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ough the Door into Summer

Moojin Brothers focuses on the new and unfamiliar parts of our lives by capturing strange and extraordinary senses and images from the people around them. This artist group has created stories blurring the line between reality and fiction from ordinary lives and has reflected fragments of life. Moojin Brothers, who has portrayed figures living up to a kind of calling that we don’t understand, pays attention to a boy doing jump rope.

In the middle of the summer, the season of growth placed between spring and autumn, which is the season of maturity, a boy says he cannot do anything because he is short. In fact, there is no time to waste. People around him scold him. But one day, the boy’s parents tell Moojin Brothers that the boy gets up at 6 a.m. every morning and does 4000 jump ropes by himself in a park near his place. When Moojin brothers tried talking to the boy, they felt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him, who says he cannot do anything, neglecting his own duty as a student. An extraordinary discordance between his words and action led the artist group to work on it. Moojin Brothers captures a boy ‘jump roping’ in spite of the sweltering heat of the summer, which might seem useless, considering the fact he is a student whose first priority is to study hard.

In front of the work The Door into Summer(2018), we can see the white stairs. We can feel something in our hand at the moment we touch the handrails as if catching our breath to go up the stairs.

“I AM SHORT. I CANNOT DO ANYTHING. NO, NO… I JUST DO NOT WANT TO. I CAN NOT. RIGHT. I DO NOT WANT TO DO ANYTHING RIGHT NOW. THAT… I AM JUST DOING IT.”

It was a monologue of the boy in transparent acrylic letters. We cannot feel it without looking into it closely or touching the handrails. The boy’s monologues or cries were there even though they were not exposed during a course of communication between Moojin Brothers and the boy. When we walk up the stairs and enter through the door into summer, we can see a long and black passage in a grid pattern and the images of the earth and the boy who is jump roping, fixed like a post together with flickering cracks sporadically. The boy, whose face is invisible, is silently doing jump rope in his sportswear without wearing a school uniform and a badge. Moojin Brothers presents a juxtaposition of the boy, who is spending his own summer doing jump rope on the spot, and the graphic images of the intense heat of the ground the boy is stepping on and of the earth.

Grid patterns are drawn on the earth with solid lines on its surface. The grid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earth expressed in graphics are imaginary horizontal lines (latitude) and vertical lines (longitude), while the solid lines represent the flow of atmosphere. These graphic images of the earth help to understand the flows of wind and air, the movement of atmospheric heat as well as weather. The earth and atmosphere are presented the way we want to see under the agreed rules and promises for certain purposes and human comfort. We are familiar with the image of the earth see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arth randomly cut and split.

Meanwhile, the boy jump ropes in a park near his house, taking off his uniform and name tag that are the symbols of the student within the social standards, rules and systems. It seems that the grid pavement in the park in the background stand for invisible standards, rules and systems in our society.

In this work, Moojin Brothers amplifies the story through a spatial installation. The white grid tiles represent social perceptions and standards as well. The tiles are gradually worn out and broken and finally look like ruins, and there are some bright lights flickering in these ruins. The boy is obliged to play certain roles expected at his age such as studying and learning skills, and the earth becomes an object of analysis by being split, divided and measured accurately. These are in fact like social criteria. The white grid lines crossing the surface of the earth is in juxtaposition with the grid pavement on which the boy is jumping and the grid patterns placed in many ruin-like places where visitors are standing. Watching the videos in this space, visitors realize that the boy, the earth and themselves in this exhibition space are in the same place, namely, on the same ground, and may feel that all of them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a way. The blinking lights appear to reveal certain presences emitting their own light like the boy in these grids, connected to the lights coming from the video.

In The Last Sentence(2015) and Mumming Age(2012), Moojin Bothers showed figures who performed certain duties for a specific mission or purpose beyond our understanding in certain narratives. The boy’s attitude seems to relate to the messages delivered by the figures that Moojin Brothers has observed and captured in their works so far. Considering the monologues of the boy attached to the handrails, the boy probably does jump rope with an objective that he cannot explain to us in words. Especially the boy in The Door into Summer reminds us of the woman of the room 1902 in Mumming Age.

