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Personal Thinking and Boundaries of Memories

In fall of 2014, black structures were built here and there in Paju. The name of the black cylindrically shaped structure, which appeared suddenly such as health park where citizens enjoy sports and leisure, elementary school playground, American Army base just before demolition and Imjingak that can be called as a historical place, is The Field of M.

After exploring here and there in Paju, their living base as well as workspace, Media Group ‘Moojin Brothers’ composed of two brothers and one sister of Jung Mujin, Jung Hyoyoung, Jung Youngdon, selected 4 places to install The Field of M. The black structure 2.3m high and 6.5m wide installed in a cylindrical shape was installed so that about 10 spectators could enter and walk around. Inside the structure, a glass column named ‘memorial’ was built. Spectators who enter the structure first do not know what to see in it. Then they face the interior of the structure or their appearance reflected in the glass column located in the center. Scenes projected through the glass column in this way become unique scenes only for one spectator at the moment. Moojin Brothers do not know the whole story of the image either. Moojin Brothers can indirectly share what spectators experienced through three cameras installed in the glass column.

Three cameras shoot spectators moving along the light and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s are screened in real time on the monitor installed outside the cylindrical structure. Spectators who looked around the structure leave random thoughts on works inside and outside of this black structure or impression on their reality, graffiti etc. With these spectators’ behavior, video of monitor, traces left by spectators as feedback, Moojin Brothers make installation products again in the place. As shown above, The Field of M is built in the course of a series of projection and reflection of artist-spectator-artist again. In this way, The Field of M becomes the place of thinking prepared for each spectator as well as place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spectators and artists and furthermore, place of memories of recording behavior and traces of spectators as they are.


Moojin Brothers, and M

Moojin Brothers are the family who has lived under one roof for about 30 years and Media Group. The eldest Jung Mujin who majored in literature, the second eldest Jung Hyoyoung who majored in art and the youngest child Jung Youngdon who majored in photography are responsible for the whole process from planning to shooting. How can three brothers with the language of the different areas work together? Is the structure of the collaboration possible beyond confinement or conflict according to kinship and rank? They say that when they decided to work ‘together’, they select ‘together’ as ‘a being repeating gathering and scattering without boundaries like a light group’ not uniformity, collectivity, unity, equality, no distinction. They envisioned such ‘together’ that can create another color any time if united without losing their own color and it was in the video work that they discovered such power for the first time. They say that when working the second eldest Hyoyoung’s video work together first 10 years ago, they clearly found the limits of each other and cracks in the media framework to which each of them cling. Putting aside the needs that the central axis crossing the three is required, they felt some joy and conversion of thinking in the adventure of making available images although staggering and groping without balance. Thus, Moojin Brothers say that their existing work was ‘the process of change and creation of thinking.’

What Moojin Brothers is trying to implement into images is to record and reconstruct the life and work of the brothers. This is not just the archive of biographical and daily pieces but to collect various challenges faced suddenly in life, images of all kinds of imaginations spreading in sleepless time and points of thinking into images. Materials of the video work such as lighting made of aluminum foil and paper box, objects made of recyclable materials, a phrase of Kafka’s novel and an old camera were the fragments of life and thinking themselves. Making nondescript character, strange shape that does not resemble anything etc. appear, video works such as You come without waiting (2004), Mumming Age (2012), Odradek (From Kafka’s ‘Die Sorge des Hausvaters(Breadwinner’s Anxiety’) (2012), Know, You (2013) touched textures of the difference between feeling and perception of each other. Through these works, the brothers recorded countless questions and answers about the boundaries of imagination and thinking of the moment, reproduction of experiences and memories and also asked the questions to spectators. The reason why Moojin Brothers throw a question with strange object work and aphorismic image is none other than ‘communication’ but this is ‘resonance as a difference’ rather than persuasion and understanding. Three brothers, who keenly realized that there are only numerous contacts passing by not a vertex converged to ant one point to us whether blood ties or community, try to expand the orbit from which the point of contact is born through the work and it is the nature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at they want.

Communication in this The Field of M project also shows only numerous contacts. In the name of The Field of M, Moojin Brothers does not prescribe the meaning of ‘M’. ‘M’ such as Media, Middle, Mirror, Memory etc. is also ‘media’ they want to communicate, collective ‘memory’ in their unconsciousness and ‘reflection’ of the traces. However, it is unpredictable how spectators will discover ‘M’ and give any meaning to it. Just as the alphabet M can cause a variety of words and meanings consecutively, they only wanted that this chapter will lead to different senses and thinking consecutively. The Field of M thrown into coincidence in this way is the work with different ‘place’ from previous works of Moojin Brothers. While they have shown fragments of thinking and parts of disparate senses to spectators through their objects and video work until now, they collect traces of what spectators have seen rather than showing something to them in this work. And the existing video work was not clear narrative structure but the one absorbed in the narrative elements linking a string of thinking while this work starts from the eye of spectators without any narrative and is entrusted to the chain of countless stories. Like the Arabian Nights´ Entertainments of Scheherazade who believed only muse of night without previously keeping the end of a story, another story released again one after another in mind.


