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ace of the Box - Now, Curiosity About the World
궤적(櫃迹) - 목하, 세계진문 (目下, 世界珍門)


Now, Curiosity About the World

Jules Verne’s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shows how we look at things and turn them into knowledge. Professor Aronnax, the subject of observation in a safe all-in-one submarine, constantly observes, classifies and names the outside world beyond the window. In the end, the World depicted by the novel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is an image of the World that is continuously listed according to Professor Aronnax’s knowledge and classification system. So Moojin Brothers saw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as the chain of questioning and comprehension of Professor Aronnax.

Professor Aronnax’s knowledge system is much like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world and accumulating knowledge that we have now. This was also the case when the Moojin Brothers was watching the Lotte Tower aquarium. We were able to appreciate the fish in the aquarium in a cozy and comfortable space like where Professor Aronnax and Conseil were in, and were able to learn about the fish from the booklets or the classification tables and name tags attached to the wall. We followed the map and directions displayed in various places within the Sky Lounge and drew the whole outline of Seoul. It was another moment of learning about the world from the depths of the deep sea to the high sky through things represented by Lotte Tower, the super high-rise submarine at the center of the city in the 21st century.

Lotte Tower and Nautilus have more similarities. Both are sturdy structures built on the collaboration of global corporations, and everything inside is gathered from various parts of the world. Even how they function as a place where people dream of encountering flora and fauna from all over the world and desire of all kinds of precious collectibles (now replaced by expensive commodities that anyone can buy) are they alike. Then, where is the intellectual eye and the gaze of the exploring subject that expanded its perspective towards the world since Jules Verne’s time?

Now we turn on map applications in our smartphones to see the entire world from deep sea floor to the universe high up above. And what we find in it, is our location somewhere in the world. We are looking for and discovering the world we belong to, the cities that are in complicated continuum, and ourselves living there in a struggle. Just like Professor Aronnax who, while observing all sorts of things in Nautilus, finally encountered a mysterious man named Captain Nemo.

Moojin Brothers presented this imagery of the World intertwined with the irony of human knowledge as a black and white slide project. The images from the underground aquarium and the sky lounge above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reflecting the fact that it takes only a minute from the underground aquarium to the top level sky lounge. Just as Nautilus can navigate without being affected by water pressure or strong winds, the advanced technology of our time seems to be gradually erasing the physical distance and speed between the sky and the ground. Then, what kind of physical forces will future human beings overcome to present a new world? These questions were resolv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verses chosen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About 23 sentences were combined and reorganized in such a way to make them read like a poem. Overall, the image of black and white projected through the slide projector combines the overlaps of modern images while the classical textual phrases that appear between them present new content. A total of 80 pieces of film slides include various points discovered by the Moojin Brothers from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and the questions about the time to come.

The word ‘present(目下)’ in the title of the work is a word that often appears in the “Taeguek Journal”, which published a translation of Jules Verne’s novel over a hundred years ago. The word which sounds antiquated when pronounced, actually means ‘right now’. The word ‘curiosity about the world (世界珍問)’ also appears in the “Taeguek Journal”. The perspective of the question might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Korean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Japan and translated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but the question itself, that of ‘now’ and the ‘present’ pointed towards the world is still valid. Moojin Brothers tried to find that answer from connecting the texts of Jules Verne and modern skyscrapers.

* Project, The Trace of the Box

‘The trace of the box(櫃迹: Gwe Jeok)’ is the word composed of Gwe(櫃), which means the box containing the object, and Jeok(迹), which means the trace or footprint. In the work of Moojin Brothers, the Gwe(櫃) is the starting point of all the works. Gwe(櫃) such as box, bookshelf, chest, etc. is the space placing the book or materials required for work, etc, and at the same time, is the space that the tools, remaining materials and all kinds of memos are stored again when the work is finished. It can be the physical space that the beginning and end of work are repeated endlessly.

All the works starts and ends with the Jeok(迹). For Moojin Brothers, Jeok(迹) is the something like awe, question and strangeness. When some Jeok(迹) are found from the works of others contained in Gwe(櫃), new work starts and it becomes another question and story leading to next work.

The Trace of the Box(櫃迹) presented now have been started since 2017. Looking back the base of works, environment, etc. personally, I wanted to explore the geography in the same ages. Above all, I usually have some doubts on the press, information or knowledge in the SNS platform. Because exploring the conditions in the same ages around the contents in the timeline, which emerge and disappear repeatedly is seemed unreasonable. It needs to go further to different age, different background and far getting away from the current frame, which relies only on the information, That is why I selected the classic texts and images. with encountering with another age, I wanted to look our ages far away from it.

The work proceeded under the name of The Trace of the Box(櫃迹) is the work to explore this ages through the classic images and poetic language. So, all the works have a common point that the poetic language in the past were unraveled in various sites in this ages. I worked unraveling the poem of Hölderlin, Vasco Popa and Luis Carroll in the familiar and routine spaces such as ballot-counting site, Lotte World Tower, dawn market, new town apartment, etc.

