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ace of the Box - The Dawn Market
궤적(櫃迹) - 새벽 시장


The Dawn Market

The triangle in Vasco Popa’s “Prudent Triangle” resembles close to a pyramid shape. Four triangular sides form one shape and breaks at some point, and the fourth triangular side that is at the burning center breaks again three times to create another triangle and on and on.

The reason why Moojin Brothers chose this poem is because the image of triangle is clearly portrayed, and the points that its movement show resembles various time, situation, images, etc. The scene that geometric and abstract language of poem doesn’t stay at the abstractness. Rather, the more specific aspect of life can be captured through such abstractness.

Moojin Brothers considered the abstract triangle symbolizes the history and time of humans. In particular, the part where triangles break and new triangle forms from the bottom can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It could be the creation and decline of civilization, it could be reflecting our days, or it could be this moment or the moment. In the possibility of infinite interpretation, Moojin Brothers chose the early morning- the time when, while everything breaks away and is precipitous, something stirs and forecasts the beginning of another day.

And the place that presents early morning time in the most physical and visible way was the dawn market - the place that opens up before sunrise and sells everything that is needed in survival. Of course, there are many places that begins something in the early morning in this city. More than expected number of people are up at the time when people think would be asleep, such as temples, churches, conveniences stores or milk/newspaper branches. In such early morning scene, the reason why Moojin Brothers chose the market is because it is the place that shows the most plain aspect of human life. It is the place that the most clearly shows what is needed and what needs to be sacrificed in order to lighten up the civilization that we enjoy.

At anywhere in the dawn market that Moojin Brothers visited, there was no service or kindness that is seen in supermarkets during the day, or waiting to make payment. A large sum of money is traded in the earliest time, and massive amount of goods are disassembles and scattered in an instant, and people move so busily and urgently without greetings. Humans’ desire for money and wealth is expressed in the quickest and the most accurate way.

For example, at Majang Meat Market, cows and pigs that are just butchered are hung from the ceilings of gigantic trucks that are lined up, bleeding. As the truck door opens, workers in raincoat place one butchered animal on their shoulder and begin delivering to stores. No one takes break of stops working. There is no time to be lazy in order to empty out trucks that are lined up. Butchers that had butchering knives wrapped up in newspaper examine the bodies of livestock that are lined on large cutting board and begin disassembling. When everyone’s asleep, or when the sun begins to rise, hundreds of butchered animals and fishery products are moved around, and people need to move quickly so the lives that died just before the dawn turn into quality products. In the dark alleys of the market where everything is stopped, the active movements of money and dead animals show clear contrast (here, money refers to all the expenses and profits that go back and forth in the night market, including vehicle expense, labor expense, electricity bill, etc.). Even the flowers that decorate our lives beautifully are mere consumer goods that are quickly moved from one truck to another in the night market.

Moojin Brothers captured such scene using infrared camera. Of course, infrared imaging needs to be done during the day with plenty of light. However, Moojin Brothers wanted to depend on the lights of market and streets and capture the glowing light of night that comes from dark market. They decided to work at night to capture the dim light that lights up the flow of consumer goods and money. As a result, the scenery and objects were distorted, and modified images were created due to unexpected natural light and lighting, as well as the light from products.

Of course, Moojin Brothers weren’t satisfied with such result and overlapped each image into a slide. In Vasco Popa’s poem “Prudent Triangle”, each triangular side broke and combined endlessly. Moojin Brothers’ work was created through such moving images as well. As the fourth triangle on the bottom divided its body into many pieces to create another triangle, Moojin Brothers put hundreds of images that they captured using infrared camera in different ways to capture a new morning scene.

Result of developed images of night market over many nights was strangely discrepant from the images of night market that each Moojin Brother remembered. What the infrared camera captured reversed night and day, or the skewer that was stuck in the meat was emphasized more due to strong light; thin stems of plants looked like sharp blade edges. Images that became too vague to categorize into livestock, fishery or plant markets remained as what were selected by darkness and light.

About 80 slide films were created by numerous conditions such as the environment of dawn market, conditions that Moojin Brothers worked under, temperature, light, etc. Just like the fragments of triangles, the audience will be able to break and organize images according to their own thoughts and ideas by combining the slide images, the form and drawings.

* Project, The Trace of the Box

‘The trace of the box(櫃迹: Gwe Jeok)’ is the word composed of Gwe(櫃), which means the box containing the object, and Jeok(迹), which means the trace or footprint. In the work of Moojin Brothers, the Gwe(櫃) is the starting point of all the works. Gwe(櫃) such as box, bookshelf, chest, etc. is the space placing the book or materials required for work, etc, and at the same time, is the space that the tools, remaining materials and all kinds of memos are stored again when the work is finished. It can be the physical space that the beginning and end of work are repeated endlessly.

