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aring in Transition
비화(飛化)


Soaring in Transition

Our city is always incomplete. When a new city is constructed, and it seems to be completed to some extent, buildings are torn down and the ground is torn up due to the re-construction. There seems to be an endless loop that spins between unconditional destruction and construction. Within the loop, all the existing stories are ones that are related to profit and loss. What can we talk about the space where we are living in except for its size, price and value compared to other cities?

Obviously, there were various perspectives and stories about the base of life. The base of human life as seen through the theory of divination is a space that complies with the power and change of nature. Having listened to legends and drifting stories, human habitation appeared to be a place where all kinds of gods, animals, and innumerable creatures are crowded with. The serpent was one of them. It took control of a ground plot, and when the household was anxious, it appeared as a sign of luck. When it happened, the residents moved or prayed in front of the freshly drawn water.
Since the safety and security of humans are guaranteed only through the coexistence with their surroundings, they didn’t exterminate or kill heterogeneous things with physical force. The things such as shamanistic ritual or exorcism that modern people considered as superstition were in fact, close to human wisdom to avoid anxieties, communicating with heterogeneous things,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wisdom or nature.

A house is not simply a place to eat and sleep. It is a field in which we are worrying about how we should be associated with things whose way of thinking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who sometimes threaten our survival. Therefore, the old stories about the serpent are not an emphasis on fear or heterogeneity, but rather a focus on the human life who treat a serpent called ‘Up(業)’. The up((業), called karma is ultimately revealed through human actions.

For example, a wise man could avert anxiety by appeasing a serpent, but a foolish man received a terrible curse by kicking out or killing the serpent. In the end, the focus was on the way that humans associate with heterogeneous beings that is, the attitude of humans and ethical behavior.

Gua, the protagonist of this video, that is a kid of a serpent, was born as a karma of a human who killed and sucked the serpent. Its upper body is human, lower body is serpent. The kid of the serpent comes and goes between the lowest and deepest places of the earth and remembers and keeps all the things that are happening in the place which it keeps. That memory becomes Gua's body and spirit, but the space he is staying in is constantly and repeatedly demolished and reconstructed, so it cannot grow up properly.
Moojin brother discovered a contradictory knowledge that people of the same age possess about the base of their life through Gua (kid of serpent). Just as Gua has two contradictory and heterogeneous beings, humans and serpents, today's humans can respond and feel sympathy for the change of the ground and nature rather sensitively while adapting to the logics of development.
The story of ‘Ddangsae’ is made from the ability– even though it is so weak, the old story and the classical text about the Moojin brother remains. The story of ‘Ddangsae’ is based on a myth when the sky was not far from the earth. The head of ‘Ddangsae’ touched the sky and its foot touched the ground, meaning that it could freely travel between the heavens and the earth, telling people of world creation stories. One day, 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heavens and the earth became too great, that the ‘Ddangsae’ could neither fly nor walk eventually ended up falling into a long slumber deep in the earth.

‘Ddangsae’ is a long-lasting knowledge that passed from the first grandmother of Gua to Gua. Likewise, we have known and kept old stories and knowledge that happened a long time ago, even Gua have kept numerous stories that were passed down from ‘Ddangsae’. Then, what would it stand for?

Through the story of ‘Ddangsae’, Moojin brother found that only the memories and knowledge of humans are driving forces that enables human beings to fly freely.

Flying high and changing of Gua who lives in the lowest place also further leads to the issues of the flyng high and change of human. How can Gua and man, who are helpless before the violence of development, live without being overwhelmed and swayed by the logic? These questions were explored through the ‘Ddangsae story’.

In fact, the story of the ‘Dddangsae’ is a result of recalling and assembling the things left in the base of our lives and places where only broken fragments or traces remained. The story wanted to create a way that led to a different understanding and a different way of imagination from the space where only development logic is left. There is no way to prevent the endless repetition of demolition and construction processes. Would not there be any way that can inspire people to change their way of thinking that evaluate their base of life with number? But I wonder if we can make a different path to the perception of each other by counting the place of life. Through the things we have forgotten, like the serpent and ‘Ddangsae story’.