Building of Four Times

As in any region, the first installation place Paju Unjeong Health Park (September 26~28) is a place where residents of surrounding apartments exercise and take a walk day and night. Most spectators were residents in the family unit in light sportswear outfit and writings left by each person were not cheerful inspiration but heavy fragmentary thoughts on their circumstances and life. The Field of M structure installation and making with odds and ends with children were conducted in the second installation Ungdam Elementary School(October 6~8). The productions of children were left in the school in the name of ‘Ilgakmong’. Hyoyoung confesses that this second installation exhibition enabled her to escape from a slump. The third installation place was the desolate American Army base scheduled for demolition. Traces of people who lived, waste materials left behind and unusual energy were obstacles to brothers but became the most cohesive foundation of work. The fourth installation place was Imjingak Peace Nuri Park. The brothers did not try to talk about or take something historical here. The Field of M standing tall among tourists allowed them to discover the most unrealistic and ironical experiences of time and space in the most historical and iconic place. While the exhibition was held in each place, Moojin Brothers collected all kinds of materials from the space and created several installation works. Arranged with three monitors in the place, these works were implemented differently each time while breaking down and constituting again images received from spectators. Works born in that way include ‘Flesh - net’, ‘High Spirits’, ‘Where is the entrance’, ‘Ancient pipe 1~3’.


Crossing the Boundary

For Moojin Brothers, The Field of M was the work that gave difficulties entirely different from now for various aspects. Although they are two brothers and one sister calling themselves ‘three brothers’, it was the hard and difficult work of communicating with spectators and thinking again while making, removing and assembling again structures of the small container size four times. Including Reporting Exhibition(November 22~December 4) held in Paju Nonbat Art School Gallery, exhibition was carried out for 4 months by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re-interpretation of total five times. That is why they revealed their true heart that each of them must have repeated ‘I would not do the work with the nature of public art again’ about hundred times. After all, however, the brothers confess “We got a lot by keeping our ears open. It was so hard but working in the relation with people was really attractive.” They say that they threw themselves with a mind “Let’s go out into the world and do some work” but never expected to get such great energy. The Field of M Project over 4 months was the work of allowing Moojin Brothers not only to break the boundaries of themselves but to acquire the territory of wider thinking. Finishing this project, the eldest Mujin said like this. “We gained muscles.”


Jinsil Lee
Art Critic


사적 사유와 기억의 경계를 넘어

2014년 가을 파주의 여기저기에 검은색 구조물이 들어섰다. 시민들이 운동과 여가를 즐기는 건강공원, 초등학교 운동장, 철거 직전의 미군부대, 그리고 역사적 장소라 할 임진각까지 난데 없이 등장한 검은 원통 모양의 구조물의 이름은 <M의 장(場)>이다.

정무진, 정효영, 정영돈 삼 남매로 구성된 미디어 그룹 ‘무진형제’는 자신들이 살아가는 터전이자 작업공간인 파주 이곳저곳을 탐색하고 난 뒤 4곳의 장소를 골라 <M의 장>을 설치했다. 원통 모양으로 설치된 높이 2.3미터, 폭 6.5미터의 검은 구조물은 약 10여 명의 관객들이 그 안으로 입장해 돌아다닐 수 있도록 설치되었다. 그 구조물 안에는 ‘메모리얼’이라는 이름의 유리 기둥을 세워졌다. 처음 구조물 안에 들어선 관객들은 그 안에서 무엇을 ‘구경’해야 할지 모른다. 그러다가 중앙에 자리한 유리 기둥을 통해 그 안에 비친 구조물의 내부나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게 된다. 이렇게 유리 기둥을 통해 투사되는 장면들은 그 순간 한 사람의 관객에게만 유일무이한 장면이 된다. 무진형제도 그 이미지의 전모를 알지 못한다. 무진형제는 관객들이 경험한 것을 간접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것은 유리 기둥 안에 설치된 세 대의 카메라를 통해서다. 세 대의 카메라는 빛을 따라 움직이는 관객들을 촬영하고, 그 카메라들이 포착한 영상은 원통형 구조 밖에 설치된 모니터에서 실시간으로 상영된다. 구조물을 돌아본 관객들은 이 검은 구조물의 안과 밖에 작품에 대한 단상이나 자신의 현실에 대한 소회, 낙서 등을 남긴다. 무진형제는 이러한 관객들의 행위, 모니터의 영상, 관객이 남긴 흔적들을 피드백 삼아 다시 그 장소에서 설치작품을 만든다. <M의 장>은 이처럼 작가-관람객-다시 작가라는 연쇄적인 투사와 반영의 과정으로 구축된다. 그렇게 <M의 장>은 관람객 각자에게 마련된 사유의 장이자, 관객과 작가의 소통의 장, 그리고 나아가 관람객의 행위와 흔적을 고스란히 기록하는 기억의 장이 된다.