As a result, Moojin Brothers used to discover the contemporary problems in the classic works and was able to capture diverse images in the routine spaces. For example, A Better World is the work that discovered the question about sacred world depicted by the poet in the ages of impoverishment from the “Bread and Wine” by Hölderlin and unraveled in the ballot-counting site of past Presidential Election. It captured the crowd that were divided by diverse political opinions and the ballot of many votes contained the aspiration of voter for better world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under the strict surveillance in the ballot-counting site. In addition, In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by Jules Verne and "Hunting of the Snark" by Luis Carroll, the images capture at the skyscraper and new town apartment complex and the written language, which rewrote the original test in the form of poem, were written down mixing them together

Originally, The Trace of the Box(櫃迹) is not the work having correct answer and clear direction. So, some people may consider these works as a results of misreading. However, Moojin Brothers consider that as the questions raised by works and I hope that you would appreciate that same way. Because Moojin Brothers did not make this works to give an answer. Rather, the work started in the questions was leaded to another question. In such questions, it is possible to share the linguistic images with the audiences. I hope that seeing the works of Moojin Brothers in the linguistic images, which were generated and disappeared in an instance, we would have time to be able to think over and appreciate the current problems calmly.



궤적(櫃迹) - 목하, 세계진문 (目下, 世界珍門)

쥘베른의 「해저2만리」는 지금 우리가 사물을 바라보고 그것을 앎으로 전환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모든 것이 다 갖춰진 안전한 잠수함 속에서 관찰의 주체인 아로낙스 박사는 유리창 너머의 바깥 세계를 끊임없이 관찰하고 분류하며 이름을 붙여 기록한다. 결국 「해저2만리」라는 소설이 그려낸 세계는 아로낙스 박사의 지식과 분류체계에 따라 연속적으로 나열되는 세계의 이미지라 할 수 있다. 때문에 무진형제는 「해저2만리」를 아로낙스 박사의 의문과 앎의 연쇄고리로 보았다.

이러한 아로낙스 박사의 지식체계는 지금 우리가 세계를 경험하고 지식을 쌓아가는 과정과 많이 닮았다. 무진형제가 롯데타워 아쿠아리움을 관람할 때도 그랬다. 마치 아로낙스 박사와 콩세유처럼 아늑하고 편안한 공간 속에서 아쿠아리움 속 물고기들을 감상했고, 그것들에 관한 지식을 책자나 벽에 붙어 있는 분류표와 이름표를 통해 흡수했다. 스카이라운지 곳곳에 그려진 지도와 방위 표시를 잘 따라가며 서울이라는 도시의 전체 윤곽을 그려나갔다. 21세기의 도심 한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초고층 잠수함, 롯데 타워로 대변되는 것들을 통해 깊은 바다 속부터 저 높은 하늘까지 속속들이 보고 경험한 가운데 세계에 대한 또 하나의 앎이 생성된 순간이었다.

롯데 타워와 노틸러스호의 공통점은 이뿐만이 아니다. 둘다 글로벌 기업들의 협업으로 만들어진 튼튼한 구조물에 그 내부는 전 세계에서 수집한 모든 것이 갖춰져 있다. 그 안에서 사람들이 세계 각지의 동식물과의 조우를 꿈꾸고 온갖 진귀한 수집품을(이제는 누구나 살 수 있는 값비싼 상품으로 대체됐지만)욕망하는 것까지. 그렇다면 쥘베른 당시의 시대로부터 세계 곳곳을 향해 확장되어 가던 지식인, 탐구하는 주체의 시선은 지금 어디를 향해 있을까.

이제 우리는 깊은 해저로부터 저 높은 우주에 이르는 세계 전체를 보기 위해 핸드폰 속 지도 앱을 켠다. 그리고 그 안에서 발견하는 것, 다름 아닌 지도 속 세상 어딘가에 있는 바로 나의 위치이다. 우리가 속한 세계, 그 속에서 복잡하게 이어지는 도시들, 그리고 그곳에서 아등바등 살아가고 있는 우리 자신을 찾고 발견하는 중이다. 노틸러스호 안에서 온갖 것들을 관찰하다 결국 네모 선장이라는 미스테리한 인간을 발견했던 아로나스처럼 말이다.

무진형제는 이처럼 아이러니한 인간의 지식과 얽힌 세계상을 흑백 슬라이드 작업으로 제시했다. 지하의 아쿠아리움과 지상의 스카이라운지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서로 중첩시켰는데, 롯데타워의 지하 아쿠아리움으로부터 초고층 스카이라운지까지 불과 1분까지 걸리지 않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노틸러스호를 타면 수압이나 강풍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해할 수 있는 것처럼 우리 시대의 첨단 기술은 하늘과 땅 사이의 물리적 거리와 속도마저 점차 지워나가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미래의 인류는 또 어떠한 물리력을 극복하고 새로운 세계를 제시할까. 이러한 의문은 「해저2만리」로부터 뽑은 구절들의 변형을 통해 풀어냈다. 약 23개의 문장들을 이런저런 방식으로 결합하고 재조직해 한 편의 시처럼 읽히도록 만들었다. 종합하면 환등기를 통해 투사된 흑백의 이미지는 현대적 이미지의 중첩이며, 그 사이사이에 고전 텍스트 문장들을 넣어 새로운 내용을 제시하는 식이다. 총 80여 점의 필름 조각들은 무진형제가 「해저2만리」로부터 발견한 여러 지점들과 곧 도래할 시간에 대한 의문 등이 담겼다.

