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tureless Picturebook : Thinking Which Rejects Thinking, Particular Effects from Rejecting the Particular 1


1

The Moojin Brothers’s videos are characterized by plain narration and a screen composition based on a narrative structure that mixes ideological fiction with mundane reality. They recall the mockumentary approach – perhaps because their works are the result of combining their interpretations of everything they have experienced in society, and also because they reflect the artists’ practical narrative of capturing stories from society.

The combination of ideological fiction and objective reality in the videos embodies a journey of seeking out the key determinants for the conditions of living. The abstractions and riddle-like texts that fill the screen come across like an interesting fable, but they also have a side that illustrates the uniform and categorized nature of society, giving the viewer an unsettling sense of loss. This is because the relationships that should naturally form between people in society become distorted and individualized when combined with an unidentifiable social structure. Acutely perceiving this reality, the Moojin Brothers use realistic stories of fiction and the foreign and familiar elements within them to change our perspective. Adorno stated that “the value of a thought depends on its continued familiarity and how well you can distance yourself from it.”2 The Moojin Brothers record the process of mixing and rebuilding the frames of social conditions in order to carry Adornian thought to its conclusion. This is the beginning of a process of seeking out diverse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life today.


2

Who are you, and how can you be categorized? With what do your utterances coincide?… Just as our very right to existence crumbled when you kept making us question our own value, I believe that the best thing people can do is shut their mouths and internalize.3

Mumming Age recalls a workspace where one can sense a master craftsman’s hands at work. Inside that space, you may meet “Woman #1902,” who is quietly focused on her work. It is unclear exactly what she is. Purely from her handling of machinery and the movements of her hands in making things, she resembles a worker. On the other hand, the way in which the items she makes are connected to surround her body suggests how the irrational structures of reality continue in a cycle. This reflects a reality in which labor, which emerged as a means for living a humane life, is gradually being stripped of humanity. Woman #1902 has fallen into the snare of the capitalistic order without explaining who or what she is.

The Moojin Brothers expand on this social structure through the narrative of Scriptures of the Wind. Scriptures of the Wind shows creatures trying to preserve something sacred, in a workspace that appears to contain no warmth or exits. The code of behaviour that the two brothers follow as they work with their father seems to be intrinsic to a certain belief, providing a realistic demonstration of how people are unable to hold onto their idealistic and fictional beliefs, ultimately living like convicted criminals who can never be free. The self does not exist as a human with individual desires, but instead in terms of someone’s role or position.

A “Myrmecoleon,” which has the body of an ant and the head of a lion, appears as a creature that cannot be placed into any hierarchy. The Myrmecoleon does not belong with the ants or with the lions, and ends up dying without ever determining its identity. What fate would have befallen the Myrmecoleon had it been able to live completely as its own thing without being placed into a role? This represents the fear that in a reality where everything is categorized, a truly unique individual cannot survive.

The creatures that appear in Mumming Age and Scriptures of the Wind speak to a reality in which we are forced to live standardized lives in accordance with set rules. Their world they inhabit embodies a world of restrictions, where the gaze of others and hegemonic identity become internalized.


3

The family depicted in Soaring in Transition spans several generations, with a daughter-in-law who is suffering because of her motherin-law, a sick wife, and a husband who is forced to carry all of his family’s baggage. The family, which is supposed as a shield against deprivation, is instead ravaged by violence and poverty. Thus even the family unit begins to lose its humanity due to greed and the standardization of values. In the midst of this process, the serpent-child “Gua” (taking the first syllables from the Korean words gureongi [serpent] and ai [child]) is born. The mythical and personified creatures such as the serpent, the serpent-child, and the 'earth bird' are a metaphorical representation of a conflicted reality. They are losers who cannot live up to their real-world identity, as well as a self-portrait of modern people who have been marginalized by capitalism and rationality. While reflecting on the destruction wrought by humans who have objectified, fragmented, and destroyed nature because of their belief they can dominate everything, this work shows us that all they have attained means nothing at all in the end. The self, which has already been eroded by customs and homogeneity, becomes even further diminished in an environment of poverty and development.

'Grandma Eetto Eetto' in The Heap is a hopeful presence fighting against a devastated reality. Grandma Eetto Eetto is represented as a mechanism of communication that governs and connects new life in a world where communities have collapsed. She is like a martial arts expert, who exists apart from the universality of life and gives meaning to that which has been destroyed, while also representing a mother figure who can accept our life for what it truly is. Seeking to find and rebuild things amongst the rubble and share them with others, she shows us the reproductive structure as it has established itself within the framework of capitalism. However, the meaning of these actions does not reflect a realistic mechanism; it simply follows the positive feedback principles of nature. It is representation as resistance to actions that seek to build instead of produce, to construct rather than develop, before a reality that has been laid waste to by capital.