무진형제, 그리고 M

무진형제는 30년 가까운 시간을 한 지붕 밑에서 살아온 가족이자, 미디어 그룹이다. 문학을 전공한 첫째 정무진, 미술을 전공한 둘째 정효영, 사진을 전공한 셋째 정영돈이 기획에서 촬영까지의 모든 과정을 함께 담당하고 있다. 어떻게 서로 다른 영역의 언어를 가진 세 형제가 공동작업을 할 수 있을까? 혈연이나 위계에 따르는 얽매임, 혹은 갈등을 넘어 협업이라는 구조가 가능할까? 그들은 자신들이 ‘함께’ 작업하기로 마음먹었을 때 획일성, 집단성, 일체성, 동일성, 구별 없음이 아니라, ‘빛 무리처럼 경계 없이 모이고 흩어지길 반복하는 존재’로서의 ‘함께’를 선택했다고 말한다. 각자의 색을 잃지 않으면서도 뭉치면 언제든 다른 색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그런 ‘함께’를 구상했으며, 그러한 힘을 처음으로 발견한 것은 영상작업에서였다. 10년 전 처음으로 둘째 효영의 영상작업을 함께했을 때, 그들은 서로의 한계를 뚜렷이 발견하고 각자가 고수하는 매체 틀에 균열이 가는 것을 발견했다고 한다. 셋을 가로지르는 중심축이 필요하다는 요구를 아예 접고, 중심 없이 더듬대며 휘청거리더라도 가능한 영상을 만들어보자는 모험에서 그들은 어떤 희열과 사유의 전환을 느꼈다. 그래서 무진형제는 기존 그들의 작업이 ‘사유의 변화와 생성의 과정’이었다고 말한다.

무진형제가 영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것은 형제들의 삶과 작업을 기록하고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단지 전기적이고 일상적인 단편들의 아카이브가 아니라, 삶에서 갑자기 마주한 갖가지 난관들, 불면의 시간 속에 펼쳐지는 온갖 상상의 이미지, 그리고 사유의 지점들을 영상으로 채집하는 것이다. 은박지와 종이박스로 만든 조명, 재활용품으로 만든 오브제들, 그리고 카프카 소설의 한 구절, 오래된 카메라와 같은 영상작업의 소재들은 이러한 삶과 사유의 파편들 그 자체였다. <기다리지 않아도 너는 온다>(2004), <적막의 시대>(2012), <오드라덱>(카프카의 ’가장의 근심‘으로부터)(2012), <알다, 너를>(2013)과 같은 영상작업들은 정체를 알 수 없는 인물, 어떤 것과도 닮지 않는 괴이한 형체 등을 등장시키면서 서로의 감각과 인식이 갖는 차이의 결들을 건드렸다. 형제는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경험과 기억의 재현, 그리고 순간의 상상과 사유라는 경계에 대해 무수한 질문과 답들을 기록하고 그 질문을 관람자에게도 안겨주었다. 이처럼 무진형제가 기이한 오브제 작업과 아포리즘적 영상으로 질문을 던지는 이유는 다름 아닌 ‘소통’에 있지만, 이는 설득과 이해가 아닌 ‘차이로서의 공명’이다. 혈연이든 공동체든 우리에게는 어느 한 지점으로 수렴되는 꼭지점이 아니라, 스쳐 지나는 무수한 접점들만이 존재한다는 것을 절감한 세 형제는 작품을 통해 그 접점이 탄생하는 궤도를 확장시키고자 하며, 그것이 그들이 원하는 ‘관객과의 소통’의 성격이다.

