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is something to pay attention to carefully.
The Korean word gwejeok in the Korean title does not mean the gwejeok as we commonly know. This Sino-Korean word gwejeok (軌跡) derives from from the definition of “a path followed by wheels”, and means a trajectory or a trace in its original form. However, Moojin Brothers replaced the character gwe (軌, meaning the track of wheels) with a different gwe (櫃, meaning a box), changing the meaning of the word gwejeok to “trace of a box.” Although a part of the meaning, trace, still remains, Moojin Brothers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inside of a box in their search of traces, rather than the tracks of wheels. What traces are Moojin Brothers tracking then? What are the traces they are searching for, especially in The Trace of the Box - Technicalized Good People (hereinafter Good People)?
A Box and a Trace
Good People (2022) is a video work produced as part of the The Trace of the Box project by Moojin Brothers that has continued since 2017. In this project, Moojin Brothers overlap modern literature, the classics, with contemporary social cultures resonating with their content. What they wanted to explore through this project was the contemporary landscape, which is the stage as well as the basis of their artistic practices. However, what the artists regarded as appropriate materials to describe the landscape was not information in the press or social media that tends to disappear quickly after its delivery, but texts and images of different times and speeds seemingly unrelated to the circumstances currently unfolding before our eyes. The artists, in fact, found old literary books which have been kept for a long time in a box in their house and formed a connection with their work.1 Without a single word of description of the contemporary era in the narratives they chose, the artists captured aspects similar to the curves in today’s society. Therefore, they overlapped the poetry of Friedrich Hölderlin with the ballot counting scene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called “Rose Election,” the poetry of Vasko Popa with Majang Meat Market, the poetry of Kim Jongsam with a conversation with night laborers, a novel of Jules Verne with Lotte World Aquarium, and the poetry of Lewis Carroll with a night market in Sannae Village.
However, The Trace of the Box project is more than a comparative criticism that identifies intersections between old texts and contemporary landscapes. In the videos of this project, there are media that capture intersections between texts and landscapes of two different times, and through these media, the artists reveal sensual thickness generated between the two sides, layer by layer. An infrared camera, white screen cloth, a slide projector, black and white slide film and chroma key stand came inside the box in this way, unveiling traces. Moojin Brothers discovered the temperature of an aspiration for a good world, black and white scenes of the repeated times in human or personal history, pervasive signs of diseases and green lights of order toward disorder. These scenes usually appear on a single-channel video, but more than two layers are seen on it. The thickness of the layers is the so-called trace (jeok) of a cube that the artists have searched for in the box (gwe).
In The Trace of the Box project, there is a box with classics and contemporary landscapes. A certain media is put into the box, and more than two layers are sensuously extracted from it. Through this process, the artists track the trace of a certain cube. It takes the form of a kind of thought experiment. The trace of Good People may also be found when this process of thought experiment is applied.
The Garden and Good People
Then, what is the object to overlap with TV Garden? It seems like “good people” as the title of the work suggests. According to Moojin Brothers, “good people” literally means “good-natured and good-hearted people.” Who are they? There is a clue to good people in another classic text:
Zizhang asked about the way of the truly good person. Confucius said,
“Unless you follow its traces, you cannot enter the inner room."3
In East Asian society, they are described as people who do not follow traces and are satisfied with ‘good’, thereby not being able to attain a certain stage. Keeping this description of good people in mind, we can see why Moojin Brothers unexpectedly mentioned good people before looking for them in Good People. This is because, as a matter of fact, it is not incorrect to stretch the term “good people” as another name for a group of people who have appeared in The Trace of the Box series. The people in the former works of The Trace of the Box series are good, or, to be precise, naïve enough to follow the paths of the systems in the contemporary landscapes without much resistance. They live ordinary lives as usual without much trouble, reflecting the landscapes of the present era. In this regard, it does not seem so strange to call those who appeared in Moojin Brothers’ previous works, such as the voters, merchants in the market, night laborers and inhabitants of Sannae Village, good people.
In Good Peop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good people as appeared in the previous pieces. What we can discover in Good People is a herd of chickens freely moving around the work TV Garden. The chickens which lay eggs but do not brood while living only inside the garden are immortal beings whose appearances remain unchanged. Moojin Brothers found chickens suitable as a metaphor for living organisms in the “technicalized” social system. The artists, who raise chickens in real life, saw their own chickens out of the coop being easily preyed upon and learned the dilemma of chickens: when they are out of the cage, their lives are put in danger. For the artists, this was reminiscent of those who have difficulty in refusing to conform to the system, especially the human race today which gets more dependent on technology day by day. A group of chickens is an analogy to the ecosystem of technology-nature that has continued since 1974.