4

Slavoj Žižek has said that our thoughts have been programmed inside a fixed, homogenous system. For this reason, he recommends breaking the very mold of the world we are given. He believes that the best way to overthrow our current identity is by changing our thoughts and behavior. 4

Through a character called M, the Moojin Brothers suggest a practical method of critiquing universal identity. In The Last Sentence, M is the main character, a figure who cleans a dark underground tunnel. He represents the individuals that capitalism has created. M plays his part well, having been led to believe slogans such as “enjoy what you cannot avoid” and “youth is suffering.”

However, he is suddenly transported to a mysterious place after an accident and discovers a new space. At that moment, everything becomes clear to him: that lives exist outside of his own, and that all of his actions to that point were merely following the dictates of capitalism. After learning the truth about reality and examining a mazelike map, he departs down another dark path. This cannot be interpreted as a simple story of discovering society’s contradictions and choosing to leave. Within repeated social conditions, no practical action holds any meaning.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in a homogenous system, countless differing discourses will be recaptured within that system. In spite of this, M turns towards another realm of darkness, thereby hinting that the current system needs to be overturned. M’s actions and the dark location he finds himself in create an uneasy feeling. However, the Moojin Brothers guide our eyes and thoughts in a way that allows us to find the mechanism that produces this feeling of unease. And on that dark path, we come face to face with Odradek.

The fictional Odradek is like a belief that cannot be grasped, an unresolved answer. It is a journey of finding a Platonic ideal of life, depicting our obsession with the thought that we should always be following something. It limns a subconscious world imposed by some thing or another, and reveals that what we view as real life is really just empty fiction. However, alongside the possibility that Odradek cannot be grasped, this can also be interpreted as an invitation to look at a reality that is filled with differences and diversity. M disappearing into the darkness and the presence of Odradek are like hints of a deep yearning to look at reality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5

The Moojin Brothers take an artistic gaze that originates from within and turn it toward the external to observe communities. The Field of M is a work of public art that is designed to examine the identity of communities, encouraging the viewer to find the self that has become lost in social norms.

This is not a mechanism to force people to make choices for the purposes of the Moojin Brothers’ artistic practice; it is positioned with the intention of acknowledging and sharing different viewpoints. It aims to use the voices of themselves and others to hear the exploitative and repressive power that capitalism commands, while transporting that intent into public spaces so that it can be carried forward around the world.

These voices carry important meaning as they represent an act of resistance in the pursuit of a better life. As Slavoj Žižek stated, if we are already part of an ideology, then we need to change ourselves in order to resist it. 5 In this context, the role of The Field of M is to show that the value of life does not lie in the logic of society or hegemonic identity, but in the acknowledgment of differences and encounters with people who have different experiences. We do not need power or authority to change the uncomfortable aspects of society. The Moojin Brothers remind us that we can create stable social systems through the process of expanding our awareness of both ourselves and others.


6

We currently live in a society where everything is designed to move quickly. This speed ignores the thoughts and observations that lie deep within us, which means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rtists who understand and offer advice on the social context. In this sense, the artistic gaze of the Moojin Brothers, with its perception of irrational social structures, holds great meaning. The broader context of their videos tacitly reflects the reality we live in, and the characters and objects that appear within are representations of people who do not fit neatly in social categories. The endless search for fragmented wounds from a foundation in the universality of life represents the Moojin Brothers’s form of practice and their attempt to take the measure of our social context.

They give names to what cannot exist and impart different meanings, transforming and reconfiguring familiar things. The surreal creations that result from this are transformed into thoughts of resistance. We can relate this back to the “value of thought” that Adorno spoke of. This echoes the role of the artist in shedding light on power structures that undermine our ability to think critically.

From this standpoint, it is clear what the Moojin Brothers seek to do through their art. The unrealistic characters and narrative structure that urge us to reject everyday thinking may be taken as an alternative analysis toward a new change in perception, and as a discourse for diagnosing the presentness of the present.