이번 <M의 장> 프로젝트에서의 소통 또한 무수한 접점들만을 보여준다. <M의 장>이라는 이름에서도 무진형제는 ‘M’을 딱히 어떤 의미라고 규정짓지 않는다. Media, Middle, Mirror, Memory 등 ‘M’은 그들이 소통하고자 하는 ‘매체’이기도 하고 각자의 무의식 속에 깃든 집단적 ‘기억’이기도 하고, 그 흔적들의 ‘반영’이기도 하다. 그러나 관객들이 ‘M’을 어떻게 발견하고 어떤 의미를 부여할지는 예측할 수 없다. 이들은 그저 M이란 알파벳이 다양한 낱말과 의미들을 연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듯이, 이 장을 통해 각기 다른 감각들과 사유들이 연쇄적으로 발현되는 도화선이 되기만을 바랐다. 이처럼 우연에 던져진 <M의 장>은 무진형제가 이제껏 해왔던 작업과는 ‘판’이 다른 작업이다. 이제까지 자신들의 오브제와 영상작업을 통해 관객에게 사유의 파편들과 이질적인 감각들의 편린들을 보여주었다면, 이번 작업에서는 관객에게 무언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관객이 본 것의 흔적들을 채집한다. 또 기존 영상작업이 명확한 서사구조는 아니지만, 사유의 끈을 잇는 서사적 요소에 침잠했던 작업들이었다면, 이번 작업은 어떠한 서사도 없이 관람객의 시선에서 시작하고 무수한 이야기들의 연쇄에 내맡겨진다. 한 이야기의 결말도, 다시 꼬리를 물고 풀려나오는 또 다른 이야기도 미리 염두에 두지 않은 채 밤의 뮤즈만을 믿었던 세헤라자데의 천일야화처럼.


네 번의 구축

첫 번째 설치장소인 파주운정건강공원(9월 26일~28일)은 여느 지역에나 있듯이 주변 아파트 주민들이 밤낮없이 운동을 하고 산책을 하는 곳이다. 대부분의 관람객도 가벼운 운동복 차림으로 나온 가족 단위 주민들이었는데, 막상 한 사람 한 사람이 남겨놓은 글들은 경쾌한 감흥이 아니라 자신의 처지와 삶에 대한 무거운 단상들이었다고 한다. 두 번째 설치장소였던 웅담초등학교(10월 6일~8일)에서는 <M의 장> 구조물 설치와 아울러 아이들과 잡동사니 재료로 만들기도 진행했다. 아이들의 제작물들은 ‘일각몽’이라는 이름으로 학교 안에 남겨두었다. 무진형제의 정효영 작가는 이 두 번째 설치전이 자신을 창작의 슬럼프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했다고 고백한다. 세 번째 설치장소는 철거를 앞둔 황량한 미군부대였다. 사람들이 거주했던 흔적과 남기고 간 폐물들, 그리고 범상치 않은 기운들은 형제에게 난관도 주었지만 가장 응집력 있는 작업의 텃밭이 되었다. 네 번째 설치장소는 임진각 평화누리공원이었다. 형제는 이곳에서 역사적인 무엇인가를 이야기하거나 건져내고자 하지는 않았다. 관광객들 가운데 우뚝 선 <M의 장>은 가장 역사적이고 상징적인 곳에서 도리어 가장 비현실적이고 아이러니한 시공간의 체험들을 발견하게 해주었다. 각 장소에서 전시가 진행되는 동안 무진형제는 그 공간으로부터 온갖 재료들을 수집해 여러 개의 설치작품을 만들어냈다. 이 작품들은 그 곳에서 세 대의 모니터와 함께 배열되어, 관객들로부터 받은 이미지를 다시 분해하고 재구성하면서 매번 다르게 구현되었다. 그렇게 태어난 작품들이 ‘살-그물’, ‘지고만장’, ‘입구는 어디인가’, ‘옛된관1~3’이다.


경계 넘기

무진형제에게 <M의 장>은 이러저러한 면에서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난관을 안겨준 작업이었다. 아무리 ‘삼형제’를 자칭하는 삼남매지만, 작은 컨테이너 규모의 구조물을 네 번이나 만들고 뜯어내고 다시 조립하면서 관객들과 소통하고 다시 사유하는 지난하고도 힘든 작업이었다. 파주 논밭예술학교 갤러리에서 열린 보고전(11월 22일~12월 4일)까지 치자면, 총 다섯 번의 설치와 분해, 재해석으로 네 달 동안의 전시를 진행한 셈이다. 오죽하면 작업 도중에 ‘다시는 공공예술 성격의 작업을 하지 않으리라’ 각자 백 번씩은 되뇌었을 거라고 토로하겠는가. 그러나 형제는 결국 “귀를 열고 얻으니까 얻은 게 너무 많았다. 정말 힘들었지만 사람들과의 관계맺음 안에서 작업한다는 것이 커다란 매력이었다.”고 고백한다. 처음에는 “세상 밖으로 나가서 좀 작업을 해보자”라는 마음에서 뛰어들었지만, 이토록 큰 에너지를 얻을 줄은 몰랐다고 말한다. 4개월에 걸친 <M의 장> 프로젝트는 무진형제에게 스스로의 경계를 깨뜨린 작업이자 더 넓은 사유의 영토를 획득하게 한 작업이었다. 첫째 무진은 이번 프로젝트를 마무리하며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근육이 붙었다.”


이진실
미술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