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nting of Strange Objects
There is no decent market in new town’s small apartment complex called Sannae village. This is a quiet place like inside the mountain which only has the sound of car engine getting turned off at night and crying sound of a stray cat. At there, the night market is opened twice a year. On that day, as if a festival is held in the town, it was crowded, and kids were blowing up the sparks and shouting, but nobody filed a complaint. Why did the residents become so enthusiastic in that shabby night market?
At this point, texts of one book are overlapped. A security man who controls the traffic by continuously swinging the light-saber like a Bellman captain, a butcher who makes a crying sound of Jubjub bird, and a dentist and real estate president tearing their hairs out while they count the money and achieve scores in front of the game room like a beaver, etc. “The Hunting of the Snark” by Lewis Carroll automatically comes across my mind when I look at neighbors in the night market.
1. Inevitable Misinterpretatio“The Hunting of the Snark” is divided into eight convulsions (經聯 or 痙攣). Each convulsion is connected to stories, experiences, and dreams of people who left for Snark Hunting, but various meanings such as disappointment, deep friendship, panic, useless dream, and extinction occur. In each convulsion, the characters experience that the life that each one keeps breaks up or scatters in the middle of cracks where belief, common sense, and misunderstanding break. Nevertheless, sailing and hunting continue because a bread lover, who only has sufficient knowledge about Snark, disappeared at the end with Snark who became a Boojum. Another excuse to find disappeared people for the remaining party occurred. Like this, the whole story “The Hunting of the Snark” cracked and destructed, and recombined extraordinarily at the same time.
As I read “The Hunting of the Snark”, I feel the unfamiliarity and discomfort made by words which are wriggling in the form of an aligned poem. This is not simply an abstruseness. This is a word that everyone clearly knows, and there is no reason not to interpret, but when I officially try to interpret the meaning, it keeps slipping. Footnotes and interpretation that many people attached are not helpful. Although I look at those interpretations separately, I experience the eccentricity that gradually has to be far away from the drawn world by Lewis Carroll. The words that try to bounce to somewhere are repeating to collide, combine, and separate with unexpected things to the last. And, it asks the audience again. ‘So, what is Snark? What is Boojum?’. It’s useless although I match the spellings of Snark and Boojum or depend on the power of footnote again. Interpretation of "The Hunting of the Snark" is the endless repetition of these things. Endless misinterpretation. Like a bread lover who became extinct as he shouts Boojum while following Snark, we come to the first place every time and try to find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Hunting of the Snark again.
If we look at this more carefully, this confusing and incomprehensible language introduce us to a different understanding about the language. Lewis Carroll sticks all languages with logic and tries to regulate the reality in front of him by finding the accurate terms. Based on this, he twists the language habit of us who try to seek the common understanding. Language’s net that he set and those puns actually target our consistent and universal language image.
So, we can’t just interpret this one by one as we set our attention to the language that Lewis Carroll set. Instead, we should chase the overall language’s combination and movement and read them. We need to find the firm language image and the cracks hidden in common sense and broad knowledge frame, and follow the things bounced off from there. If we go like that, writing, or art on a large scale, to Lewis Carroll is close to various images and exploration following the image which is inherent in words and lines rather than creating new contents or meaning.
2. Meaning found from misinterpretatioSannae village is an apartment complex that everything is thoroughly managed. As if it's built under someone’s plan, there are ten strong concrete buildings, and they entirely limit outsiders with CCTV and passwords at the entrance. Even one clump of grass has to grow in a proper size in the fixed area in the garden.
Night market might be the only experience that people in the uniform residence escape, simply occupy the middle crossroad, and move here and there like Lewis Carroll’s language. At that moment, they can drink and throw up at the apartment, outsiders go all over the apartment without any restriction, and children jump around, shout, and set off the fireworks. The time that momentary chaos is allowed. That time is the same as the eccentric time that a butcher who kills only beavers and a beaver who despises the butcher obtain the eternal friendship through hunting.
