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njoo Park(S), Moojin Brothers(M)
S: You have been creating works that tell stories based on emotions and doubts that are felt in various parts of Korean society. In the Coronavirus era, are there any changes in the way you are observing the world and communicating your works?
M: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As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physical aspects of work and life such as social distancing and the closure of the spaces, the online alternative is proportionately increasing, which is something that has been quite difficult to carry out smoothly.
Despite this, the video works are actively being shown more. But it seems that working online has given us a difficult task. Currently in Korea, for reasons such as identifying the COVID-19 positive patients early on and containing the spread of the virus, personal information (especially the route of travel) is thoroughly collected by the government, and there is actually considerable controversy over this issue. It seems that this problem of collecting personal data has become highly apparent since the start of COVID-19. The data of our body is already being collected by thermal imaging cameras and facial recognition in various places across Korea. We were even contacted by Korea’s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based on the record they collected of the exact date and time of a place we passed by in a car. The subject we have been interested in discussing since a few years ago has been the issues around the ‘big data’ era, and we have raised this issue through our recent work titled Orbital Squares (2020). What we were extremely concerned about has become a reality in this current situation. Placing ourselves between the unconditional acceptance and criticism of personal data collection, we are now contemplating about how we can expand on the reasons and the purpose for technology. Additionally, alongside producing videos, we carry out participatory public art projects once every two or three years. For the foreseeable future, public art projects in which many people work together in a space has become virtually impossible. As a result, we are postponing the public art project we had planned until next year and we are now researching to configure how we can carry out a participatory public art during this time.
S: In Scriptures of the Wind (2016), characters of two brothers appear as the protagonists who represent the young generation. Do you have any specific issues you had in mind that led you to create this work?
M: At the time of creating the work Scriptures of the Wind, there were many stories about the generational conflict in Korean society. The term ‘Hell-Joseon’ was popular among young people, as they were angry at the unfair customs they felt had been passed down from the older generation. Such anger was further provoked by the Sewol ferry disaster, which eventually led to the candlelight revolution. Being part of the younger generation at the time, we too were in a similar position. The reason why we chose stop motion for this work is because, oddly enough, we could not visualise the portraits of our contemporaries in our minds. When we thought of our father’s generation, we could only think of the situations and objects that they had created, and we could not identify or explain our contemporaries of the younger generation under a single identity. When we put together the characteristics of our generation, somehow the dynamics were lost and we were only left with words and images that were coined by other generations, and we seemed to be just floating between the online and the offline space without any solidarity for each other. As we collected and connected these passive movements and the timeline that always seemed disconnected from something, we came to think of a stop motion without a face. Of course, it is not the intention of this work to separate the older and the younger generations nor say what is right or wrong. We just wanted to raise the questions as the younger generation, as to where we stand in life and what part of life we contemplate on.
S: I would like to ask a little bit more about the motivation behind using the phrase “stay still” as the core message in Scriptures of the Wind. The Sewol ferry disaster became even more devastating as a few irresponsible adults instructed the students to “stay still” at the critical time when they should have escaped from the sinking ferry.
M: In Korea, the phrase “stay still” has become a reminder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t was the most spoken phrase around the time of the disaster, and there was even a song made about this. However, these words are not limited to the Sewol ferry disaster. This single phrase contains all the abnormalities and submissive misery experienced by our generation. It is not just a command to be patient, but a command that must be followed without knowing why. On the 16th of April 2014, among the students on the Sewol ferry, only those who did not listen to these words and chose to escape survived, but the rest of the students adhered and stayed still after hearing those words from the adults.
S: After Scriptures of the Wind, you worked on the project The Trace of the Box for a while, which includes Now, Curiosity about the World (2018) and A Better World (2017). We are screening both of those films as part of this programme. What kind of project is this and what was the momentum behind it?
