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leasure of seeing the project The Trace of the Box by Moojin Brothers would lie in increasing the media experience encompassing the intuitive and logical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sensing the reality or the world.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 video image make us observe the energy of the trajectory drawn by the various motions of life by resonating with the language of literary works. This exhibition by Moojin Brothers, who have interest in the daily behavior slightly or subversively performing diverse projects so far, produced the philosophical flow calm but filled with tension in the exhibition venue rather than the methodology of clear counterpoint. In some way, it seems to be an oratory full of will to suggest the perspective background of the hidden desires of the world and the capitalistic images. In other way, it seems to be the aesthetic strategy to suspend and invalidate the phraseology of the world of paradox.
A Better World depicts the event of opening the ballot box during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of Republic of Korea in May 09, 2017. In spite of the expectation for the world imperceptibly dropped down far below, the opinion toward the world come out of the ballot box would wish the possibility for another fever and another expectation. The Moojin Brothers's thermal imaging camera measured such epochal emotion. The ultimate message conveyed in such process by Moojin Brothers is condensed through “Bread and Wine” by Friedrich Hölderlin engraved white in the black screen for 40 seconds. It never remains just in explanation on the thermal image of the body identified by technology. Rather, it is the human image longing for the revolutionary changes against the current alienated, divided and poor reality. It can be considered as an utopian ideal of Moojin Brothers who yearn for specific orientation to recover the painful scar of the past, which is a way that we, the human beings, necessarily seek the foundation to exist and systemize the insight discovered in the virtual form of humanity. Therefore, what the words of Hölderlin carry would be close to the ideal emotion mixed with self-consciousness rather than certain sensuous happiness. That is, the reproduction of the heat arisen in the ballot-counting site is the fulfillment of aesthetic life toward the world, and a kind of action of symbolic enhancement to remember the freedom of each citizen by substituting it with the colors produced by thermal imaging camera.
The hope of Moojin Brothers to achieve the fundamental recovery of the world is also revealed in the infrared film, which recorded the views in The Dawn Market. The scale of merchant, all kinds of foods and their signs traded, merchant's back wearing work apron, old objects guarding the busy work place, etc. are projected to the exhibition site through the slide film. Moojin Brothers said that they found 'the image not matched strangely’ with the image associated from The Dawn Market, which the word combined with specific time and space in the dozens of pictures taken by them. The views of the 3 markets in Seoul they visited collided with the views of infrared camera. It seems that the will of life is rather weakened and the survival in the cruel life would be switched to lyrical instance. At the same time, the passage of time in the dawn market is transferred to the custom of art genre altering the sense of velocity in dramatic reality. Another reality projected to Moojin Brothers as such is overwrapped with the abstract kinetics of 3 sides of the triangle expressed in “Prudent Triangle” By Vasko Popa. Moojin Brothers viewed that the activity of 4th side(invisible), in which the aesthetic consciousness can dwell, is hidden in the Popa's triangle that demands each other as part of it, supports by each other and distinguishes each other. That is, it means that this can be an opportunity that the artistic imagination of Moojin Brothers works. Since the arts is related to rediscovery of spirit that can encompass that world rather than to mimic the stable triangle, the arts of Moojin Brothers could expand the horizon of their own aesthetic consciousness as the creation of work, which becomes a myth with itself, embodying the orchestra of overall world. In that aspect, The Dawn Market transcends the concept embellished by technological media. Further, the visual subject throw him/herself breaking the consciousness by him/herself into the world of arts and therefore, opens the way to accept everything in the world.
Now, Curiosity About the World also tells us the 'curiosity' about the same ages experienced in Seoul 'in this moment(目下: Mok Ha)’. The tales conveyed with the slide film is converged to one narrative together with the texts in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by Jules Verne. The voice of Jules Verne, which was extracted to various places like a poem, is combined with advanced products of capitalism captured by Moojin Brothers. In this work that seemed like testimony to the reality, Jules Verne and Moojin Brother seemed to join in appealing the theme for one public opinion. Although the ages and the subject matters are different, the union of both artists in Now, Curiosity About the World enhances the commitment and the readability reproducing the different medium into the signifier. The inner emotion of literature generalizes the dynamic gaze to the reality mixing with the heterogeneous sensations of the pictures. Such vitality thrown by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the media makes foresee new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agony for creation of long time for the narrative. The aesthetics of implication contained in “Days of Struggle Against Illness” maintains unique dramatic formative property through the grotesque silhouette of the muted worker shown in The Dialogue of the Night. Although the technique in Now, Curiosity About the World expressing the following images metaphorically by using the language in poem is not fancy, It confirm the competence of the language to be able to connect with the object in reality. And The Dialogue of the Night allow us to privatize the overlapped context between the language and image by materializing the mise-en-scene realizing the property of night and the poetic meaning that presides the true nature of the night.