Unlike the fact that these days, human knowledge about nature is exchanged only with money value or human value, human beings in the past expanded their memories and knowledge into heaven and earth, and innumerable creatures between them. What Moojin brother pursued through the story of the serpent and ‘Ddangsae story’ is also at this point. They do not mean to turn back time through the story of the past. Rather, the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a variety of things co-existed in the base of our life and it was the place from which communication with innumerable stories and values was available.

Therefore, there is no concrete image of serpent and ‘Ddangsae’ that imitate old illustrations or paintings in the video Soaring in Transition this time. Rather, Moojin brother suggested the appearance that Gua and ‘Ddangsae’ fly high as an abstract image, using materials that are easily found around us and materials that composed of the skeleton of the space in which we live. building materials near us, especially the materials that make up the skeleton of the space in which we live. The building materials such as steel and iron pipes seemed to be the deepest penetration where all desires, alienation, and all the events and memories that happen in the base of life. Would things that are getting worn together with us not be the one that reflect our karma?

Moojin brother has painted and transformed these materials into the shape of Gua, and then put its image of ‘flying high’ in it. They provided a narration about the story of a serpent and ‘Ddangsae’ but it is without subtitle and only with sound. I wish audience to recall the image of Gua according to his own way, listening to the story told by Moojin brother.

Centering the video Soaring in Transition, Moojin brother has also tried to solve the work on the story of the serpent and ‘Ddangsae story’ in three ways. The space in which the video is displayed is a deformed structure by taking advantage of the space of pool, where the concrete and the skeleton of the old building are exposed as they are. They have installed formative art work using materials used for the video, photograph work that filmed the space where we live in as a diverse format and a free newspaper with the narration in the video. They managed to work out the same theme where the video and the installation have got, not centering any specific one but in a way where the video, pictures, writing, formative art work can be communicated and harmonized all together in the structure made by Moojin Brother. Of course, in the various art languages ​​that each of them can express with respectively

The stories of the video Soaring in Transition are memories and also other knowledge being kept in human and his life. Moojin brother has been thinking about how such memories and knowledge have been preserved and passed down to, and how one can fly up high through such memories and knowledge. Just as we have accepted and imagined other things from our realms through our past stories, Gua seemed to be able to leap up through the ’Ddangsae story’, a long-standing knowledge.

Of course, the leap does not merely mean flying, having become a serpent or a dragon. ‘Soaring in Transition (飛化)’, what ‘flying into somewhere and changing’ stand for is worth leaving as a task that audience has to solve.



비화(飛化)

우리의 도시는 늘 미완이다. 빈터에 새로운 도시가 지어지고, 어느 정도 완공됐다 싶으면 재건축 등을 이유로 건물이 헐리고 땅이 파헤쳐진다. 무조건적인 파괴와 건설의 고리를 한없이 돌고 있는 것 같다. 그 고리 안에서는 매매와 임대를 통해 발생한 이익과 손해에 관한 이야기가 전부다. 크기가 어느 정도고 가격이 얼마며 다른 도시와 비교해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 외에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공간에 대해 우리는 어떤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분명 예전에는 삶의 터전에 관한 다양한 관점과 이야기가 있었다. 풍수지리를 통해 본 인간 삶의 터전은 자연의 힘과 변화에 따르는 공간이다. 전설이나 떠도는 이야기 등을 듣다 보면 인간의 거주지는 온갖 신과 동물들, 그리고 무수한 생명체로 들끓는 곳이었다. 구렁이도 그 중 하나였다. 구렁이는 집터를 관장하고, 집에 우환이 있을 때 업구렁이로 등장했다. 그때마다 사람들은 이사를 가거나 정화수 앞에서 기도했다. 인간의 안녕은 인간 외의 것들과의 공존을 통해서만 보장되기 때문에 이질적인 것들을 물리적인 힘으로 소멸시키거나 죽이는 방식은 쓰지 않았다. 고사라든가 굿처럼 현대인들이 미신이라고 생각하던 것들은 실은 이질적인 것들과 소통해 우환을 피하고 공존하기 위해 발휘했던 인간의 지혜 혹은 자연과 소통하는 능력에 가까웠다.