M: There were many momentums for the idea behind The Trace of the Box, but primarily it is a work that reads the present – which is about what makes us think now from the works of the past. Our future-orientated footprints, which are now taken over by big data, are also important, but somehow the blurry footprints that follow their own path without being easily embraced by big data were more noticeable to us. Among these include numerous works of art, language of the modern poets, the East Asian classics and the Buddhist thinking. For example, the inspiration behind Now, Curiosity about the World was Jules Verne's submarine Nautilus from his novel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1870). It is a fictional submarine operated by nuclear power – which did not exist at the time – and manufactured by multinational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passage in the novel that indicates how the submarine is made by multiple nations completely overlaps with the manner in which the multinational companies that made Lotte Tower, which is the biggest building in Seoul, were cited. This sci-fi-like imagination that has now become a reality was interesting for us, and after looking at the Taegeuk Score by students who translated i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 asked questions about the image of the future we are aiming for. At that point, we thought of the biggest building in Seoul that had recently opened – a place that is shaped very similarly to the Nautilus.
S: In Now, Curiosity about the World, the identity of the building is unknown as the images of the inside and the views of the outside from the inside are superimposed. It creates a world where you can't see the reality as if you are trapped inside. Are there any reasons why you chose not to show the iconic appearance of Lotte Tower from the outside?
M: If you read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it is full of passages where Dr. Aronas looks at and describes the scenery and life under the sea inside the Nautilus. The description of the Nautilus' appearance is also important, but oddly enough, we were more intrigued by the way in which he observed the world from within the submarine. He observes the ecology of sea creatures in a very saf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within a huge submarine, protected by the thick glass in between. The way he looks at the world seemed very similar to the way we look at the world now. The Nautilus, which used to submerge into the sea, has now transformed into an observatory on a skyscraper with a huge aquarium inside itself, so that many things in the world can be observed without sailing or flying. It is with the desire to capture the landscape of the world with naked eyes by simply taking a lift to safely go up and down between the high-rise floor and the deep basement floor in a blink of an eye. The way in which we view from within the Lotte Tower is similar to the way we deal with this world we have built, as well as how we connect with all objects. In that respect, we thought that we would not necessarily need to show the exterior of the bizarre and huge 21st century Nautilus that we are using.
S: Let's talk about A Better World. This film was shot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following the mass protests and impeachment of the then president. It was interesting to see how you filmed the vote counting station scene with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is normally used to detect things that are not visible. Did you find anything interesting in the footage that you took with the thermal imaging camera as opposed to what you saw at the actual scene?
M: The world captured by the thermal imaging camera is very colourful. The boundaries are also unclear. At first, people counting the votes, ballot papers, and other objects each keep their respective colours and boundaries, but as people and objects start moving about frantically, the boundaries gradually blur and merge. Even cold ballots can turn red in the process of being passed along quickly between many people’s hands. As it was a snap election after the impeachment of the former president, the scene was filled with all kinds of surveillance, and the tension was higher than ever. Since the act of voting can change many things, the atmosphere of the scene itself turned out to be very fierce. We thought long and hard about how to express those passionate aspirations and how to capture the atmosphere of the count that happens overnight. To be honest, we thought directing would not be possible, let alone filming, so we thought at least we could capture the heat of the scene, and chose to shoot thermal images. In fact, when you watch the video in which the candidate's name has been erased and only colours and shapes remain, you begin to think about what kind of world is contained within each voter’s voting paper regardless of victory or defeat. A normal video would have captured the tense atmosphere of the scene like a documentary, but the thermal images disperses all the tension and conflicting things and presents only colorful movements. Looking at this, we wanted to ask more about what kind of world each voter dreamed of and voted for (not what kind of candidate).
S: A little over thre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How has your political interest and enthusiasm changed since the turbulent times of the 2016-17?
M: Both sides are fighting fiercely, with one side trying to root out corruption and the other trying to win the next election. The conflict seems to continue. Meanwhile, the political voices in various other fields such as environment and labour are also rising. Apart from when the square was briefly cluttered on the 15th of August, the streets of Korea are seemingly quiet these days. Compared to last year's protest of 1 million people in Gwanghwamun and the streets of Gangnam against the former Justice Minister Cho Kook, it is really quiet. However, there is a really fierce battle going on in the media and on the Internet. The fight for political power is fierce. Even the general election, which seemed impossible at this time, somehow went ahead successfully with people lining up and putting on plastic gloves (it is said that the plastic gloves discarded that day are about the height of the ‘63 SQUARE’ building in Seoul). The aftereffect of the unprecedented impeachment of the former president seems to be still ongoing.
S: There is much uncertainty about this Coronavirus era, but could you tell us about the work you are currently planning?