Characters who left for adventures to hunt Snark such as lawyer and banker, agent, butcher, beaver, and bread lover would have diligently led economic activity every day in each law system and economic structure at the marketplace. Those people left for adventure which is Snark Hunting by riding on the ship where ‘Then the bowsprit got mixed with the rudder sometimes.’1 and depending on the captain who can only shake bell and ‘blank map.’ They arrived in ‘Just the place for a Snark’ which doesn’t even have a place name. It only shares the target which is Snark.
However, Snark didn’t even appear to the last. Even in a scene that Snark appears, it was presiding judge’s Snark that a lawyer arbitrarily dreamed. Eventually, concepts about eccentric quarry, which is Snark, are all drawn differently based on each one’s job, knowledge, and situation. And, people following each different Snark hunt in the suitable method for each one or come to an end. For example, as if a banker represents the unexpected flow of capital which is Bandersnatch, he is attacked by the existences tackling rapidly and becomes panic. This is like the last days of a bankrupt capitalist. A bread lover who is a representative of oblivion and even forgets a bag and name became Boojum as soon as he faces Snark. Just like the one who forgets everything, this was a proper ending that he disappears by leaving no trace in a flash.
Eventually, there’s only conclusion that each one arrives at the end of each road. It means that there is no life that anyone catches Snark and becomes successful. Even if anyone catches Snark, a proper life is concluded based on the life’s aspect that each one has. Then, what happened to the residents in this Sannae village? What kind of life would people, who returned from the voyage which is night market or adventure, go through and what conclusions would they face? Of course, we don’t know yet.
As they approached more closely to Snark, they failed, so the sailing has to be continued. Now, we have to find a disappeared bread lover, and the reason why Bellman’s map is blank came out at this point. Like our actual work is isotropy at first, even if they arrive at the destination by finding the accurate direction and location, this is an adventure that a bread lover disappears at the end. In anywhere in our lives, there is no clear destination or life’s value and things that we strictly pursue. This is also the imagination that our language image made. Like a disappeared Snark who became Boojum when they faced...
Residents in Sannae village live by following each one’s Snark. Piled up an order, useless regulation, strong belief... Suffocating life’s value at the thought. As a result of living by following Snark, everyone could buy that concrete mass with million dollars. In some ways, the night market would have been a very small motivation that trivial regulations that they made disrupted and became the crack such as that the middle crossroad in the apartment should be clearly emptied and there shouldn’t be an obstacle on the street. However, the accurate life’s coordinate and standardized life’s pursuit have completely maintained.
3. After the festival, only children’s laughter...After the festival, Snark that only children couldn’t grab. They frankly sang their joy and vain that spread on the road in the imaginary world. From the first, “The Hunting of the Snark” is a poem for one girl.2 So, the second video of Hunting of Strange Objects contains the story of one kid who participated in the night market. Of course, the kid tells everything with laughter in the video. To mention a little about story’s background, the kid barely maintains the harmony by hanging at the academic schedule that adults made. Her daily routine is complicatedly mixed with English, math and music, art (It’s like inserting a thimble, railway stock, fork, hope to one phrase...).
Adults become embarrassed whenever a girl laughs. Kid’s strange laughter that came out at improper timing. Sometimes, her laugh tells more words, but it’s impossible to interpret them with adults’ hardened brain. To contain her laughter, Moojin Brothers installed the actual chromakey stand in the background of a silent apartment where the festival swept out. At there, they placed the silhouette that has girl’s laughter and the chorus of “The Hunting of the Snark”. Kid’s silhouette and Lewis Carroll’s line are shaken with the wind, removed, and appeared again. Both of two languages remind us of the plosive, which is all uniform apartment complex and logical language, peculiarly sticking out from the standardized frame of our society.
Two videos of Hunting of Strange Objects are progressed as video and text pieces intersect. I mixed the doubt about the night market that I said earlier and some phrases from Lewis Carroll’s “The Hunting of the Snark” that was reminded from the filming process. This is how the doubt started from Lewis Carroll’s language image overlaps with the doubt about contemporaries’ lives discovered at the night market. The first video overlays the chromakey color and the second one projected the video and texts to chromakey stand.