작업 제목의 '目下'라는 말은 이미 백여 년 전 쥘베른의 소설을 번역한 「태극학보」에 자주 등장하는 말이다. 한자로 읽으면 꽤 오래된 듯한 이 말이 실은 '바로 지금'이라는 뜻이다. '世界珍問'이란 말 또한 태극학보에 등장한다. 당시 「해저2만리」를 번역한 일제 유학생들의 의문과는 그 결이 다를 수도 있겠지만, '바로 지금', 혹은 '현재'라는 세상을 향한 그 질문만큼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 답을 무진형제는 쥘베른의 텍스트와 현대의 초고층 빌딩으로부터 찾아 연결해 보았다.

* 궤적(櫃迹) 프로젝트

‘궤적(櫃迹)’은 문자 그대로 풀어보면 물건이 담긴 상자를 뜻하는 ‘궤(櫃)’와 발자국이나 자취를 뜻하는 ‘적(迹)’을 합한 글자다. 무진형제의 작업에서 ‘궤(櫃)’는 모든 작업의 시작점이다. 공간박스, 책장, 상자 등 ‘궤(櫃)’는 평소 책이나 작업에 필요한 재료 등을 넣어두는 공간임과 동시에 작업을 마치면 공구와 남은 재료, 그리고 온갖 메모들이 다시 저장되는 공간이다. 작업의 시작과 끝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물리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작업은 ‘궤(櫃)’에서 발견한 ‘적(迹)’으로부터 시작하고 끝을 맺는다. 무진형제에게 ‘적(迹)’은 누군가의 텍스트나 이미지가 주는 경외감, 의문, 낯섦 같은 것들이다. ‘궤(櫃)’에 담긴 타인의 작품으로부터 어떤 ‘적(迹)’을 찾아내면 새로운 작업이 시작되고, 그것이 또 다른 질문과 이야기가 되어 다음 작업으로 이어지는 식이다.

이번에 선보일 <궤적(櫃迹)>은 2017년부터 작업해 왔다. 개인적으로 작업의 기반과 환경 등에 대해 돌아보며, 동시대의 지형을 탐색해보고 싶었다. 무엇보다 평소 언론과 SNS 플랫폼 속 정보나 지식에 대한 의구심 같은 게 있었다. 한시적으로 떠돌다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타임라인 속 내용을 중심으로 동시대의 조건을 탐색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였기 때문이다. 정보에만 기댄 현재의 프레임을 벗어나 좀 더 다른 시대, 다른 배경, 그리고 더 먼 거리까지 가 볼 필요가 있었다. 고전 텍스트와 이미지를 선택한 이유다. 다른 시대와의 조우 속에서 지금 우리의 시대를 좀 멀찌감치 떨어져서 보고 싶었다.

지금까지 <궤적(櫃迹)>이라는 이름으로 진행했던 작업은 고전의 이미지와 시적 언어를 통해 동시대를 탐색하는 작업이었다. 때문에 작업 모두 과거의 시적 언어를 동시대의 여러 현장에서 풀어낸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선거 개표장, 제2롯데타워, 새벽시장, 신도시 아파트 등 익숙하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횔덜린과 바스코 포파, 그리고 루이스 캐럴의 시를 풀어놓고 작업했다.

그 결과 무진형제는 고전 작품으로부터 동시대의 문제들을 발견하기도 했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포착해낼 수 있었다. 가령 <좋은 세상>은 횔덜린의 「빵과 포도주」로부터 궁핍한 시대의 시인이 그려낸 신성한 세계에 대한 의문을 발견하고, 이를 지난 장미대선의 개표 현장에서 풀어낸 작업이다. 개표장의 삼엄한 감시 속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다양한 정치적 견해로 갈리는 군중들과 좋은 세상에 대한 열망이 담긴 수많은 유권자의 투표용지를 담아보았다. 또한 쥘베른의 「해저 2만리」와 루이스 캐럴의 「스나크 사냥」에서는 초고층 빌딩과 신도시의 아파트 단지에서 포착한 이미지들과 원 텍스트를 시의 형식으로 리라이팅 한 문자 언어를 뒤섞어 써내려가기도 했다.

애초에 <궤적(櫃迹)>은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고 한 작업은 아니었다. 그렇기에 어떤 사람들은 이번 작업들을 오독의 결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진형제는 그 또한 작업들이 제기한 의문으로 보고 함께 곱씹어 보았으면 한다. 무진형제 또한 답을 제시하기 위해 이번 작업을 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의문 속에서 시작된 작업은 끊임없이 또 다른 의문으로 이어졌다. 그러한 의문 속에서 관객들과 더 많은 언어 이미지를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순식간에 생성되고 사라지는 언어 이미지 속에서 무진형제의 작업을 보며 현재의 문제들을 좀 더 긴 호흡으로 숙고하고 곱씹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