집은 단순히 먹고 싸고 잠자는 곳이 아니다. 우리와 생존방식이 전혀 다른 것들, 때로는 생존을 위협하는 것들과 어떻게 관계 맺으며 살아야 할지 매우 구체적으로 고민하는 장(場)이다. 때문에 구렁이에 대한 옛 이야기들은 두려움이나 이질감의 강조가 아니라 오히려 업이라 불리는 구렁이를 대하는 인간의 삶에 주목한다. 그 업(業), 카르마(karma)라는 것도 결국 인간의 행위를 통해 드러난다. 가령 지혜로운 인간은 업구렁이를 달래서 우환을 피할 수 있었지만, 어리석은 인간은 구렁이를 내쫓거나 죽여서 무시무시한 저주를 받는 식이다. 결국 인간이 이질적인 존재와 관계 맺는 방식, 즉 인간의 태도와 윤리적인 행위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번 영상의 주인공인 구아, 즉 구렁이 아이도 인간이 구렁이를 죽여서 잡아먹은 인간의 업보로 태어났다. 구아는 상체는 인간, 하체는 구렁이다. 구렁이 아이는 이 땅의 가장 낮고 깊은 곳을 오가며 자신이 지키고 있는 터전에서 벌어지는 온갖 것들을 기억하고 간직한다. 그 기억이 구아의 몸이 되고 정신이 된다. 하지만 그가 머문 공간은 끊임없이 헐리고 지어지기를 반복하는 바람에 그는 제대로 성장할 수 없다.

무진형제는 구아로부터 동시대인이 삶의 터전에 대해 지니고 있는 모순된 앎을 발견했다. 구아가 인간과 구렁이라는 모순되고 이질적인 두 존재를 한 몸에 지니고 있는 것처럼, 오늘날의 인간도 개발논리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한편 아주 미약하게나마 이 땅과 자연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공감하는 능력이 남아있다. 땅새 이야기는 그렇게 미약하게나마 남아있는 능력, 무진형제에게 남아있는 아주 오래된 이야기와 고전텍스트 등으로부터 만들어진 이야기다.

땅새 이야기는 하늘과 땅이 멀지 않은 신화의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땅새는 머리는 하늘에 닿고 발은 땅에 닿아 천지 사이를 자유롭게 오가며 천지만물의 이야기를 세상 곳곳에 들려주며 살아 왔다. 하지만 어느 날 천지 사이가 멀어지고 그 사이에 위계가 발생해 날 수도 걸을 수도 없던 땅새는 결국 땅 속 깊은 곳에서 오랜 동면에 들게 된다. 땅새는 구아의 최초 할머니로부터 구아로까지 이어진 오랜 앎이다. 우리가 오래 전 이야기, 그리고 시간을 가늠할 수 없을 만큼 아주 먼 옛날 이야기와 앎을 간직하고 있듯이 구아도 땅새로부터 이어진 무수한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러한 이야기와 앎을 기억하고 간직하고 있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무진형제는 땅새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기억과 앎만이 인간 스스로를 자유롭게 비상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라고 보았다. 가장 낮은 곳에 살고 있는 구아의 비상과 변화에 대한 문제 또한 인간의 비상과 변화에 대한 문제로 이어진다. 개발의 폭력 앞에서 속수무책인 구아와 인간이 어떻게 그 논리에 휘둘리지 않고 살아갈 수 있을까. 이러한 의문을 땅새 이야기를 통해 풀어보았다.

