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chemy Film & Arts, Q&A

Alchemy Film & Arts(A), Moojin Brothers(M/무)

A: Could you give some context regarding the choice of 'scenes' in this film? Why a snail? Why a horserace?

M: Horses and snails are an analogy to a human life in which the orbits of diverse lives are drawn within a huge capital system. Orbital Squares does not simply intend to talk about the pace of life. These two living organisms are not used here for contrast and comparison. It does not matter who is fast or slow. Facial recognition system makes the contrast between horses that are running on the track at full speed and snails that are moving in their own way out of fixed orbits meaningless. This difference and contrast becomes useless due to the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inherent pace of a living organism is already included in technology itself. Korea's social system tends to respond sharply to the trend of advanced technology in particular. Since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thermal imaging and facial recognition devices have been placed at almost all entrances. And this shows an increased dependence on technology. Not only so-called smart cities, armed with state-of-the-art technology, but also some small spaces where people dreaming of an alternative life gather cannot escape from this thermal imaging and facial recognition system. As our body and activity data are being collected everywhere, there is no route for escape anywhere under the surveillance system of technology. It is the first time that technology constituting a social system and perceptions of people using this technology react in this same way. The experience of the capturing power of technology through COVID-19 has taught us it is impossible to run away from a certain point of life. The square frame for facial recognition in the video obsessively traces the faces of snails and horses, but do not actually disclose any data. What will the audience think about this blank? When the facial recognition square frame is applied, it will be more than just comparing the speed and path of the two creatures. The basis of thought and value judgment that are locking us may be revealed here. For example, think of what data those who bet on horse racing want to get from the square frame placed on the faces of the horses that are running fast, passing the corner. What does this square frame for facial recognition put on the snails and horses look like in their eyes?

무: 말과 달팽이는 거대 자본 시스템 안에서 다양한 삶의 궤도를 그리고 있는 인간의 삶을 비유한다. 물론 <Orbital Squares>는 단순히 삶의 속도를 말하고자 하지 않는다. 두 생명체의 등장은 대비와 비교를 위한 게 아니다. 누가 빠르고 느리고는 중요하지 않다. 또한 트랙 위에서 전속력을 다해 달리는 말과 정해진 궤도를 벗어나 제멋대로 움직이는 달팽이는 안면인식 시스템에 의해 그러한 대비조차 부질없는 세태를 드러낸다. 최근의 기술발달은 그러한 차이와 대비마저 무화시키고 있다. 기술 그 자체에 이미 한 생명체의 타고난 속도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사회 시스템은 유독 첨단기술의 흐름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코로나19 이후 모든 출입구마다 열화상과 안면인식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만큼 기술에 대한 의존이 더욱 커진 상황이다. 소위 첨단 기술로 뒤덮인 스마트 도시는 물론 대안적 삶을 꿈꾸는 사람들이 모여든 작고 소소한 공간조차 열화상과 안면인식 시스템을 벗어날 수 없었다. 우리의 모든 생체와 활동 데이터들이 곳곳에서 수집되는 가운데, 사실상 기술의 감시체제 하에서의 도주로는 어디에도 없었다. 사회 시스템을 이루는 기술과 그 기술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인식이 그처럼 천편일률적으로 반응한 경험은 처음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해 경험한 기술의 포획력은 삶의 어떤 지점으로부터의 도주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준 셈이다. 영상 속 안면인식 네모 프레임은 달팽이와 말의 얼굴을 집요하게 쫓고 있지만 사실상 어떤 데이터도 드러내지 않는다. 그 공란을 관객들은 어떻게 받아들일까. 안면인식 시스템의 네모 프레임이 씌워지면 단지 두 생명체의 속도와 삶의 방향을 비교하는데 그치지 않을 것이다. 거기서 지금 우리를 가두고 있는 가치판단, 사유의 바탕이 드러나지 않을까. 가령 경마장에서 판돈을 건 자들이 모퉁이를 지나 빠르게 달려오는 말들의 얼굴 위에 씌워진 네모 프레임으로부터 얻으려 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그들의 눈에 달팽이와 말에 씌워진 안면인식 네모 프레임은 어떻게 비쳐지고 있을까.

A: Please tell us a bit more about the sound design; how did you approach the sound in this way?