The landscape in which the dependency on technology gradually increases and, furthermore, technology itself is naturalized may be the scenery of contemporary times that Moojoin Brothers wanted to show through the chickens in Good People. As Moojin Brothers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a flock of chickens are the beings that make us, good people who are not good, good. Then again, where are the good people? Although invisible, the AI voices of a man and a woman are heard in the video. The two have a conversation about the chickens in the garden. They discuss the artificial garden and the ecosystem of the plants, chickens and machines living in it. They say that a desire for eternity has been intensified as a response to the collapse of the system (ecological and social) that they inhabit, and that the eternal world has now been realized at least in images. The two view this garden as an artificial utopia, but keep on uttering dystopian remarks. Are these two who are telling paradoxes good people?
CRT and AI Voice
The nature of the environment is much more on TV than on film or painting.
In fact, TV (its random movement of tiny electrons) is the environment of today.4
The 1974 version of this way of thinking that invalidates the dichotomy of nature and technology is TV Garden, and the 2022 version is Good People. Accordingly, this ecosystem is a place where the two branches – technicalization and naturalization - overlap. TV sets and chickens are the objects in the ecosystem. From the standpoint of media theory, TV Garden, in which natural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are considered inseparable, is not only a diagnosis of the times, but also predictions of contemporary landscapes. However, the contemporary landscapes – good people – that are to form an intersection with the classics, are not seen in this nature. They are no longer something visible like RGB or virtual poultry, being left as the voices only. The main characters who share a refined and sophisticated discourse never reveal themselves; they just appear as the tone of spectators and disappear. Their AI voices feel more immaterial, buzzing in this ecosystem as if they were good people who have been vaporized. Seeing the contrast in the “ecosystem” again while recalling the aforementioned “The Traces of the box,” you will know that the AI voices are those of good people. These two are the good people. Good people, good-natured people and ordinary people who were seen in most of the The Trace of the Box series have now turned into AI, and their pure and innocent attitudes are only left as auditory traces. Good people are merely “technicalized people,” in other words, those who evaporated within technology-nature.
Geologic History of Media and Oral History of Synthetic Voice
Time is piling up inside the box. During the course of working on The Trace of the Box project, Moojin Brothers have probably focused on turning the intersection between distant times into senses, stacking traces inside the box rather than tracking traces as if following those of wheels, making a cube of trace and thereby developing the default value of the world and good people. However, after the media as a tool melts into the box without leaving meaningful traces of good people who have made the contemporary default, the landscapes in the box change in an age with no genealogy. In it, the time in which technicalized nature and good people evaporate can be felt. Good people may be extinct because they do not follow traces and enter the inner room. They may not attain the stage of becoming part of history. Maybe that is why Moojin Brothers depict historicity through the archives of The Trace of the Box project. That is probably why they leave the geologic history of media and oral history of synthetic voice. There is something we should listen to carefully.
1 The Stream, Korea Video Art Archive, 17th screening, interview, Jung Sera, Moojin Brothers, July 30, 2018.
http://moojinbrothers.com/texts/text.php?id=interview-03
2 Curator's Take 1: Nam June Paik, TV Garden, Nam June Paik Art Center
3 子張問善人之道。子曰:不踐迹亦不入於室, Analects of Confucius, Xianjin, Chapter 19
4 Curator's Take 1: Nam June Paik, TV Garden, Nam June Paik Art Center
MoonSeok Yi
Director of Philosopher's Stone, Independent Curator
눈여겨보아야 할 것이 있다.
작품의 제목에 등장하는 ‘궤적’이란 우리가 알고 있는 의미의 궤적이 아니라는 것. 본래 궤적이란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리’(軌跡)라는 뜻에서 출발한 한자어로, 자취나 흔적을 의미한다. 그러나 무진형제는 이 한자어의 앞 글자를 ‘바퀴 자국’(軌)이란 의미의 궤 자에서 ‘상자’(櫃)라는 의미의 궤 자로 바꿈으로써, 궤적을 ‘상자의 자취’(櫃迹)라는 의미로 달리하였다. 궤적이란 단어가 가지고 있는 흔적이란 의미는 남겼지만, 작가들은 그 흔적을 바퀴 자국에서 찾기보다, 상자의 안쪽을 바라보는 것으로 대신한다. 무진형제가 쫓고 있는 흔적은 무엇일까? 특히〈궤적(櫃迹)–기술된 선인(善人)들〉(이후<선인들>)로부터 찾고 있는 흔적은 무엇일까?