The woman of the room 1902 who lives in the ‘mumming age’ is sewing something that she can or must do, carrying some constraints represented by a shell on the body. Mysterious things she is making symbolize her pain and wound and represent times that she has gone through. We cannot see these ‘mysterious things’ completed. Like us watching the work, it seems that she does not know, either. However, the woman’s time accumulates as she works on them in her own place. Her space, a shell she is carrying and her tinnitus are the constraints imposed on her. These constraints may not be limited to her only. What Moojin Brothers wanted to describe is probably the way we live with our own limitations, despair and frustration while enduring them. The woman shows us some ‘power’ of managing to live her own life as time goes by. And the boy in The Door into Summer is also passing through a phase of life fiercely, rolling the wheel of time assigned to him. The boy also carries out his duty with his own purpose and directions. What the boy is doing appears to have lost its objective and direction seen from the grids of the reality, but he is performing it as he regards it as something that he, who cannot do anything, can do now at least.

A jump rope is to skip rope repetitively at one’s own speed at a spot. The duration of playing is not fixed. One can do a certain number of jump ropes or jump rop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repeatedly. The person who is jump roping decides when to end it, even if he or she pauses for a moment to catch his or her breath or when the person gets caught in the rope. Despite the scorching heat, the boy is doing his job according to his own logic departing from the standard defined by the world at his own pace. Can we say the boy who jump ropes on the same spot is going forward? What changes can such a little action can bring? It is reminiscent of the ‘butterfly effect,’ the idea that a small and minute movement and change like the flapping of the wings of a butterfly can bring about unexpected results in the near or distant future. The boy never stops jump roping on the grids as the air keeps flowing. The boy skips rope while the earth moves and the air flows. The boy’s little action and the flow that he has created, where are they heading? If the flapping of the wings of a small butterfly has such influence, what kind of changes can the boy’s action bring to himself and to us watching him in the future? The boy said he couldn’t do anything because he was not tall. Maybe a height is a symbol of constraint to the boy. Then what can we do now and what influence do we have, while living with constraints imposed on us respectively? Presenting the lights emitted from the images of cracks from the broken crevice of the space in which the seemingly well-organized world looks like disappearing, the boy who seems to do a useless act, fixed like a post, as well as the image of the earth, the exhibition The Door into Summer suggests that we ruminate on genuine value that we need to pursue by opening up the door of society’s standards and perceptions.


Sunyoung Kim
Curator, Nam June Paik Art Center


여름으로 가는 문을 지나

무진형제는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낯설고 기이한 감각과 이미지를 포착해 우리 삶의 새로운 지점을 조명한다. 작가는 현실에서 보통의 삶을 포착하여 실제와 허구 사이를 가로지르는 이야기를 만들어 삶의 단면을 보여주었다. 그간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어떤 소명을 가지고 자신의 일을 하는 인물들의 모습을 담았던 무진형제는 줄넘기하는 어느 소년을 포착했다.

봄(生)이 지나 성숙의 계절 가을(收)이 오기 전, 성장의 시기인 여름(長) 한복판에서 자신은 작아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말하는 소년이 있다. 머뭇거릴 시간조차 아까운 시기. 어른들은 소년을 다그쳤다. 그러던 어느 날 무진형제는 그의 부모로부터 소년이 매일 아침 새벽 6시에 집 근처 공원에서 혼자 4,000개의 줄넘기를 한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학생으로서 주어진 학업을 미뤄두고 자신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말하는 소년과 나누었던 대화에서 무진형제는 불통을 느꼈다. 그 과정에서 무진형제는 소년의 말과 행동의 어떤 묘한 불일치에서 이 작업을 시작했다. 무진형제는 치열한 학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학생의 본분 측면에서 보자면 무용(無用)해 보일 수 있는 ‘줄넘기’를 하며 무더운 여름의 열기마저 잊고 뛰고 있는 소년의 모습을 포착한다.

<여름으로 가는 문>(2018) 앞에 서면 하얀 계단이 우리를 마주한다. 계단을 오르기 위해 숨 고르기를 하듯 잠시 난간을 짚는 순간 어떤 이질적인 것이 손에 감각된다.

“나는 키가 작다.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아니, 아니. 그냥 싫어. 못해. 지금은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아. 그건 그냥 하는 거야.”