M: We are continuing with works that observe and document the current situation. Of course, the next one won’t be a work that captures the current situation exactly as it is, but we are looking for what we can bring out from the present. First of all, we are taking videos while walking around various places, and we are also conducting research by meeting with various kinds of people. Among the voices constantly crying out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are trying to capture this phenomenon in a video while watching them calmly from a distance. We have not yet specified how we will reveal the outcomes of our observations in the next work. The way we work – observing the situations around us and questioning it – will not change even during this Coronavirus era.
박선주(박) X 무진형제(무)
박: 밀레니얼 세대의 작가로 한국 사회 곳곳에서 느끼는 감정과 의구심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하는 작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코로나 시대에 무진형제가 세상을 관찰하고 작품으로 전달하는 방식에 변화가 생기고 있나요?
무: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나 공간폐쇄 등 물리적인 부분에 제약이 있다 보니 온라인으로 대체하는 비중이 늘고 있지만 그마저 원활하게 진행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영상 작업은 좀 더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는데요. 온라인 상에서 좀 어려운 숙제가 생긴 것 같아요. 한국은 현재 코로나19 확진자를 사전에 찾아내 관리해야 하는 이유 등으로 개개인의 정보가(특히 이동경로) 국가에 의해 철저하게 수집되고 있고 이 문제에 대한 논란도 상당하거든요. 그런데 이번에 코로나19로 인해 이 문제가 급격하게 수면 위로 올라온 것 같습니다. 이미 한국의 여러 장소에서 열화상 카메라와 안면인식 등에 의해 신체 상의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고, 차량으로 잠깐 지나친 장소에 방문한 날짜와 시각까지 정확하게 기록되어 이를 토대로 질병관리본부에서 연락이 오기도 하더군요. 저희가 몇 년 전부터 관심을 갖고 논의한 주제가 빅데이터 시대의 문제들에 관심을 갖고 있었고, 이를 [Orbital Squares]란 최근작을 통해 제기했는데, 현 상황에서 급격하게 우려했던 것들이 현실화 되었습니다. 그래서 무조건적인 수용과 비판 사이에서 기술에 대한 사유를 어떻게 더 확장해 나갈 수 있을지 고민하는 중입니다. 또한 저희는 영상을 제작하면서 동시에 2,3년에 한번씩 참여형 공공미술을 진행하는데요. 올해부터 다수가 한 공간에서 함께 하는 공공미술은 사실상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래서 계획했던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내년으로 미루고 이런 시기에 어떻게 참여형 공공미술을 실천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는 리서치를 진행 중입니다.
박: [풍경]에서는 '형제'라는 두 인물이 화자로 등장하며 직접적으로 청년 세대를 대변하는데요, 이 작품을 구상하게 된 구체적인 문제의식이 있나요?
무: [풍경]작업을 구상할 당시 한국사회는 세대 간의 갈등에 대한 많은 얘기들이 있었습니다. 젊은이들에게는 헬조선이라는 단어가 유행했고, 기성세대들이라 불리는 윗 세대로부터 이어져온 불공정한 관습에 대해 분노하고 있었습니다. 그러한 분노가 세월호로 인해 더욱 촉발되었고, 결국 촛불혁명으로 이어졌죠. 저희 또한 당시에 청년 세대로서 비슷한 처지에 놓여 있었습니다. 이 작업을 스톱모션으로 작업했던 건 이상하게도 저희의 머리 속에 동시대인들의 초상이 그려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아버지 세대들을 떠올리면 그들이 벌여놓은 상황과 물건들만 떠올랐고, 동시대 젊은 이들의 모습은 하나의 정체성으로 파악되거나 설명되지 않았습니다. 우리 세대의 모습을 모아놓고 보니 어딘가 역동적인 움직임을 잃고 다른 세대들에 의해 언급되는 말과 이미지로 만들어져 서로 간에도 연대하지 못한 채 그저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이에서 부유하는 존재들 같았습니다. 그 수동적인 움직임, 늘 무언가로부터 단절돼 보이는 타임라인을 모아서 연결하다 보니 얼굴이 없는 스톱모션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이 작업은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를 가르고 무엇이 옳고 그르다를 얘기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젊은 세대로서 우리가 어떤 지형 위에 서서 삶의 어떤 부분을 고민하고 있는지 질문해보고 싶었습니다.