All the works starts and ends with the Jeok(迹). For Moojin Brothers, Jeok(迹) is the something like awe, question and strangeness. When some Jeok(迹) are found from the works of others contained in Gwe(櫃), new work starts and it becomes another question and story leading to next work.

The Trace of the Box(櫃迹) presented now have been started since 2017. Looking back the base of works, environment, etc. personally, I wanted to explore the geography in the same ages. Above all, I usually have some doubts on the press, information or knowledge in the SNS platform. Because exploring the conditions in the same ages around the contents in the timeline, which emerge and disappear repeatedly is seemed unreasonable. It needs to go further to different age, different background and far getting away from the current frame, which relies only on the information, That is why I selected the classic texts and images. with encountering with another age, I wanted to look our ages far away from it.

The work proceeded under the name of The Trace of the Box(櫃迹) is the work to explore this ages through the classic images and poetic language. So, all the works have a common point that the poetic language in the past were unraveled in various sites in this ages. I worked unraveling the poem of Hölderlin, Vasco Popa and Luis Carroll in the familiar and routine spaces such as ballot-counting site, Lotte World Tower, dawn market, new town apartment, etc.

As a result, Moojin Brothers used to discover the contemporary problems in the classic works and was able to capture diverse images in the routine spaces. For example, A Better World is the work that discovered the question about sacred world depicted by the poet in the ages of impoverishment from the “Bread and Wine” by Hölderlin and unraveled in the ballot-counting site of past Presidential Election. It captured the crowd that were divided by diverse political opinions and the ballot of many votes contained the aspiration of voter for better world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under the strict surveillance in the ballot-counting site. In addition, In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by Jules Verne and "Hunting of the Snark" by Luis Carroll, the images capture at the skyscraper and new town apartment complex and the written language, which rewrote the original test in the form of poem, were written down mixing them together

Originally, The Trace of the Box(櫃迹) is not the work having correct answer and clear direction. So, some people may consider these works as a results of misreading. However, Moojin Brothers consider that as the questions raised by works and I hope that you would appreciate that same way. Because Moojin Brothers did not make this works to give an answer. Rather, the work started in the questions was leaded to another question. In such questions, it is possible to share the linguistic images with the audiences. I hope that seeing the works of Moojin Brothers in the linguistic images, which were generated and disappeared in an instance, we would have time to be able to think over and appreciate the current problems calmly.



새벽 시장

「신중한 삼각형」에 등장하는 삼각형의 모형을 재현하면 피라미드 형태에 가깝다. 네 개의 삼각형 면이 하나의 형태를 이루다 어느 순간 부서지고, 결국엔 그 아래의 불타는 중심에 있는 네 번째 삼각형 면이 세 번 부서져 또 삼각형이 만들어지길 반복한다.

무진형제가 이 시를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삼각형이란 이미지가 분명하게 그려진다, 그리고 그것의 움직임이 보여주는 지점이 너무도 다양한 시간과 상황과 이미지 등을 연상케 한다. 매우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시의 언어가 모여서 그려내는 풍경이 그 추상성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물론 무진형제는 이 시의 추상성을 통해 우리의 구체적인 삶의 단면을 포착하려 했다. 추상적인 모형의 삼각형이 인간의 역사와 시간을 상징하는 것이라 보고 그것이 끊임없이 부서지고 세워지기를 반복하는 역사적 현상이나 장면에 주목한 것이다. 특히 삼각형이 부서지고 그 아래로부터 다시 새로운 삼각형이 만들어진다는 구절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인류문명의 생성과 쇠퇴일 수도 있고, 어쩌면 우리의 하루를 반영할 수도 있다고 보았다. 무진형제에게는 새벽의 시간을 뜻했다. 하루의 시간이 모두 부서지고 황량한 가운데서 무언가 꿈틀대고 부서지면서 또 다시 하루가 시작되는 새벽의 시간을 말이다.

물론 새벽이라 해서 단순히 시간에 의해 변화하는 풍경을 담은 것은 아니다. 무진형제에게 새벽 시간에 가장 인상 깊은 장소는 바로 새벽시장이었다. 해뜨기 전, 어두컴컴한 시간에 가장 먼저 문을 열고 생존에 필요한 온갖 것들을 판매하는 새벽시장을 말이다. 이 도시에서 새벽에 무언가를 시작하는 곳은 너무도 많다. 불교사원과 교회, 편의점, 우유나 신문 배달소 등 모두가 잠든 시간이라 생각하는 시간에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깨어있다. 그런 새벽의 풍경에서 무진형제가 하필 시장이란 공간을 택한 것은 가장 이른 시간에 문을 연 시장이야말로 인간 삶의 민낯을 잘 보여주는 곳이라 여겨서이다.