투명 아크릴로 된 소년의 독백이었다. 자세히 들여다보거나 난간에 손을 짚지 않으면 느껴지지 않는다. 무진형제가 느꼈던 잡힐 듯 잡히지 않는 불통의 과정에서 주고받은 소년의 독백 혹은 그 외침은 드러나지는 않지만 그 곳에 존재하고 있었다. 계단을 올라 여름으로 가는 문 안으로 들어서면 길고 검은 격자의 복도, 그 안에서 군데군데 점멸하는 균열과 함께 저 멀리 말뚝처럼 박힌 줄넘기를 뛰고 있는 소년과 지구의 모습이 보인다. 소년은 교복과 명찰 대신 운동복을 입고 얼굴도 보이지 않은 채 아무 말 없이 줄을 넘는다. 제자리에서 줄넘기를 하며 여름을 넘고 있는 소년 옆에는 이 소년이 발 딛고 서 있는 땅 위를 가르는 그래픽으로 표현된 뜨거운 땅의 열기, 지구의 모습이 함께 병치되어 있다.

지구는 격자가 그어져있고 그 껍데기 위에 실선이 흐르고 있다. 그래픽으로 구현된 지구 껍데기에 그어진 격자는 지리적, 수리적 위치 파악을 위해 지구 상 그린 가상의 가로선(위도)와 세로선(경도)이며, 흐르는 실선은 대기 흐름을 표현한 것이다. 우리는 이 그래픽화된 지구의 모습을 통해 풍속의 흐름, 대기의 흐름과 대기 열기의 움직임, 날씨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지구와 대기는 어떤 목적으로 인간 편리를 위해 합일된 규칙과 약속 아래 우리가 보고자 하는 방식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우리는 지구를 이렇게 임의로 재단하고 쪼개놓은 틀 안에서 바라본 지구 이미지에 익숙하다.

한편 소년은 사회의 규범과 규칙, 시스템 안에서 학생임을 상징하는 교복과 명찰을 벗어 던지고 집 근처 공원에서 줄넘기를 하고 있다. 소년이 위치한 격자모양의 공원 보도블록 배경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보이지 않는 규범과 규칙, 시스템을 상징하는 듯 하다.

무진형제는 공간 설치를 통한 연출로 작품의 이야기를 증폭하여 감각하게 한다.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하얀 격자 타일 역시 사회의 인식과 척도를 상징한다. 이 타일은 점점 무너지고 헤져서 폐허가 된 모습으로 연결되는데, 그 폐허 군데군데 점멸하는 밝은 빛들이 있다. 사회가 소년에게 공부와 기술 배우기 등 마땅히 그 나이에 해야만 하는 역할을 지워주는 것, 또는 지구를 정밀하게 쪼개고 나누어 경계를 짓고 분석하는 것은 바로 사회의 척도와 같은 것이다. 지구 위를 가로지르는 하얀 격자의 선들은 마치 소년이 발을 딛고 있는 땅의 벽돌 격자, 그리고 관람객이 딛고 있는 폐허 같은 공간 곳곳에 보여지는 격자와 병치된다. 그리고 이 공간은 이 공간 속에서 영상을 바라보는 관객에게 영상 속 소년과 지구, 그리고 전시 공간에 있는 우리가 모두 한 공간, 결국 같은 땅에 붙어 있다는 것을 상기시키며 묘한 동질감을 불러 일으킨다. 그리고 점멸하는 빛은 소년처럼 격자 속 자신만의 빛을 밝게 내뿜고 있는 어떤 존재들을 드러내는 듯하다.

무진형제는 <결구>(2015)와 <적막의 시대>(2012) 등의 작품에서 어느 서사 안에서 우리가 헤아릴 수 없는 어떤 임무 내지는 목적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하는 인물들을 보여주었다. 소년의 태도는 무진형제가 그간 목도하고 포착한 작품 속의 인물들이 던져주는 메시지와도 연결되는 듯하다. 난간에 부착된 소년의 투명한 독백을 생각해보면 소년 역시 우리에게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어떤 목적성을 가지고 이 줄넘기를 수행하고 있는 듯하다. 특히 <여름으로 가는 문>의 소년은 무진형제의 <적막의 시대>에 등장하는 1902호 여자를 상기시킨다.