박: [풍경]에 '가만히 있으라'는 문장을 메세지로 사용한 동기에 대해 조금 더 여쭤보고 싶어요. 침몰하는 세월호에서 학생들이 탈출해야 할 시점에 ‘가만히 있으라’는 무책임한 어른의 지시가 있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더욱 참담한 사건이 되었습니다.
무: '가만히 있으라'는 말은 한국에서는 세월호를 떠올리게 하는 말이 되어버렸습니다. 세월호 참사에서 가장 많이 회자되기도 했던 말이고 심지어 노래로도 만들어졌죠. 그런데 이 말은 비단 세월호 참사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이 한 마디에 바로 우리 세대가 경험한 모든 비정상과 굴종 비참이 모두 들어 있습니다. 단순히 참고 인내 하라는 것이 아니라 이유도 모른 채 따라야만 하는 명령어 입니다. 2014년 4월 16일에 세월호 안에 있던 학생들 중 그 말을 듣지 않고 배 밖으로 나갔던 학생들은 살았지만 남은 학생들은 어른들이 전한 그 말을 듣고 가만히 있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박: [풍경]이 후 한동안 궤적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프로그램에서 상영하는 [목하세계진문]과 [좋은 세상]외에 여러 작품이 탄생한 [궤적]은 어떤 프로젝트이고 구상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무: 여러 계기가 있지만 [궤적]은 과거의 작품들로부터 지금 우리를 고민하게 만드는 현재를 읽어내는 작업입니다. 지금 빅데이터로 포섭된 우리의 미래지향적 족적도 중요하지만 어쩐지 쉽게 동시대의 데이터 속에 포함되지 않은 채 독자적인 길을 가고 있는 흐릿한 발자국들이 더 눈에 띄더군요. 수많은 예술 작품들과 근대 시인들의 언어, 그리고 동아시아의 고전과 불교적 사유 등이 그렇습니다. 가령 [목하세계진문]을 구상하게 된 쥘 베른의 해저2만리의 노틸러스호는 당시 존재하지 않았던 원자력에 의해 운행되고 다국적 기술에 의해 제작되었습니다. 특히 여러 국가들에 의해 만들어진 소설 구절이 마치 롯데타워를 만든 다국적 기업들이 열거된 방식과 완전히 겹쳐지더군요. 이제는 현실이 된 그 SF적인 상상력이 흥미로웠는데, 마침 일제시대 때 이를 번역한 학생들의 <태극악보>를 보고 우리가 지향하는 미래의 이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마침 그때 오픈한지 얼마 안 된 서울에서 가장 큰 빌딩을 찾게 된 것입니다. 모양까지 노틸러스호와 너무도 닮은 곳을요.
박: [목하세계진문]에는 내부의 이미지 혹은 내부에서 밖을 본 광경만 중첩해 빌딩의 정체를 알 수 없습니다. 마치 내부에만 갇혀 실체를 보지 못하는 세계가 연출됩니다. 롯데 타워의 상징적인 겉모습을 보여주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무: 해저 2만리를 보면 노틸러스호 안에서 아로나스 박사가 당시 바다 속 풍경과 생명체를 바라보고 묘사하는 구절들로 가득합니다. 노틸러스호의 겉모습에 대한 묘사도 중요하지만 이상하게도 저희 눈에는 그 안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에 더 눈이 갔습니다. 거대한 잠수함 안에서 두꺼운 유리를 사이에 두고 매우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바다 생물의 생태를 관찰하는 거죠. 그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이 어딘지 지금 우리가 세계를 관람하는 방식과 비슷해 보였습니다. 바다 속을 항해하던 노틸러스호가 이제는 제 안에 거대한 수족관을 만들고 초고층에 전망대까지 만들어 더 이상 항해하지 않고 비행하지 않아도 세상의 많은 것들을 관람할 수 있게 만들었죠. 엘리베이터 한 대로 안전하게 초고층과 깊은 지하층을 순식간에 오르내리면서 눈으로 세상의 풍경을 담아보겠다는 것. 그 롯데타워 안에서 벌어지는 관람방식이 우리가 발 딛고 선 세상을 대하는 방식임과 동시에 모든 대상과 관계 맺는 방식이기도 한 것 입니다. 그런 점에서 굳이 우리가 쓰고 있는 그 기괴하고 거대한 21세기의 노틸러스호의 외면을 굳이 보여주지 않아도 되겠다 생각했습니다.