사실 땅새 이야기는 지금 우리 삶의 터전에 남은 것들, 부서진 파편 혹은 흔적만 남은 것들을 소환해 이리저리 꿰어 맞춘 결과이다. 그렇게 옛이야기를 엮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개발논리만 남은 공간으로부터 다른 이해와 상상의 길을 내고 싶었다. 허물고 짓는 과정만 무한 반복되는 곳을 물리적인 방식으로 막을 방법은 없다. 하지만 삶의 터전을 숫자로 계량하는 각자의 인식에 다른 길을 낼 수 있지 않을까. 구렁이와 땅새 이야기처럼 우리가 잊고 있던 것들을 통해서 말이다.

오늘날 자연에 대한 인간의 앎이 화폐가치 혹은 인간적 가치로만 교환되는 것과 달리 과거의 인간들은 자신들의 기억과 앎을 하늘과 땅, 그리고 그 사이의 무수한 생명체로 확장시켰다.

구렁이와 땅새 이야기를 통해 무진형제가 추구한 것도 바로 이 지점에 있다. 과거의 이야기를 통해 시간을 되돌리려는 게 아니다. 오히려 과거를 통해 한때 우리의 삶의 터전이 한때 매우 다양한 것들이 공존하고 그로부터 무수한 이야기와 가치들을 주고받을 수 있는 곳이었단 점에 주목했다.

때문에 이번 영상 <비화>에는 옛 이야기의 삽화나 그림 등을 모방한 구렁이와 땅새의 구체적인 이미지는 등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무진형제는 지금 우리 곁에 있는 건축 자재들, 특히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의 뼈대를 이루는 재료들을 이용해 구아와 땅새의 비상하는 모습을 추상적 이미지로 제시해 보았다. 철골과 쇠파이프 등의 건축 자재야말로 가장 깊은 곳에서 지금 우리의 욕망과 소외, 그리고 삶의 터전에서 발생하는 온갖 사건과 기억이 가장 깊게 스며들어 있는 것들로 보았다. 우리와 함께 마모되어 가는 것들이야말로 지금 우리의 업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들이 아닐까. 무진형제는 이러한 재료들을 도색하고 변형시켜 구아의 형상으로 만든 후, 그것들이 비상하는 모습을 담았다. 거기에 구렁이와 땅새 이야기를 내레이션으로 들려주는데, 자막 없이 사운드만으로 전한다. 무진형제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들으며 각자의 방식대로 구아의 이미지를 떠올렸으면 한다.

<비화> 영상을 중심으로 무진형제도 세 가지 방식으로 구렁이와 땅새 이야기에 관한 작업을 풀어보았다. 영상이 상영되는 공간은 낡은 건물의 콘크리트와 뼈대가 그대로 노출된 풀의 공간성을 살려 변형한 구조물이다. 그 구조물 곳곳에 영상에 쓰인 재료들을 이용한 조형작업,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을 반전 형식으로 촬영한 사진 작업, 영상 속 내레이션을 글로 적은 무가지를 설치했다. 영상과 설치가 동일한 주제를 풀어가되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과 사진, 글, 조형작업이 무진형제가 만든 구조물 안에서 함께 소통하고 어우러지는 방식으로 풀어보았다. 물론 무진형제 각자가 할 수 있는 다양한 예술 언어로 말이다.

영상<비화>의 이야기들은 인간과 그의 삶의 터전에 간직된 기억이자 또 다른 앎이라 할 수 있다. 땅새 이야기를 통해 무진형제는 그러한 기억과 앎이 어떻게 간직되고 전해져 왔는지, 그리고 그러한 기억과 앎을 통해 어떻게 비상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우리가 과거의 이야기를 통해 지금 우리의 영역으로부터 다른 것들을 받아들이고 상상하듯 구아 또한 땅새 이야기, 즉 오래 전부터 내려온 앎을 통해 비약할 수 있을 것 같았다.

물론 그 비약은 단순히 구렁이가 용이 되거나 새가 되어 날아가는 것이 아니다. 비화(飛化), 즉 어딘가로 날아가며 변화하는 게 무엇인지에 대한 과제는 관객들이 풀어야 하는 과제로 남겨둘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