1 Theodor Adorno, Minima Moralia: Reflections from Damaged Life (Radical Thinkers), (Verso, 2005)
2 Theodor Adorno, Minima Moralia: Reflections from Damaged Life (Radical Thinkers), (Verso, 2005)
3 Félix Guattari & Suely Rolnik, Micropolitiques, (EMPECHEURS DE PENSER EN ROND; Sciences humaines edition , 2010)
4 Slavoj Žižek,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Verso, 2016)
5 Slavoj Žižek,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Verso, 2016)


Lee Soo-hyun
Lee Soo-hyun has worked as a curator and received her Ph.D. from Dongduk Women's University. She served as curator at the i-Gong Alternative Visual Culture Factory, where she planned a variety of visual exhibitions (2012.2015), and as exhibition curator for the Seoul International New Media Festival. She currently works as a freelance writer and exhibition planner.

그림 없는 그림책 : 사유를 거부하는 사유, 특수자의 폐기로 만들어진 특수자 형상1


1

무진형제의 영상은 관념적 허구와 보편적 현실들이 교차하는 화면구성의 서사구조, 그리고 담담한 내레이션이 특징이다. 마치 하나의 모큐멘터리(페이크 다큐멘터리)를 연상시킨다. 아마도 그들이 사회에서 경험했던 모든 것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해석된 결과물이자 사회적 이야기를 담아내는 예술가의 실천적 내러티브가 반영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영상 속 허구적 관념과 객관적 현실의 구조는 삶의 조건을 결정짓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찾아가는 여정이 담겨 있다. 화면 곳곳에 배치된 추상적 존재와 수수께끼 같은 텍스트들은 흥미로운 우화처럼 다가오지만 그 이면에 내재된 획일적이고 범주화된 사회모습은 흔들리는 상실감을 안겨준다. 그것은 사람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어야 할 관계가 알 수 없는 사회적 구조와 결합하여 왜곡되고 개인화된 모습으로 변해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을 체감하고 있는 무진형제는 사실과 같은 가상적 이야기 전개와 그 안에 담겨진 이질적이면서도 친근한 장치들을 통해 우리의 사고를 전환시킨다. ‘아도르노’는 “사유의 가치는 사유가 친숙한 것의 연속성과 얼마큼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가를 통해 가늠 된다” 2 고 전한다. 무진형제는 ‘아도르노’와 같은 사유가 관철되도록 사회적 조건의 틀을 뒤섞어 재구축하는 과정을 기록한다. 이 모든 것은 지금의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을 모색하는 과정의 시작이다.

- 당신은 누구인지, 당신은 어떤 부류 안에 분류될 수 있는가?, 당신의 발화는 무엇에 일치하는가?, (중략) 너는 무슨 가치가 있는지를 계속 의심하게 만들어 우리가 존재할 권리 자체가 붕괴된 것처럼 , 그래서 사람들은 해야 할 최선을 입 닥치고 내면화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3

<적막의 시대>는 장인의 손길이 느껴지는 작업 공간을 연상하게 한다. 그리고 그 공간에서 묵묵히 자신의 작업에 몰두하는 ‘1902호 여자’를 만날 수 있다. 그녀가 어떤 존재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단지 기계를 다루고 물건을 제작하는 손길은 흡사 노동자의 모습과 비슷하다. 한편, 자신이 만들어낸 물체들을 연결해 자신의 몸 전체에 둘러쓴 모습은 마치 부조리한 현실 구조가 계속해서 순환되는 현상을 암시한다. 인간다운 삶을 위한 노동의 실현이 점점 비인간화 되어가는 현실의 모습을 반영한 것이다 ‘1902호 여자’는 자신이 무엇인지, 누구인지, 설명하지 못한 채 자본주의가 만들어 내는 질서의 함정에 갇혀있다.

무진형제는 <풍경(風經)>의 내러티브를 통해 이러한 사회적 구조를 좀 더 극대화 시켜 나아간다. <풍경>은 정감도 출구도 없어 보이는 작업공간에서 무언가 성스러운 것을 보존하고 지키고자 노력하는 피조물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어떠한 신념에 내재된 듯 움직이는 두 형제와 아버지의 행동규범은 사람들이 바라는 관념적이고 허구적인 신념을 지키지 못해 유죄를 선고받은 죄인처럼 자유롭지 못한 삶을 살아가는 모습을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나’라는 존재는 욕망을 가진 인간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닌 누군가의 역할과 위치로만 존재한다는 것이다.

개미의 몸과 사자의 얼굴을 한 ‘미르메콜레온’은 그 어떤 위계질서에도 위치시킬 수 없는 존재로 등장한다. 개미의 위치에도 사자의 위치에도 자리할 수 없는 ‘미르메콜레온’은 결국 자신이 무엇인지 확인하지 못하고 죽어간다. 어느 역할에도 자리하지 않고 온전히 자신의 모습으로만 살아 갈수 있었다면 ‘미르메콜레온’의 결말은 어떠했을까? 모든 것이 범주화 되어가는 현 시점에서 특이성을 가진 개체로는 살아갈 수 없는 현실의 우려로 비춰진다.