궤와 적
<선인들>(2022)은 2017년부터 이어져 온 무진형제의 ‘궤적’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된 영상작품이다. 무진형제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고전이라 불리는 근대문학들과 그 내용에 공명하는 오늘날의 사회문화를 서로 교차시켜 왔다. 그들이 ‘궤적’ 프로젝트를 통해 바라보고 싶었던 것은 자신들의 예술적 실천의 토대이자 무대인 동시대적 풍경이다. 그러나 그들이 보기에 그 풍경을 묘사하기 위한 재료로 적합한 것은 소식을 전한 뒤 빠르게 휘발되는 언론이나 소셜미디어 속 정보가 아니라, 지금 눈앞의 상황과 무관할 것만 같은 다른 시간대 다른 속도의 글과 이미지였다. 실제로 무진형제는 집에 오랫동안 보관된 상자 안에서 낡은 문학책들을 발견했고 이 안에서 작업의 연결고리를 찾았다.1 그들이 선택한 서사 안에는 동시대에 대한 단 한마디의 묘사도 없었지만, 작가들은 오늘날의 사회적 굴곡과 비슷한 곡면을 어렵지 않게 포착해냈다. 그렇기에 무진형제는 훨덜린의 시와 장미대선 개표 현장을, 바스코 포파의 시와 마장동 축산시장을, 김종삼의 시와 야간 노동자들과의 대화를, 쥘 베른의 소설과 롯데타워 아쿠아리움을, 루이스 캐럴의 시와 산내마을의 야시장을 겹쳐 바라보았다.
그러나 ‘궤적’ 프로젝트가 옛 텍스트와 동시대 풍경의 교집합을 찾아내는 비교 비평으로 마무리되는 작업은 아니다. ‘궤적’ 프로젝트의 영상작업에는 다른 두 시간대의 텍스트와 풍경의 교집합을 포착하는 미디어가 등장하고, 작가들은 이 미디어를 통해 양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감각의 두께를 켜켜이 드러내 왔다. 적외선 카메라, 흰 스크린 천, 환등기와 흑백 슬라이드 필름, 크로마키 스탠드는 그렇게 상자 안쪽으로 들어와 흔적을 발견해 왔다. 상자 안쪽에서 무진형제는 좋은 세상에 대한 열망의 온도를, 반복되는 인류사적 혹은 사적인 시간의 흑백 장면을, 만연한 병적 징후의 그림자를, 무질서를 향한 질서의 녹색 빛을 발견한다. 이들 장면은 대개 단채널 영상면으로만 나타나지만, 그 면적 위에는 두 겹 이상의 레이어가 드러난다. 그 두께는 말하자면 무진형제가 상자(궤)로부터 찾아온 입방체의 흔적(적)인 것이다.
‘궤적’ 프로젝트는 이처럼 고전과 동시대적 풍경이 담긴 상자를 가져오고, 상자 안쪽을 향해 특정 미디어를 넣어 두 겹 이상의 레이어를 감각적으로 추출한 뒤, 이를 통해 어떤 입방체의 흔적을 추적해 내는 작업이다. 이것은 일종의 사고실험 형태를 띤다. 〈선인들>의 흔적 역시 이 사고실험의 과정을 대입해 보면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정원과 선인
우선 상자를 열어본다. 이번 상자에는 문학 텍스트 대신 영상설치 작업 한 점이 놓여 있다. 그것도 다른 고전에 비해 상당히 근작이라고 할 수 있는 백남준의 〈TV 정원〉(1974/2002)이다. 102대의 CRT 모니터와 살아있는 식물 등으로 구성된 이 영상설치 작품은 현재 용인의 백남준아트센터에 설치되어 있다. 1974년 처음 선보인 이후, 이 작품은 휘트니 미술관(1982), 도쿄도 미술관(1984년) 등 세계 각지로 옮기면서 현지의 식생에 맞춰 정원이 재구성되었다고 알려져 있다.2 아울러 102대의 모니터에서는 백남준이 60년대 이후 모은 영상/이미지 소스들을 편집한 비디오테이프 작업 〈글로벌 그루브〉(1973)가 계속 재생된다.
그렇다면 이 〈TV 정원〉과 겹쳐볼 대상은 무엇인가? 그 대상은 작품의 제목과 같이 ‘선인(善人)들’일 것만 같다. 무진형제는 ‘선인(善人)’의 의미가 말 그대로 ‘선량한 사람들’, ‘착한 사람들’이라고 설명한다. 이들은 누구일까? 선인에 대한 실마리는 또 다른 고전에서 찾을 수 있다.