Chromakey plays a role to show an artificial space and background in the whole video. I contained the actual characters or objects that strangely modified and tried to disappear in the green video. Also, the background that Lewis Carroll’s language made is very eccentric and not natural, and greenish chromakey is the same. Chromakey’s green color is like the natural color of the media that all video’s projection is possible. In that regard, it seems similar to the background of “The Hunting of the Snark”. Text’s background that language created and the set that video image made overlap like that.
The kid laughed by dreaming the night market that will be held in the spring of 2019. Laugh that is not stained with the entrance exam, finding a job, marriage, buying a house, and pension. (As I list up goals in the life stage, it seems like it’s more than Lewis Carroll’s puns). I think I somewhat know why Lewis Carroll offered this cruel adults’ fairy tales to a young girl of all things. A lonely feeling after a bread lover disappeared after becoming a Boojum as soon as a bread lover finds Snark. I don’t know how long these kids’ laughter continues. Of course, it’s a little bitter and frightening if I recall that they are Bell captain’s party who is intensely training to leave for Snark hunting sometime.
As they approached more closely to Snark, they failed, so the sailing has to be continued. Now, we have to find a disappeared bread lover, and the reason why Bellman’s map is blank came out at this point. Like our actual work is isotropy at first, even if they arrive at the destination by finding the accurate direction and location, this is an adventure that a bread lover disappears at the end. In anywhere in our lives, there is no clear destination or life’s value and things that we strictly pursue. This is also the imagination that our language image made. Like a disappeared Snark who became Boojum when they faced...
Residents in Sannae village live by following each one’s Snark. Piled up an order, useless regulation, strong belief... Suffocating life’s value at the thought. As a result of living by following Snark, everyone could buy that concrete mass with million dollars. In some ways, the night market would have been a very small motivation that trivial regulations that they made disrupted and became the crack such as that the middle crossroad in the apartment should be clearly emptied and there shouldn’t be an obstacle on the street. However, the accurate life’s coordinate and standardized life’s pursuit have completely maintained.
* Project, The Trace of the Box
‘The trace of the box(櫃迹: Gwe Jeok)’ is the word composed of Gwe(櫃), which means the box containing the object, and Jeok(迹), which means the trace or footprint. In the work of Moojin Brothers, the Gwe(櫃) is the starting point of all the works. Gwe(櫃) such as box, bookshelf, chest, etc. is the space placing the book or materials required for work, etc, and at the same time, is the space that the tools, remaining materials and all kinds of memos are stored again when the work is finished. It can be the physical space that the beginning and end of work are repeated endlessly.
All the works starts and ends with the Jeok(迹). For Moojin Brothers, Jeok(迹) is the something like awe, question and strangeness. When some Jeok(迹) are found from the works of others contained in Gwe(櫃), new work starts and it becomes another question and story leading to next work.
The Trace of the Box(櫃迹) presented now have been started since 2017. Looking back the base of works, environment, etc. personally, I wanted to explore the geography in the same ages. Above all, I usually have some doubts on the press, information or knowledge in the SNS platform. Because exploring the conditions in the same ages around the contents in the timeline, which emerge and disappear repeatedly is seemed unreasonable. It needs to go further to different age, different background and far getting away from the current frame, which relies only on the information, That is why I selected the classic texts and images. with encountering with another age, I wanted to look our ages far away from it.
The work proceeded under the name of The Trace of the Box(櫃迹) is the work to explore this ages through the classic images and poetic language. So, all the works have a common point that the poetic language in the past were unraveled in various sites in this ages. I worked unraveling the poem of Hölderlin, Vasco Popa and Luis Carroll in the familiar and routine spaces such as ballot-counting site, Lotte World Tower, dawn market, new town apartment, etc.