무진형제가 방문한 새벽시장 어디에도 낮에 방문한 마트나 시장에서의 서비스, 친절, 혹은 결제를 위해 기다리는 고객들이 없었다. 가장 이른 시간에 거액의 돈이 오고 가고, 전국에서 올라온 대량 물품들이 순식간에 해체되어 흩어지며, 사람들은 너무도 바쁘고 다급하게 움직이다 인사도 없이 흩어진다. 돈과 재화를 향한 인간들의 욕망이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압축적으로 표출된다.

가령 마장동 축산시장에서는 코를 찌르는 고기 비린내가 진동하는 가운데 거대한 트럭들이 줄지어 서 있다. 안에는 이제 막 도축된 백 키로가 넘는 소와 돼지 수십 마리가 천정의 갈퀴에 매달린 채 피를 철철 흘리고 있다. 트럭 문이 열리자마자 비옷을 입은 일꾼들이 등장해 도축된 가축을 어깨에 한 마리씩 얹고 가게 곳곳으로 나르기 시작한다. 어느 누구도 쉬거나 일을 멈추는 법이 없다. 줄지어선 트럭 안의 것들을 비워내려면 누구도 게으름을 피울 여유 따윈 없는 것이다. 이어서 긴 도축용 칼을 신문지로 둘둘 말아 무심하게 다니던 기술자들이 대형 도마 앞에 놓인 가축들의 몸체를 이리저리 살피다 해체를 시작한다. 모두가 잠든 시간, 혹은 해가 어슴푸레 뜨기 시작한 시간에 새벽시장에서는 수백 마리의 도축된 생명체들과 수산물들이 이리저리 옮겨 다니고, 사람들은 해 뜨기 전 죽은 생명체들이 질 좋은 상품이 되도록 발 빠르게 돌아다닌다.

모든 것이 멈춰있는 어두컴컴한 시장 골목마다 화폐와 죽은 생명체의 활발한 이동이 너무도 선명하게 대비되어 보인다.(화폐란 비단 돈더미뿐만 아니라 차량운임비용, 인건비, 전기세 등등 새벽시장에서 장사하고 이동하는 사람들이 말하는 제반 비용과 그들 사이에서 오가는 이익을 통칭한다.) 우리의 삶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화훼상품조차 새벽시장에서는 그저 이 손에서 저 손으로 이 트럭에서 저 트럭으로 화폐더미와 함께 빠르게 이동되는 소비재에 불과해 보인다. 그 광경을 보고 있다 보면 우리 삶을 움직이고 있는 이면을 보게 된다.

무진형제는 그러한 시장의 풍경을 적외선카메라로 포착했다. 적외선 촬영은 빛이 풍부한 낮에 찍어야 하지만 무진형제는 오직 시장과 거리의 조명에 의존해 어두컴컴한 시장의 밤풍경을 담아보았다. 어둠 속에서 빛나는 시장의 소비재들을 포착하기 위해 밤에 찍는 모험을 감행했다. 그 결과 풍경과 사물은 왜곡되고, 예상치 않은 자연광과 조명, 그리고 상품들이 발하는 빛 등에 의해 변형되었다.

그리고 그 하나하나의 이미지가 담긴 필름을 조합해 슬라이드로 연결해 보았다. 바스코 포파의 시 「신중한 삼각형」에서 각 삼각형의 면은 끊임없이 부서지고 다시 조합되길 반복한다. 무진형제의 이번 작업 또한 그러한 무빙 이미지에 따라 만들어졌다. 사진은 때론 풍경과 사건의 이미지를 파편적으로 포착해내기도 한다. 여러 날을 새벽시장에서 촬영을 하고 현상해본 결과물은 무진형제 각자가 기억했던 새벽시장의 이미지와 묘하게 어긋나 있었다.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포착한 곳은 밤과 낮을 뒤집어 놓기도 했고, 의도치 않게 고기에 꽂아둔 꼬챙이가 강한 빛에 의해 더욱 부각되기도 했으며, 가느다란 식물의 줄기는 날카로운 칼날처럼 찍히기도 했다.

각각의 이미지들을 모아놓고 보니 마치 바스코 포파의 시 속의 누군가가 삼각형을 만들고 부순 것처럼, 혹은 삼각형 스스로 모였다 해체되길 반복한 것처럼 각각의 이미지들의 더미가 만들어졌다. 축산, 수산, 화훼 시장이라는 구분도 사라지고 이미지들은 오직 어둠과 빛에 의해 선택되고 사라진 것들만 남았다.