<적막의 시대>와 <풍경>에서 제시된 모든 생명체들은 정해진 규범 안에서 표준화된 삶으로만 살아야 하는 현실적 존재를 대변한다. 그들이 사는 세상은 타인의 시선과 헤게모니적 정체성이 내면화된 제한적 세계의 형상화인 것이다.


3

<비화(飛化)>의 배경이 되고 있는 가족은 시어머니에 시달리는 며느리. 병든 아내. 가족의 짐을 짊어져야 하는 아버지의 모습이 여러 세대를 거치며 이어진다. 인간의 결핍을 보듬어 줄 것이라고 생각했던 가족의 모습은 폭력과 가난으로 인해 폐허가 된다. 가족이라는 이름의 공동체마저도 인간의 욕심과 규격화된 가치관으로 인해 점점 비인격화되어 간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구렁이 아이 - 구아’는 태어났다. 구렁이, 구렁이 아이, 땅새와 같은 신화적이고 의인화된 존재는 현실의 모순적 상황의 은유적 표현이다. 세상의 정체성에 부합하지 못하는 낙오자의 모습이자 자본과 이성으로 인해 소외된 현대인의 상징적 자화상이다. 모든 것을 지배할 수 있을 것 같은 인간이기에 모든 자연을 대상화하여 균열시켰고 그로 인해 폐허가 된 세상을 돌아보며 그들이 가졌던 모든 위계가 아무것도 아니었음을 우리에게 전달하고 있다. 관습과 동일성으로 상처받은 자아는 빈곤과 개발이라는 환경에서 또 다시 상실된다.

<더미>의 ‘이토이토 할멈’은 폐허와 같은 현실에 저항하며 살아가는 희망 같은 존재로 등장한다. ‘이토이토 할멈’은 무너진 공동체의 삶의 터전에서 새로운 생명을 다스리고 연결하는 소통의 장치로 표현된다. 무술적 존재와 같은 ‘이토이토 할멈’은 보편화된 삶의 모습에서 제외되고 부서진 것들에 의미를 부여하는 역할이자, 우리 삶을 있는 그대로 받아 줄 수 있는 어머니와 같은 형상으로 반영된다. 폐허 속에서 무언가를 찾아 다시 쌓아 올리고 그것을 누군가에게 전달하는 모습은 마치 자본의 논리 속에 자리 잡은 재생산의 구조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행위의 의미는 현실적 메커니즘을 반영하는 것이 아닌 자연의 선순환적인 이치를 따를 뿐이다. 자본에 의해 무너진 현실 앞에서 생산이 아닌 구축, 개발이 아닌 건설을 향한 실천적 행위의 저항으로서의 표상이다.


4

‘슬라보예 지젝’은 우리의 사유가 이미 정해진 동일성의 체계에 프로그램화 되어있다고 한다. 그렇기에 우리에게 주어진 세계의 논리 자체를 전복하길 권하고 있다. 지금의 정체성을 정면으로 뒤집을 수 있는 저항의 방법으로 우리의 사유와 행위가 변화되어야 한다고 전하는 것이다.4

무진형제는 ‘M’ 이라는 설정을 통해 보편적 정체성을 비판하는 실천적 방법을 제시한다. 어두운 지하터널을 청소하는 <결구>의 주인공 ‘M’은 자본주의가 만들어 놓은 개인의 모습을 반영한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아프니까 청춘이다- 와 같은 슬로건이 신념이 된 ‘M’은 자신의 역할에 충실해 보인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사고로 알 수 없는 곳에 도달하게 된 ‘M’은 새로운 공간을 발견하게 된다. 그 순간 ‘M’은 모든 것을 깨닫는다. 자신과 다른 삶이 있다는 것, 그리고 자신이 해왔던 모든 행동이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지시작용에 불과 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M’은 현실의 구조를 깨닫고 미로와 같은 지도를 살펴본 후 또 다른 어둠의 길로 떠난다. 그것은 단순히 사회적 모순을 깨닫고 떠나는 것으로만 해석될 수 없다. 반복되는 사회적 조건에서는 그 어떤 실천적 행위도 의미를 갖지 못한다. 다시 말해, 동일성의 체계 안에서는 무수히 많은 차이의 담론도 그 안으로 다시 포획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은 지금의 현실 체계는 전복이 필요 하다는 것을 암시하듯 또 다른 어둠속으로 향한다. ‘M’의 행동과 어둠속 장소는 다소 불안해 보인다. 그러나 무진형제는 그 불안의 감정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메커니즘을 찾을 수 있도록 우리의 시선과 사유를 이끌고 있다. 그리고 그 어둠의 통로에서 <오드라덱> 과 마주한다.