As a result, Moojin Brothers used to discover the contemporary problems in the classic works and was able to capture diverse images in the routine spaces. For example, A Better World is the work that discovered the question about sacred world depicted by the poet in the ages of impoverishment from the “Bread and Wine” by Hölderlin and unraveled in the ballot-counting site of past Presidential Election. It captured the crowd that were divided by diverse political opinions and the ballot of many votes contained the aspiration of voter for better world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under the strict surveillance in the ballot-counting site. In addition, In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by Jules Verne and "Hunting of the Snark" by Luis Carroll, the images capture at the skyscraper and new town apartment complex and the written language, which rewrote the original test in the form of poem, were written down mixing them together
Originally, The Trace of the Box(櫃迹) is not the work having correct answer and clear direction. So, some people may consider these works as a results of misreading. However, Moojin Brothers consider that as the questions raised by works and I hope that you would appreciate that same way. Because Moojin Brothers did not make this works to give an answer. Rather, the work started in the questions was leaded to another question. In such questions, it is possible to share the linguistic images with the audiences. I hope that seeing the works of Moojin Brothers in the linguistic images, which were generated and disappeared in an instance, we would have time to be able to think over and appreciate the current problems calmly.
1 Lewis Carroll, 「The Hunting of the Snark」, Tate Publishing, Published in 2011, 7P
2 Lewis Carroll, 「The Hunting of the Snark」, Gutenberg Ebook, Released in 2009
'Inscribed to a dear Child / in memory of golden summer hours / and whispers of a summer sea.'
궤적(櫃迹) - 기물(奇物) 사냥도
산내(山內)마을이라는 작은 규모의 신도시 아파트 단지에는 변변한 마트 하나 없다. 밤이면 자동차 시동이 꺼지는 소리와 길고양이 울음소리가 전부인 그야말로 산 속처럼 조용한 곳이다. 그곳에서 일 년에 딱 두 번의 야시장이 열린다. 그날, 단지 안은 마치 축제가 벌어진 듯 북적이고 아이들이 불꽃을 터뜨리고 소리를 질러대도 아무도 민원을 넣지 않는다. 주민들은 그 허름한 야시장에 왜 그렇게 열광한 걸까?
이쯤에서 한 권의 텍스트가 겹쳐진다. 벨맨 선장처럼 계속해서 야광봉을 휘두르며 차량을 통제하는 경비 아저씨, 접접새의 울음 소리를 새는 푸주한과 비버처럼 게임장 앞에서 지폐와 획득한 점수를 동시에 새며 머리를 쥐어뜯고 있는 치과의사와 부동산 사장 등. 야시장의 이웃들을 보고 있으면 루이스 캐럴의 「스나크 사냥」이 절로 떠오른다.
1. 필연적 오독「스나크 사냥」은 8개의 경련(經聯 혹은 痙攣)으로 나뉜다. 각각의 경련은 스나크 사냥을 떠난 사람들의 이야기와 경험, 꿈 등에 의해 연결되지만 동시에 사냥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망감, 깊은 우정, 공황, 헛된 꿈, 소멸 등 다양한 의미를 발생한다. 각각의 경련 속에서 등장인물들은 믿음과 상식, 오해가 깨지는 균열 한 가운데 각자가 견지해 왔던 삶이 해체되거나 흩어져버리는 경험을 하게 된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해와 사냥은 계속된다. 결론에서 유일하게 스나크에 대한 지식이 풍부했던 빵쟁이가 부줌이 되어버린 스나크와 함께 사라져 버렸기 때문에, 남은 일행들에게는 사라진 자를 찾아야 한다는 또 다른 사냥의 구실이 발생했다. 이렇듯 「스나크 사냥」의 전체 내용이 균열되고 파괴되며 동시에 엉뚱한 방식으로 재조합된다.