박: [좋은 세상]에 대해서 이야기해봅시다. 대국민 시위로 전 대통령이 탄핵 당하고 열린 2017년의 대선 개표 현장에서 촬영한 작품입니다. 보이지 않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열화상 카메라로 공개 개표 현장을 촬영한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작가님이 현장에서 본 것과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서 본 이미지에서 새롭게 발견한 것이 있나요?
무: 열화상 카메라로 담은 세상은 그 색이 매우 다채롭습니다. 경계도 불분명한데요. 처음엔 개표하는 사람들과 투표용지, 그밖에 여러 사물들이 각각의 색과 경계를 지키고 있다가 사람들과 사물들이 정신 없이 움직이는 가운데 그 경계가 점차 흐릿해지고 합쳐지기도 합니다. 차가운 투표용지마저 여러 사람의 손을 빠르게 지나치는 과정에서 붉은 색으로 변하기도 하구요. 전 대통령 탄핵 후 치뤄지는 유례없는 장미대선이다 보니 현장은 온갖 감시의 눈길로 가득했고, 긴장감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았습니다. 투표라는 행위로 인해 많은 것들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현장의 분위기 자체가 매우 치열하게 돌아가더군요. 도대체 그 뜨거운 열망들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지, 그 단 하룻밤 새에 이뤄지는 개표현장의 장면을 어떻게 담을지 많은 고심을 했는데요. 사실상 연출이 불가함은 물론 촬영 자체가 불가할 수도 있어 일단 그 현장의 열기라도 담자는 생각에서 열화상 촬영을 선택했습니다. 사실 후보의 이름이 지워지고 오로지 색과 형태만 남아 움직이는 영상을 보고 있다 보면 승패와 상관없이 유권자 각자의 튜표용지마다 어떤 세상이 담겨있는지 생각해보게 됩니다. 실제의 영상은 현장의 긴장된 분위기를 다큐처럼 담았다면, 열화상 이미지는 그 긴장감과 대립된 것들을 모두 흩뜨리고 다채로운 색의 움직임만을 제시하고 있거든요. 이를 보며 각자가 어떤 세상을 꿈꾸며 (어떤 후보인지가 아니라) 투표했는지 물어보고 싶었습니다.
박: 19대 대선 후 3년이 조금 넘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격동적인 시기를 거친 2016-17년으로부터 현재의 정치적 관심과 열기는 어떻게 변하고 있나요?
무: 한쪽은 적폐청산, 다른 쪽은 다음 선거에서의 승리를 위해 양쪽이 치열하게 싸우고 있죠. 갈등은 계속해서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런 가운데 환경과 노동 등 여러 분야에서도 정치적인 목소리를 높이고 있구요. 8.15 때 잠깐 광장이 어지러운 걸 제외하고 한국의 거리는 표면상으로는 매우 조용합니다. 작년에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관련한 광화문과 강남의 거리에서 벌어지던 100만 시위에 비하면 정말 조용합니다. 하지만 언론과 인터넷 상에서는 정말 치열한 싸움이 벌어지고 있죠. 정치 권력을 두고 벌이는 싸움이 정말 치열합니다. 불가능할 것 같던 총선마저 어떻게든 줄 맞추고 비닐장갑까지 껴가며(그날 버린 비닐 장갑이 63빌딩 높이 정도라고 하죠.) 치뤄냈을 정도니까요. 전대미문의 전 대통령 탄핵의 여파는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박: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코로나 시대이지만 현재 계획 중인 작업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무: 저희는 지금의 현 상황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작업을 계속해서 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현상을 그대로 담는 작업은 아닐 것 같고 현재로부터 어떤 것들을 끄집어낼 수 있을지 찾고 있습니다. 일단 여러 장소를 돌아다니며 영상을 찍고 있으며, 동시에 작업을 위해 여러 사람들을 만나며 리서치 작업도 하고 있습니다. 자꾸 4차 산업혁명을 부르짖는 목소리들 속에서 그러한 현상마저 저희 자리에서 차분하게 지켜보며 영상으로 이러한 현상들을 담아내려 합니다. 그 관찰의 결과물들이 다음 작업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날지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습니다. 주변을 바라보며 드는 의문들을 토대로 진행하는 작업 방식은 코로나 시대에도 변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