In the meantime, two images in Hunting of Strange Objects used the “The Hunting of the Snark” by Luis Carroll. The texts in “The Hunting of the Snark” are inserted between the repetition of gesture and the sounds in the night market held in apartment complex in a new town. The phrase “In the midst of his laughter and glee, He had softly and suddenly vanished away – For the Snark was a Boojum, you see.”1 appeared at the end of work is read to imply the unlimited voyage of two authors who requested the unreasonable approach to the essential meaning of language or it. Moojin Brothers place the attitude of interpretation on Luis Carroll and the disordered actions of freedom together in the screen. It seems that it is the sensuous reaction on the image for the non-suppressive autonomy of the literature not as an image for the literature. After all, two artists share the aesthetic these placed on the homogenous dimension called artistic passion of disintegration of reality. That is, the abilities of two media, the language and image that connect the world of nature and the world of human being are developed together in the boundary presented by each rule and principle and in the experiment questioned the appropriate desire derived by that. The unique subversive system of Luis Carroll is conformed with the singular semantics that Moojin Brothers tried to exclude and the property of its unlimited opening is harmonized with the playful editing technique to produce the image as a new beginning.
In this exhibition, Moojin Brothers took the classical literary works in the West and East as reference. By applying such attempt to the intension to put the routine life of the real society in the form of visual arts, the audience who visits the exhibition encounters with certain intellectual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apturing the meanings. The combination of images like code and the refined sentences work as various hints through the narratives reorganized by Moojin Brothers who have the knowledge of interpreting the certain language of literary works. Audience cannot be confined in his/her own interpretation. So, he/she may accept the contextual relationship calmly or in frustration before a series of image and texts without solving them rather than the joy in the inner space of aesthetic consciousness. However, the artistic acts as facing the reality rather makes us see the restriction of the most realistic communication by certain expression system. That moment would start from the common hunch that the combination of such restriction experienced in front of the work may contain some message in other dimension. The luxurious consciousness to renew the interpretation of difficult classics partly in the reality is shown rather than the effort to convey the archive of life vividly.
When we face with the works trying to reproduce the reality, we cannot give up the imagination on the way to resist that reality thinking that we would not dream anymore. It is true because the arts can presents the world that we can sense in the imagination. If the audience may have experience of appreciating the works of Moojin Brothers, he/she may have thought hard how he/she can connect the composition of such vivid reality, which delays the attitude of reflecting the reality and at the same time, stirs ceaselessly in the work, with the reality that he/she is in. Especially, in case of being invited to the interpretation play derived from the difference in genre like this exhibition, you may feel if the intellectual self-consolation as an appreciator enjoying the annotation on the texts that you may not verify yet causes the internal aesthetic differentiation rather than asking how to persuading oneself to the author. Rather, the authors such as Hölderlin, Jong Sam Kim, Jules Verne, Vasko Popa, etc. may be necessarily negated or divided in Moojin Brothers’ works. The database of interpretation of works drifts through the invisible stage of numerous metamorphosis.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the writers who Moojin Brothers have met would wait for the encounter with active poetic ego passing though the actual reality or the fragmented images in that reality. The development of such deflected emotion will cause the disturbance in logic with the intuition acquired with language or image within the dramatic dialectics attempted by the experiment of combining different media.
1 Lewis Carroll, 「The Hunting of the Snark」, Tate Publishing, Published in 2011, 56P
Shan Lim
Professor of Department of Curatorial Studies and Art Management,
Dongduk Women's University
무진형제의 이번 <궤적(櫃迹)> 프로젝트를 대하는 즐거움은 현실 혹은 세계에 대한 감각의 과정에서 직관적이고 논리적인 이해를 모두 포괄하는 매체적 체험을 증식시키는 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상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의미의 파장은 문학작품의 언어와 더불어 공명함으로써, 삶의 이러저러한 운동이 그려내는 궤적의 에너지를 관찰하게 한다. 지금까지 다양한 프로젝트를 펼치면서 미세하게 혹은 전복적으로 일상의 생태에 관심을 가져온 무진형제의 이번 전시는 선명한 대위법의 방법론보다는 잔잔하면서도 긴장에 찬 철학적 흐름을 전시장에 연출하였다. 어찌 보면 이 세상의 숨은 욕망과 자본주의적 이미지들의 원근법적 배경을 제시하려는 의지 넘치는 웅변으로 보이기도 한다. 또 한편으로는 그 역설적 세상의 어법을 유예시키며 무화시키려는 미학적 전략 같기도 하다.