「스나크 사냥」을 읽다 보면 정렬된 시의 형식 속에서 꿈틀대는 단어들이 만들어내는 낯섦과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단순한 난해함이 아니다. 분명 다 아는 단어고 독해하지 못할 이유가 없는데, 본격적으로 그 의미를 해석하려 들면 자꾸만 미끄러져 버린다. 수많은 사람들이 붙여둔 주석이나 해석도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 해석만 따로 모아 봐도 결국엔 루이스 캐럴이 그린 세계로부터 점점 더 멀어질 수밖에 없는 기이한 경험을 하게 된다. 그렇게 어딘가로 튕겨 나가려던 단어들은 끝내 예상치 못한 것들과 충돌하고 합쳐졌다 분열하기를 반복한다. 그리고 독자들은 되묻게 된다. '그래서 스나크는 뭐고? 부줌은 뭔데?' 스나크와 부줌의 철자를 이리저리 꿰맞추고 결국 또 주석의 힘에 기대도 소용없다. 「스나크 사냥」의 독해는 이런 짓거리의 무한 반복이다. 끊임없는 오독. 스나크를 쫓다 부줌이라 외치다 소멸한 빵쟁이처럼 우리는 매번 처음 그 자리로 돌아와 다시금 「스나크 사냥」의 내용과 의미를 찾게 된다.
그런데 가만히 들여다보면 이 혼란하고 이해 불가한 언어는 우리를 언어에 대한 다른 이해로 안내한다. 루이스 캐럴은 모든 언어를 논리로 이어 붙이고, 적확한 용어를 찾아 눈앞의 실제를 규정하려 들며, 이를 바탕으로 공통의 이해를 추구하고자 하는 우리의 언어습관을 비틀어버린다. 그가 쳐놓은 언어의 그물, 그 말장난 같은 것들은 실은 우리의 일관되고 보편적인 언어이미지를 겨냥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루이스 캐럴이 쳐놓은 언어에 시선을 고정한 채 이를 하나하나를 해석하려 들면 안 된다. 오히려 그 전체적인 언어의 조합과 움직임을 쫓으며 읽어야 하지 않을까. 굳건한 언어 이미지, 상식과 범박한 지식의 틀에 숨어 있는 균열을 발견하고 그곳에서 튕겨 나가는 것들을 따라 움직여야만 한다. 그렇게 가다 보면 루이스 캐럴에게 글쓰기는, 좀 더 거창하게는 예술이란 것이 새로운 내용이나 의미를 창안하기보다 단어나 구절에 내재된 다양한 의미와 이미지를 따라 다니는 탐색에 가깝다는 걸 알게 된다.
2. 오독으로부터 찾은 의미산내마을은 모든 것이 철저하게 관리되는 아파트 단지다. 마치 누군가의 계획하게 지어진 듯한 견고한 콘크리트 건물 10동이 있고, 그곳은 CCTV와 현관 비밀번호로 외부인을 철저히 제한한다. 심지어 풀 한 포기도 화단 안의 정해진 구역에서 적절한 크기로 자라야 한다.
야시장은 그 획일적인 거주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삐져나와 단지 중앙의 차로를 점거하며 루이스캐럴의 언어처럼 이곳저곳으로 움직이던 유일한 경험이었을지 모른다. 그 순간만큼은 아파트에서 술 마시고 토해도 되고, 외부인들이 아무런 제지 없이 단지를 휘젓고 다녀도 되며, 아이들은 방방 뛰고 소리 지르며 폭죽을 터뜨려도 되는 시간이었다. 잠깐의 카오스가 허락된 시간. 그 시간은 비버만을 죽이는 푸주한과 그러한 푸주한을 경멸한 비버가 사냥을 통해 영원한 우정을 획득할 수 있었던 기이한 시간과도 같다.
생각해보면 스나크를 사냥하기 위해 모험을 떠난 인물들, 가령 변호사와 은행가, 중개상, 푸주한, 비버, 빵쟁이 등도 저잣거리에서는 각자의 법 시스템과 경제 구조 안에서 하루하루 열심히 경제활동을 영위해 나갔을 것이다. 그랬던 사람들이 '이따금 기움 돛대에 키가 들러 붙어'1있는 배를 타고 '백지 지도'와 벨만 흔들 줄 아는 선장에 의지해 스나크 사냥이라는 모험을 떠난다. 그렇게 지명도 없는, '스나크가 살기 좋은 곳'에 당도했다. 스나크라는 단 하나의 목표물만을 공유한 채 말이다.
