 쌓여진 설치물의 흰색 케이지는 지금 우리가‘속(俗)’으로부터 욕망하는 것들을 쫓다 보면 마주하게 되는 세계를 상징하기도 한다. 이미 우리는 AI 등에 의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한없는 무력감에 시달리며 타고난 두 손으로 아무 것도 할 수 없을지라도 그저 안전하게 살아남는 것을 최선의 가치로 꼽고 있다. 그 아무 일 없고 안전한 삶, ‘속(俗)’의 울퉁불퉁과 거칢을 피할 수 있는 곳은 오직 설치물의 케이지 밖에 없을 듯하다.

그 케이지에 갇히지 않기 위해 우리는 한 개인의 과거 행적을 총체적으로 들여다보는 작업을 시작으로 일방향적으로 진보하는 기술문명에의 일탈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끊임없는 척도와 분별에 의해 아슬아슬하게 구축된 인간세, 그리고 그 인간의 삶과 죽음이 교환가치물로 끊임없이 치환되고 있는 자연의 현장도 들여다보게 되었다. 지극히 물질적이고 세속적인 동시대를 탐구하며 오히려 지금 우리의 강박과 협소한 가치추구, 그리고 생태문제에 대해 좀 더 넓은 관점에서 사유해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