M: What we paid attention in designing the sound of the video Orbital Squares was a coordination of abstract sound that is seen when the signs of image and those of sound are not well connected. In other words, we did not connect image to sound immediately through real-time recording, but brought different elements of sound so that senses of image and sound can be seen and heard in a different manner. All living creatures make and hear sound in their own different ways. Humans, horses and snails have different frequency ranges(Hz) and different auditory organs as well. In this video, sound feels different because a different dimension of sound sense is highlighted here. Certainly, the objectness that each sound indicates in the video is obvious. There are mainly two kinds of sounds in Orbital Squares. One is the sound collected from people who respond to the competition of horses taking places at a real racecourse as well as money. This sound is linked to the scene of a person unraveling the thread entwined around the spikes instead of the image of horse racing. The other is the sound processed by electric signals heard in the scenes of horses and snails. This processed sound was created by extending the sound of 'timecode' included in the process of shooting the video at low speed. Normally, 'timecode' is a technological element for synchronization of video and sound in the editing process after shooting video and collecting sound respectively. However, we did not use timecod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image and sound, but extended the sound of timecode itself at low speed, thereby questioning the speed and temporality of the living organisms appearing in the video. The sounds of timecode heard in the scenes of horses and snails have the same source but have the beats and rhythms of different sounds by varying the frequency. Ultimately, it is an attempt to synchronize the difference in speed and movement between horses and snails by putting the image and sound of horses and snails in different temporalities (shooting image and sound beat of different speeds - 240fps for horses and 24fps for snails). What we wanted to tell is that the basic premise that snails are slow and horses are fast can be broken down through shooting speed and sound of the video.

무: <Orbital Squares> 영상의 소리를 디자인하면서 주의를 기울였던 부분은 이미지와 소리의 기호들이 잘 연결되지 않을 때 드러나게 되는 추상적인 사운드의 조율이었다. 즉 동시녹음을 통해 이미지와 소리를 즉각 연결하지 않고, 다른 사운드의 요소를 가져와 이미지와 소리의 감각이 다른 방식으로 보이고 들리도록 했다. 모든 생명체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소리를 내고 듣는다. 인간과 말과 달팽이 또한 서로 다른 프리퀀시(Hz)의 음역대가 있고 소리를 감각하는 기관도 다르다. 영상에서 소리가 다르게 느껴지는 건 이처럼 다른 차원의 소리감각을 부각시켰기 때문이다. 물론 영상에서 각각의 소리들이 지시하는 대상성은 분명하다. <Orbital Squares>에 나오는 소리는 크게 두 가지인데, 하나는 실제 경마장에서 말들의 경쟁과 돈에 반응하는 사람들의 소리를 수음한 것이다. 이 소리는 경마를 하는 이미지가 아니라 못에 걸린 실을 푸는 인간의 영상과 연결되게 구성했다. 두 번째는 말과 달팽이 씬에서 들리는 전기 신호로 인해 가공된 소리다. 이 가공된 소리는 영상의 촬영과정에서 담긴 ‘타임코드(timecode)’의 소리를 저속으로 확장한 것이다. 보통 ‘타임코드’는 영상과 사운드를 별도로 촬영하고 수음한 후 편집과정에서 이 둘의 싱크(sync)를 맞추기 위한 기술적 요소다. 하지만 우리는 타임코드를 이미지와 소리간의 싱크를 맞추기 위해 사용하지 않고, 타임코드 자체의 사운드를 저속으로 늘려서 확장함으로써, 영상에 등장하는 생명체들의 속도와 시간성에 대해 질문하고자 했다. 말과 달팽이가 등장하는 씬에서 들리는 타임코드 소리의 소스는 동일하지만 빈도를 달리하여 각기 다른 소리의 비트와 리듬을 갖도록 했다. 결국 말과 달팽이의 이미지와 소리를 다른 시간성(240fps(말), 24fps(달팽이)의 서로 다른 속도의 촬영 이미지와 소리의 비트)에 둠으로써 둘의 속도와 운동의 차이를 싱크화하기 위한 시도인 것이다. 달팽이가 느리고 말은 빠르다는 기본적인 전제는 영상의 촬영 속도와 사운드를 통해 와해될 수 있음을 이야기하고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