하지만 스나크는 끝내 등장하지도 않는다. 그나마 스나크가 등장한 장면조차 변호사가 제멋대로 꿈꿨던 재판장의 스나크였다. 결국 스나크라는 기이한 사냥감에 대한 관념은 그들 각자의 직업과 상식과 상황에 따라 모두 다르게 그려진다. 그리고 저마다 다른 스나크를 쫓던 자들은 각자에게 맞는 방식대로 사냥을 하거나 결말을 맞게 된다. 가령 은행가는 밴더스내치라는, 예측 불가능한 자본의 흐름을 상징하는 듯 빠른 속도로 달려드는 존재에게 공격을 당하고 공황 상태에 빠진다. 마치 파산한 자본가의 말로 같다. 가방과 이름마저 잊은 망각의 대표주자 빵쟁이는 그야말로 스나크와 마주한 순간 부줌이 되어버린다. 모든 걸 망각한 자답게 순식간에 어떤 흔적도 남기지 않고 사라지는 딱 적절한 결말이다.
결국 각자는 각자의 길 끝에 도달하는 결론 밖에 없다. 누군가 스나크를 잡아 성공하는 그런 삶은 없다는 뜻이다. 혹 스나크를 붙잡는다 해도 각자가 지니고 있는 삶의 양태에 따라 그에 맞는 생으로 귀결될 뿐이다. 그렇다면 이 산내마을 주민들은 어떻게 됐을까. 야시장이라는 항해 혹은 모험으로부터 되돌아온 그들은 어떤 삶의 과정을 거쳐 저마다의 결말을 맞게 될까. 물론 아직까지는 모를 일이다.
그렇게 그들은 스나크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간 순간 실패했고, 그래서 항해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이제는 사라진 빵쟁이까지 찾아야 하니, 여기서 벨맨의 지도가 백지인 이유가 드러난다. 애초에 우리의 실제 세계가 등방성인 것처럼 그들이 아무리 정확한 방향과 위치를 구해 목적지로 간다 해도 결국은 빵쟁이처럼 사라질 일만 남은 모험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삶 어디에도 분명한 목적지나 삶의 가치, 절대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것은 그 어디에도 없다. 그 또한 우리의 언어 이미지가 만들어낸 가상일뿐이다. 마주한 순간 부줌이 되어 소멸한 스나크처럼..
산내마을 주민들 또한 각자의 스나크를 쫓으며 살고 있다. 층층이 쌓인 질서, 헛된 규칙, 굳건한 믿음... 생각만 해도 숨 막히는 삶의 가치, 스나크를 쫓으며 산 결과 다들 저 콘크리트 덩어리를 몇 억씩 주고 살 수 있었다. 어찌 보면 야시장은 그들이 쳐놓은 소소한 규칙, 가령 아파트 중앙 차로를 깨끗이 비우고 통행에 걸림이 없어야 한다는 따위의 것들이 무너지는 아주 작은 계기, 균열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런 정도로 그들이 추구하는 정확한 삶의 좌표, 규격화된 일상의 추구는 끄떡도 없이 유지되었다.
3. 축제가 끝난 후, 오직 아이들의 웃음소리만이...축제가 끝난 후, 오직 아이들만이 결코 잡을 수 없었던 스나크, 자신들의 즐거움과 도로에 펼쳐진 가상의 세계에서의 허망함을 솔직하게 노래했다. 애초에 이 「스나크 사냥」은 한 소녀에게 바친 시다.2 그래서 <기물사냥도>의 두 번째 영상은 야시장에 참여했던 한 아이의 이야기를 담았다. 물론 영상에서 아이는 웃음으로 모든 걸 얘기한다. 이야기의 배경을 조금 언급하자면, 아이는 어른들이 만들어준 학업 스케줄에 매달린 채 간신히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녀의 하루 일과는 영어와 수학, 음악과 미술이 어지럽게 뒤섞여 있다. (마치 골무, 철도 주식, 포크, 그리고 희망을 한 구절에 끼워 넣듯이...)