결국 새벽시장의 환경, 무진형제가 작업한 여건, 기온, 빛 등 무수한 조건들에 의해 변형된 이미지 조각이 만들어졌고, 무진형제는 이러한 이미지들을 겹쳐 새로운 이미지들을 탄생시켰다. 약 80여장의 이미지가 만들어졌고, 이는 슬라이드 이미지로 상영될 것이다. 삼각형의 파편처럼 관객들 또한 무진형제가 제시한 슬라이드 이미지, 시의 원문, 그리고 드로잉 등을 조합해 각자가 나름의 생각과 관념에 따라 이미지를 새롭게 부수고 조직할 수 있을 것이다.

* 궤적(櫃迹) 프로젝트

‘궤적(櫃迹)’은 문자 그대로 풀어보면 물건이 담긴 상자를 뜻하는 ‘궤(櫃)’와 발자국이나 자취를 뜻하는 ‘적(迹)’을 합한 글자다. 무진형제의 작업에서 ‘궤(櫃)’는 모든 작업의 시작점이다. 공간박스, 책장, 상자 등 ‘궤(櫃)’는 평소 책이나 작업에 필요한 재료 등을 넣어두는 공간임과 동시에 작업을 마치면 공구와 남은 재료, 그리고 온갖 메모들이 다시 저장되는 공간이다. 작업의 시작과 끝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물리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작업은 ‘궤(櫃)’에서 발견한 ‘적(迹)’으로부터 시작하고 끝을 맺는다. 무진형제에게 ‘적(迹)’은 누군가의 텍스트나 이미지가 주는 경외감, 의문, 낯섦 같은 것들이다. ‘궤(櫃)’에 담긴 타인의 작품으로부터 어떤 ‘적(迹)’을 찾아내면 새로운 작업이 시작되고, 그것이 또 다른 질문과 이야기가 되어 다음 작업으로 이어지는 식이다.

이번에 선보일 <궤적(櫃迹)>은 2017년부터 작업해 왔다. 개인적으로 작업의 기반과 환경 등에 대해 돌아보며, 동시대의 지형을 탐색해보고 싶었다. 무엇보다 평소 언론과 SNS 플랫폼 속 정보나 지식에 대한 의구심 같은 게 있었다. 한시적으로 떠돌다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타임라인 속 내용을 중심으로 동시대의 조건을 탐색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였기 때문이다. 정보에만 기댄 현재의 프레임을 벗어나 좀 더 다른 시대, 다른 배경, 그리고 더 먼 거리까지 가 볼 필요가 있었다. 고전 텍스트와 이미지를 선택한 이유다. 다른 시대와의 조우 속에서 지금 우리의 시대를 좀 멀찌감치 떨어져서 보고 싶었다.

지금까지 <궤적(櫃迹)>이라는 이름으로 진행했던 작업은 고전의 이미지와 시적 언어를 통해 동시대를 탐색하는 작업이었다. 때문에 작업 모두 과거의 시적 언어를 동시대의 여러 현장에서 풀어낸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선거 개표장, 제2롯데타워, 새벽시장, 신도시 아파트 등 익숙하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횔덜린과 바스코 포파, 그리고 루이스 캐럴의 시를 풀어놓고 작업했다.

그 결과 무진형제는 고전 작품으로부터 동시대의 문제들을 발견하기도 했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포착해낼 수 있었다. 가령 <좋은 세상>은 횔덜린의 「빵과 포도주」로부터 궁핍한 시대의 시인이 그려낸 신성한 세계에 대한 의문을 발견하고, 이를 지난 장미대선의 개표 현장에서 풀어낸 작업이다. 개표장의 삼엄한 감시 속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다양한 정치적 견해로 갈리는 군중들과 좋은 세상에 대한 열망이 담긴 수많은 유권자의 투표용지를 담아보았다. 또한 쥘베른의 「해저 2만리」와 루이스 캐럴의 「스나크 사냥」에서는 초고층 빌딩과 신도시의 아파트 단지에서 포착한 이미지들과 원 텍스트를 시의 형식으로 리라이팅 한 문자 언어를 뒤섞어 써내려가기도 했다.

애초에 <궤적(櫃迹)>은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고 한 작업은 아니었다. 그렇기에 어떤 사람들은 이번 작업들을 오독의 결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진형제는 그 또한 작업들이 제기한 의문으로 보고 함께 곱씹어 보았으면 한다. 무진형제 또한 답을 제시하기 위해 이번 작업을 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의문 속에서 시작된 작업은 끊임없이 또 다른 의문으로 이어졌다. 그러한 의문 속에서 관객들과 더 많은 언어 이미지를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순식간에 생성되고 사라지는 언어 이미지 속에서 무진형제의 작업을 보며 현재의 문제들을 좀 더 긴 호흡으로 숙고하고 곱씹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