<좋은 세상>은 2017년 5월 9일에 있었던 제19대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의 투표함을 개함한 사건을 담았다. 어느 사이에 저 아래로 내려가 버린 세상에 대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투표함에서 쏟아져 나온 세상에 대한 의견은 또 다른 열기를, 또 다른 기대의 가능성을 염원했을 것이다. 무진형제의 열화상 카메라는 바로 그러한 시대적 정서를 측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무진형제가 전하는 궁극의 메시지는 40여 초 동안 까만 스크린에 하얗게 새겨진 프리드리히 횔덜린의 시 「빵과 포도주」를 통해 응축된다. 그것은 결코 테크놀로지가 파악한 신체의 열기에 대한 해명에 그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소외되고 분화된 현재의 궁핍한 현실에 대한 혁명적 변화를 갈구하는 인간화의 상과 다름 아니다. 지난 고통의 상흔을 극복할 구체적인 지향을 그리워하는 무진형제의 유토피아적 사유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인간이 필연적으로 자신이 존립할 토대를 찾아 나서고, 그렇게 해서 발견한 통찰을 인간적인 가상의 형태로 체계화하는 한 방식이다. 그래서 횔덜린의 언어가 매개하는 것은 어떤 감각적인 행복이기보다는, 자의식에 착종된 이상적인 정서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즉, 개표장에서 발휘되는 열기의 재현은 세계에 대한 미적 삶의 실천이며, 시민 개개인의 자유를 열화상 카메라가 생산하는 색채로 대체하여 기억하려는 일종의 상징적 상승의 행위이다.
근원적 세계의 회복을 구하려는 무진형제의 희망은 <새벽 시장>의 풍경을 기록한 적외선카메라 렌즈에서도 드러난다. 상인의 저울, 거래되는 각종 음식과 그 기호들, 작업용 앞치마를 두르고 있는 상인의 뒷모습, 분주한 노동의 현장을 지키는 오랜 사물 등이 슬라이드 필름에 담겨 전시장에 투사된다. 무진형제는 자신들이 찍은 수십 장의 사진에서, 특정한 시공간이 조합된 단어 <새벽 시장>으로부터 유추되는 연상적 이미지와 “묘하게 어긋난” 모습을 확인했다고 말한다. 그들이 찾은 서울에 있는 세 곳의 시장이 품고 있던 풍경은 적외선카메라의 시선이 만든 풍경과 부딪힌다. 오히려 예의 삶의 불꽃은 덜어 내어지고, 잔혹한 생존의 수행은 서정적인 순간으로 전환되는 듯 보인다. 동시에 새벽시장에서의 시간의 흐름은 예술 장르의 관습으로 옮겨져 그곳의 극적 현실의 속도감은 가공된다. 이렇게 무진형제에게 투영된 또 다른 현실, 그것은 바스코 포파가 자신의 시 「신중한 삼각형」에서 펼친 세 변의 추상적 운동성과 겹친다. 무진형제는 서로를 부분으로 요구하고, 서로에 의해 스스로를 지탱하고, 그러면서도 서로를 구별 짓는 포파의 삼각형에 예술가의 미의식이 거주할 수 있는 (보이지 않는) 네 번째 변의 활동이 잠재되어 있다고 보았다. 즉, 이 자리가 바로 무진형제의 예술적 상상력이 작동할 하나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예술은 안정된 삼각형의 모사를 위하기보다는 그 세계를 포괄할 수 있는 정신의 재발견과 관계하는 것이기에, 그리하여 무진형제의 예술은 총체적인 세계의 오케스트라를 구현하면서도 그 자체로 하나의 신화가 되는 작품의 창조로서 나름의 미의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새벽 시장>은 테크놀로지 매체가 윤색한 관념을 넘어선다. 나아가 세계 내에서 시각적 주체가 스스로의 인식의 권위를 해체하여 예술의 세계로 자신을 던지는, 그리하여 다시 세상 일체의 것을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목하, 세계진문(目下, 世界珍門)> 역시 제목의 한자어 그대로 ‘바로 지금’ 서울에서 체험한 동시대에 대한 ‘호기심’을 이야기한다. 아울러 슬라이드 필름으로 전하는 그 이야기는 쥘 베른의 「해저 2만리」 속 텍스트와 함께 하나의 서사로 수렴된다. 한 편의 시처럼 곳곳에 발췌된 쥘 베른의 목소리는 무진형제가 포착한 첨단 자본주의의 산물과 결합된다. 현실에 대한 증언처럼 보이는 이 작품에서 쥘 베른과 무진형제는 하나의 공론적 주제를 제기하는 데 하나가 된 것 같다. 그 시대와 제재는 다르지만, <목하, 세계진문>에서의 두 예술가의 결합은 서로의 다른 매체를 꽉 찬 기표로 재생산하며 각각의 몰입과 가독성을 높인다. 문학의 내부 감정은 사진의 이질적 감각과 뒤섞이면서 현실에 대한 역동적인 응시를 전면화한다. 매체의 상보적 관계가 던지는 이러한 활력은 서사에 대한 오랜 창안의 고민에 따른 새로운 가능성을 예견하게 만든다. 김종삼의 시 「투병기」가 지닌 암시의 미학은 <밤의 대화>에서 보이는 무언의 노동자의 그로테스크한 실루엣을 통해 그 특유의 극적 형상성을 지속한다. 시에서의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뒤따르는 사진 이미지를 은유하는 <목하, 세계진문>의 방법이 화려하지는 않지만 현실의 대상과 연결될 수 있는 언어의 역량을 확인시켜준다고 한다면, <밤의 대화>는 밤의 속성을 구현하는 미장센과 내면의 밤의 실체를 주재하는 시적 의미를 물질화함으로써 언어와 이미지의 중첩의 맥락을 사유하게 한다고 말할 수 있겠다.