어른들은 소녀가 웃을 때마다 당황해 한다. 적절치 않은 타이밍에 터져 나오는 기괴한 아이의 웃음소리. 때로는 그녀의 웃음이 더 많은 말들을 하고 있지만, 어른들의 굳은 머리로는 해독불가다. 소녀의 웃음소리를 담기 위해 무진형제는 한바탕 축제가 휩쓸고 간 고요한 아파트를 배경에 실제 크로마키 스탠드를 설치했다. 그곳에 소녀의 웃음소리가 담긴 실루엣과 「스나크 사냥」의 후렴구를 함께 배치했다. 아이의 실루엣과 루이스 캐럴의 시구는 바람에 의해 흔들리고 지워지다 다시 나타난다. 그렇게 두 언어 모두 획일적인 아파트 단지와 논리적 언어라는 우리 사회의 규격화된 틀로부터 묘하게 삐져나오고 있는 파열음을 연상케 한다.
<기물사냥도>의 두 영상은 이처럼 영상과 텍스트 조각이 교차되어 진행된다. 앞서 얘기했던 야시장에 대한 의문과 촬영 과정에서 연상된 루이스 캐럴의 「스나크 사냥」의 일부 구절들을 뒤섞어 보았다. 루이스 캐럴의 언어이미지로부터 시작된 의문은 야시장에서 발견한 동시대인들의 삶에 대한 의문이 겹쳐지는 식이다. 그런 가운데 첫 번째 영상은 크로마키 색을 덧씌웠고, 두 번째는 크로마키 스탠드에 영상과 텍스트를 투영했다.
영상 전체에서 크로마키는 인위적인 공간과 배경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초록색의 영상 속에서 기이하게 변형되고 사라지려 하는 실제의 인물들이나 물건들을 담아보았다. 또한 루이스 캐럴의 언어가 만들어낸 배경은 매우 기괴하고 자연적이지 않은 자연인데, 초록색 계열의 크로마키도 마찬가지다. 오히려 크로마키의 초록색은 모든 영상의 투영이 가능한 미디어의 자연색 같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스나크 사냥」의 배경과 비슷해 보인다. 언어가 창조한 텍스트의 배경과 영상 이미지가 만들어낸 세트가 그렇게 겹쳐진다.
아이는 2019년 봄에 열린 야시장을 꿈꾸며 웃었다. 아직 입시, 취업, 결혼, 주택구입, 노후연금 등에 물들지 않은 웃음. (이 생애주기별 목표들을 한 문장으로 열거해 보니 루이스 캐럴의 말장난보다 더한 것 같다.) 루이스 캐럴이 왜 저 잔혹한 어른들의 동화를 하필 어린 소녀에게 바쳤는지, 조금은 알 것 같다. 빵쟁이가 스나크를 발견하자마자 부줌이 되어 사라져버린 뒤의 적막감. 다시 찾아온 침묵 속에서 유일하게 아이들만이 그 어색한 순간을 깰 수 있으니까. 그 아이들의 웃음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알 수 없지만 말이다. 물론 그들 또한 언젠가 본격적으로 스나크 사냥을 떠나기 위해 치열하게 훈련 중인 벨 선장의 일행이란 걸 떠올리면 조금은 씁쓸하고 섬뜩하다.