‘적막의 시대’를 사는 1902호 여자는 껍데기로 상징되는 어떤 제약 등을 온 몸에 둘러메고 자신이 할 수 있는 혹은 해야만 하는 바느질로 무엇인가를 만들고 있다. 1902호 여자가 만들고 있는 그 형체 모를 어떤 것들은 그녀의 아픔과 상처를 상징하면서 그렇게 얼마나 흘렀을지 모를 그녀의 시간들을 표상한다. 우리는 그녀가 만드는 그 ‘형체 모를 어떤 것’들의 완성형을 알 수 없다. 아마 작품을 바라보고 있는 우리처럼 그녀 또한 모르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1902호 여자는 묵묵히 그 자리에서 그 알 수 없는 것들과 그녀의 시간을 쌓아가고 있었다. 그녀의 공간, 그녀가 둘러메고 있는 껍데기, 그녀에게 들리는 이명은 그녀에게 제약과도 같다. 어쩌면 그 제약은 그녀에게만 한정된 것이 아닐 수 있다. 아마 무진형제가 포착하고 싶었던 것은 세상 속에서 힘겹게 저마다의 제약과 그 제약 아래 절망과 좌절을 안고 이를 버텨내며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일지도 모른다. 그녀의 모습은 그저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어떻게든 자신만의 삶을 살아가는 어떤 ‘힘’을 보여준다. 그리고 <여름으로 가는 문>에 있는 소년은 이 1902호 여자와 같이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의 수레바퀴를 굴리며 삶의 한 마디를 치열하게 넘고 있었다. 소년 또한 자신만의 목적과 방향을 가지고 자신이 응당 해야 하는 일을 수행한다. 그 일은 현실의 격자 안에서 바라보기에 목적과 방향을 상실한 듯 하지만 소년은 분명 이것은 해야 하는 것,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내가 지금 할 수 있는 어떤 것으로 규정하고 수행을 하고 있는 듯 하다.

줄넘기는 제자리에서 자신만의 속도로 반복해서 돌아오는 줄을 넘는 것이다. 줄넘기의 끝은 정해져 있지 않다. 자신이 목표한 어느 일정 개수 혹은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줄이 어딘가에 걸리거나 줄을 뛰고 있는 사람의 숨이 가빠져 잠시 쉬는 휴식기가 생길지라도 줄을 넘고 있는 사람의 선택으로 줄넘기의 끝이 정해진다. 폭염에도 줄을 넘으며 여름을 나는 소년은 세상이 규정한 어느 틀에 박히지 않고 자신이 만든 논리로, 자신만의 속도로, 자신만의 수행을 하고 있다. 제자리에서 줄넘기를 하는 소년은 과연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일까? 그 작은 행동은 어떤 변화를 불러 일으킬 수 있을까? 나비의 날갯짓 같은 미세한 움직임/변화가 가까운 미래 혹은 먼 미래에 우리가 예상치도 못한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나비효과’가 상기된다. 격자 위에서 소년의 줄넘기는 멈출 줄 모르고 대기의 흐름도 여전하다. 소년은 줄을 넘고 지구는 움직이며 대기는 흐르고 있다. 소년의 작은 움직임, 그가 만들어낸 흐름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 작은 나비의 날갯짓이 그러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면 소년의 움직임은 훗날 소년 스스로에게 그리고 소년을 바라보는 우리에게 어떤 변화를 불러 일으킬 수 있을까? 소년은 키가 작아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했다. 소년에게 키는 어떤 제약의 상징과도 같은 것일지 모른다. 그렇다면 저마다의 제약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지금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고 우리가 가진 영향력은 어떤 것일까? 흐트러짐 없어 보이는 세계상이 스러진듯한 공간의 깨진 틈새 사이로 균열의 이미지들이 내뿜는 빛, 그리고 그 속에서 말뚝처럼 박힌 <여름으로 가는 문> 앞에 위치한 소년의 무용(無用)과 지구의 모습은 세상이 만든 인식과 척도의 문을 열고 개인이 각자의 자리에서 추구할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지 돌아보기를 제안하고 있다.


김선영
큐레이터, 백남준아트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