그런가하면 <기물(奇物) 사냥도>의 두 영상은 루이스 캐럴의 「스나크 사냥」를 동원하였다. 작은 신도시의 아파트 단지에서 열리는 야시장에서의 몸짓과 소리의 반복 사이사이에 「스나크 사냥」 텍스트들이 삽입된다. “그의 웃음과 환희가 채 가시기도 전에 그는 소리 없이 돌연히 꺼져버렸다. 보다시피, 그 스나크는 부줌이었으니까."1 작품의 말미에 이르러 등장한 이 구절들은 언어 혹은 그것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비합리적인 접근을 요청하는 두 작가의 무한의 여정을 함축하는 것으로 읽힌다. 무진형제는 루이스 캐럴에 대한 해석의 태도와 화면 속의 무질서한 자유의 행위들을 병치시킨다. 문학을 위한 영상으로서가 아니라, 문학의 비억압적 자율성에 대한 영상의 감각적 반응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두 예술가는 결국 현실 해체의 예술적 열정이라는 동질적인 차원 위에 놓이는 미적 테제를 공유한다. 즉 자연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를 서로 연결하는 언어와 이미지 두 매체의 능력은 각각의 규칙과 법칙이 제시한 경계와 그로 인해 파생된 기의의 욕망을 의문시하는 실험에서 함께 계발된다. 루이스 캐럴 특유의 전복적 체계는 무진형제가 배제하려는 단수적 의미론과 부합하며, 그 무한 열림의 속성은 새로운 개시로서의 이미지의 위상을 산출하려는 유희적 편집 기교와 조화를 이룬다.
이번 전시에서 무진형제는 동서양의 고전적인 문학작품을 레퍼런스로 삼았다. 현실 사회의 일상적 모습을 시각예술의 형식에 담고자 하는 의도에 이러한 시도가 적용됨으로써, 전시장을 찾은 관객은 의미 포착의 과정에서 모종의 지적인 난관에 부딪힌다. 암호 같은 이미지들과 정제된 문장들의 결합은 이미 특정한 문학작품의 언어에 대한 무장된 해석의 시선을 갖춘 무진형제가 재구성한 서사를 통해 다채로운 암시로서 작동한다. 관객은 자신만의 해독의 밀실에 편히 머물러 있을 수 없다. 그래서 내면의 미적 의식의 공간에서의 즐거움보다는 미처 풀어내지 못한 채 감당해야 할 이미지와 텍스트의 연쇄 앞에서 그 두 매체의 맥락적 관계를 담담하게 혹은 답답하게 받아들여야 할지 모른다. 하지만 결국 ‘현실’을 대면하자는 것으로서의 예술적 행위는 모종의 상징적인 표현 체계에 의해서 가장 ‘현실적인’ 소통의 제재를 오히려 낯설게 응시하게 만든다. 그 순간은 작품 앞에서 체험하는 그 제재의 결합이 무언가 다른 차원의 메시지를 담고 있을 것이라는 평범한 예감에서 시작될 것이다. 삶의 아카이브를 생생하게 전달하려는 애틋함보다는, 난해한 고전에 대한 해석의 정신을 현실 곳곳에서 분절적으로 갱신하려는 고급한 인식이 엿보인다.
1 루이스 캐럴, 「운율? 그리고 의미? / 헝클어진 이야기」, 워크룸 프레스, 2015년 발행, 219P
임산
동덕여대 큐레이터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