허구적 존재인 ‘오드라덱’은 잡을 수 없는 신념이자 해결되지 않는 답과 같다. 그것은 플라톤의 이데아와 같은 삶을 찾는 여정이며, 늘 무언가를 따라가야 하는 강박증 같은 우리의 사고를 그린다. 그렇게 무언가에 강요된 무의식의 세계를 묘사하며, 우리가 진실된 삶이라고 믿는 것들이 빈약한 허구와 같다는 것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오드라덱’은 잡을 수 없는 가능성임과 동시에 -차이와 다양성이 가득한 현실을 돌아보도록 유도하는 해법일 수 도 있다. 어둠속으로 사라지는 ‘M’의 행동과 ‘오드라덱’의 존재는 지금의 현실을 다르게 바라보는 염원의 실마리와도 같다.


5

무진형제는 그들의 내면에서 시작된 예술적 시선을 외부로 옮기며 공동체를 바라본다.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해 공공미술로 구성된 <M의 장(場)>은 사회적 규범 속에서 상실해 버린 자아를 찾도록 유도한다.

자신들의 예술적 실천을 위해 사람들에게 선택을 강요하는 장치로서가 아니라, 서로의 다양한 생각을 인정하고 나누기 위한 의도로 위치한다. 그것은 자본의 착취와 억압이 구사하는 힘의 작용을 자신과 타인의 목소리로 듣고자 한 것이며, 그 의지가 세상에 관철 될 수 있도록 공적공간으로 장소를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목소리들은 더 나은 삶을 만들기 위한 저항의 행동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슬라보예 지젝’의 말처럼 우리 자신이 이미 이데올로기의 일부라면 그것에 저항하기 위해 우리는 변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M의 장>이 갖는 역할은 우리 삶의 가치가 사회적 논리와 헤게모니적 정체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경험하는 사람들과의 만남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제시한다. 지금의 불편한 사회를 바꾸기 위해서는 그 어떤 권력이나 권위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자신과 타인을 인식하고 환대하는 과정 속에서 안정된 사회 제도가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키고 있다.


6

지금의 우리는 모든 것이 빠르게 움직이도록 구성된 사회에 놓여있다. 그 속도는 언제나 우리의 깊이 있는 사유와 관찰을 간과하기에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 자문하는 예술가의 역할이 간절해지는 상황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실의 부조리한 사회적 구조를 견지하는 무진형제의 예술적 시선은 의미가 있다.

영상이 가지고 있는 커다란 맥락은 지금의 현실 모습을 암묵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그 안에 등장하는 모든 생명체와 오브제들은 사회적 범주 안에 들어가지 못한 주변의 존재로 표현된다. 보편적 삶의 토대 위에서 파편화된 상처들을 끊임없이 찾아 나서는 행위는 사회적 맥락을 짚고자 하는 무진형제의 예술가적 실천이자 노력이다.

존재 할 수 없는 것들을 호명하여 남다른 의미를 부여하면서 익숙한 것들을 변형하고 재구성한다. 그렇게 창조된 초현실 같은 실체들은 저항을 위한 사유로 전환된다. 여기서 우리는 ‘아도르노’가 언급한 ‘사유의 가치’를 떠올려 볼 수 있다. 그것은 우리의 분석적 능력을 저하시키는 힘의 구조를 밝히는 것으로 예술가의 역할과 일치한다. 이런 관점에서 무진형제의 예술적 실천은 분명하다. 일반적 사유를 거부하게 만드는 비현실적 존재들과 서사구조는 새로운 인식의 변화를 위한 대안적 분석과 지금의 현존성을 진단하는 담론의 역할로 제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1 테오도르 아도르노, 김유동 옮김, 『미니마 모랄리아』, 도서출판 길, 2005
2 테오도르 아도르노, 김유동 옮김, 『미니마 모랄리아』, 도서출판 길, 2005
3 펠릭스 가타리/수에리 롤리크, 윤수종 옮김, 『미시정치』, 도서출판b, 2010
4 슬라보예 지젝, 최영송 옮김,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5 슬라보예 지젝, 최영송 옮김,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이수현
동덕여대에서 큐레이터과 박사수료를 하였다.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큐레이터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시각의 전시를 기획(2012~2015),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전시제 큐레이터를 담당하였다. 현재는 글쓰기와 전시기획을 위해 독립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