* 궤적(櫃迹) 프로젝트
‘궤적(櫃迹)’은 문자 그대로 풀어보면 물건이 담긴 상자를 뜻하는 ‘궤(櫃)’와 발자국이나 자취를 뜻하는 ‘적(迹)’을 합한 글자다. 무진형제의 작업에서 ‘궤(櫃)’는 모든 작업의 시작점이다. 공간박스, 책장, 상자 등 ‘궤(櫃)’는 평소 책이나 작업에 필요한 재료 등을 넣어두는 공간임과 동시에 작업을 마치면 공구와 남은 재료, 그리고 온갖 메모들이 다시 저장되는 공간이다. 작업의 시작과 끝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물리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작업은 ‘궤(櫃)’에서 발견한 ‘적(迹)’으로부터 시작하고 끝을 맺는다. 무진형제에게 ‘적(迹)’은 누군가의 텍스트나 이미지가 주는 경외감, 의문, 낯섦 같은 것들이다. ‘궤(櫃)’에 담긴 타인의 작품으로부터 어떤 ‘적(迹)’을 찾아내면 새로운 작업이 시작되고, 그것이 또 다른 질문과 이야기가 되어 다음 작업으로 이어지는 식이다.
이번에 선보일 <궤적(櫃迹)>은 2017년부터 작업해 왔다. 개인적으로 작업의 기반과 환경 등에 대해 돌아보며, 동시대의 지형을 탐색해보고 싶었다. 무엇보다 평소 언론과 SNS 플랫폼 속 정보나 지식에 대한 의구심 같은 게 있었다. 한시적으로 떠돌다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타임라인 속 내용을 중심으로 동시대의 조건을 탐색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였기 때문이다. 정보에만 기댄 현재의 프레임을 벗어나 좀 더 다른 시대, 다른 배경, 그리고 더 먼 거리까지 가 볼 필요가 있었다. 고전 텍스트와 이미지를 선택한 이유다. 다른 시대와의 조우 속에서 지금 우리의 시대를 좀 멀찌감치 떨어져서 보고 싶었다.
지금까지 <궤적(櫃迹)>이라는 이름으로 진행했던 작업은 고전의 이미지와 시적 언어를 통해 동시대를 탐색하는 작업이었다. 때문에 작업 모두 과거의 시적 언어를 동시대의 여러 현장에서 풀어낸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선거 개표장, 제2롯데타워, 새벽시장, 신도시 아파트 등 익숙하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횔덜린과 바스코 포파, 그리고 루이스 캐럴의 시를 풀어놓고 작업했다.
그 결과 무진형제는 고전 작품으로부터 동시대의 문제들을 발견하기도 했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포착해낼 수 있었다. 가령 <좋은 세상>은 횔덜린의 「빵과 포도주」로부터 궁핍한 시대의 시인이 그려낸 신성한 세계에 대한 의문을 발견하고, 이를 지난 장미대선의 개표 현장에서 풀어낸 작업이다. 개표장의 삼엄한 감시 속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다양한 정치적 견해로 갈리는 군중들과 좋은 세상에 대한 열망이 담긴 수많은 유권자의 투표용지를 담아보았다. 또한 쥘베른의 「해저 2만리」와 루이스 캐럴의 「스나크 사냥」에서는 초고층 빌딩과 신도시의 아파트 단지에서 포착한 이미지들과 원 텍스트를 시의 형식으로 리라이팅 한 문자 언어를 뒤섞어 써내려가기도 했다.
애초에 <궤적(櫃迹)>은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고 한 작업은 아니었다. 그렇기에 어떤 사람들은 이번 작업들을 오독의 결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진형제는 그 또한 작업들이 제기한 의문으로 보고 함께 곱씹어 보았으면 한다. 무진형제 또한 답을 제시하기 위해 이번 작업을 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의문 속에서 시작된 작업은 끊임없이 또 다른 의문으로 이어졌다. 그러한 의문 속에서 관객들과 더 많은 언어 이미지를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순식간에 생성되고 사라지는 언어 이미지 속에서 무진형제의 작업을 보며 현재의 문제들을 좀 더 긴 호흡으로 숙고하고 곱씹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았으면 좋겠다.
1 루이스 캐럴, 「운율? 그리고 의미? / 헝클어진 이야기」, 워크룸 프레스, 2015년 발행, 175P
2 루이스 캐럴, 「운율? 그리고 의미? / 헝클어진 이야기」, 워크룸 프레스, 2015년 발행, 173P
'여름의 금빛 나날과/ 여름 바다의 속삭임을 기억하며/ 한 사랑스런 아이에게 바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