자장이 선인의 도를 물었다. 공자가 답하길,
"자취를 밟지 않으니, 경지에 들어설 수 없다"고 하였다.3
이들은 동아시아 사회 안에서 궤적을 쫓지 않는 이들, 좋음으로 자족하는 이들, 그래서 어떤 경지에 도달할 수 없는 이들로 묘사된다. 이러한 선인에 대한 표현을 염두에 둔다면, 우리는 〈선인들〉에서 이들을 찾기 전에 무진형제가 갑자기 선인을 언급한 이유를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선인은 사실 ‘궤적’ 시리즈에서 늘 대상이 되어 온 인물 군상의 다른 이름이라고 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앞선 ‘궤적’ 시리즈에 등장한 이들은 선함, 정확하게는 별다른 거부 없이 동시대 풍경 안에서 그 시스템의 경로를 순수하게 따라가는 순진함을 지녔기 때문이다. 이들은 특출나게 모난 점 없이 자신들이 하던 대로 살아가는 동시대의 풍경들이다. 그렇기에 앞선 작품들에 등장하는 사람들, 유권자, 시장 상인, 야간 노동자, 산내마을 주민들을 선인이라 바꾸어 부른다고 해도 그다지 이상하지 않다.
그런데 정작 〈선인들〉 안에서 앞선 작품에 등장하는 선인들의 모습을 찾기란 난망하다. 〈선인들〉 안에서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것은 〈TV정원〉 안에 방사된 한 무리의 닭이다. 영상 안에 등장하는 닭들은 정원 안에서만 살고 산란은 하지만 알을 품지는 않으며 그 외양을 유지한 채 영생하는 존재들이다. 무진형제가 닭을 등장시킨 이유는, 닭이 “기술된” 사회시스템 속 생명체의 은유로 적합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실제로 닭을 키우는 작가들은 닭장을 빠져나온 닭들이 손쉽게 먹잇감이 되는 광경을 경험한 뒤, 닭장을 벗어나면 생명이 위태로워지는 닭의 딜레마에서 시스템의 순응을 거부하기 어려운 존재, 특히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나날이 높아져 가는 오늘날 인류를 떠올렸다고 한다. 한 무리의 닭들은 1974년 이래로 이어져 온 기술-자연 생태계의 유비이다.
점차 기술에 의존하게 된, 나아가 기술 자체가 자연화된 풍경, 이것이 닭의 무리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선인들〉 속 동시대의 풍경일 것이다. 닭의 무리는 무진형제의 소개글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선인이 아닌 선인(우리)을 선하게 만드는 존재들이다. 그렇다면 다시, 선인은 어디에 있는가? 영상 안에 보이지는 않지만, 우리는 두 남녀의 인공지능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둘은 영상 안에서 정원 속 닭에 대해 이러저러한 문답을 주고받는다. 이 둘은 인공정원과 그 안에서 살고 있는 식물과 닭 그리고 기계장치들의 생태계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눈다. 이 둘은 두 사람이 존재하는 (생태/사회) 시스템의 붕괴에 대한 반작용으로 영원에 대한 갈망이 강화되었으며, 이제 이미지로나마 영원한 세상이 실현되었다고 말한다. 이 둘은 이 정원을 인공의 유토피아로 진단하면서도 자꾸만 디스토피아적인 묘사를 곁들이고 있다. 역설을 주고받는 이 둘은 선인일까?
CRT와 AI 목소리
무진형제는 〈선인들〉이라는 작업을 만들기 위해 마련한 상자 안에 두 가지 미디어를 넣었다. 하나는 앞서 본 것과 같이 〈선인들〉에서 내레이션으로 나타나는 AI 목소리이다. 다른 하나는 〈TV 정원〉의 재료이면서 〈선인들〉의 영상 중간중간에 픽셀 이미지 화면으로 등장하는 CRT 모니터이다. 이 두 종류의 미디어들은 앞선 ‘궤적’ 시리즈에 등장하는 미디어들과 차이가 있다. 이제까지 상자 안쪽을 더듬었던 미디어 테크놀로지들은 별다른 역사성을 드러내지 않았다. 적외선 카메라와 환등기, 흰 스크린과 크로마키 스크린은 어디까지나 고전과 동시대의 레이어들을 감각적으로 추출하는 도구일 뿐, 이들 미디어의 역사적 맥락이 작업의 맥락에까지 삼투된 적은 없었다. 그러나 〈선인들〉에 등장하는 AI 목소리는 뉴미디어로서 CRT 모니터는 올드 미디어로서 강한 대비를 보인다. 특히 CRT 모니터가 193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대표적인 텔레비전 디스플레이로 사용되었다는 점을 상기해 보라. 이미 인간이 구분해 내기 어려운 수준의 화소 경쟁이 계속되고 있는 오늘날과 비교해 보았을 때, 영상 속에서 요란하게 등장하는 거친 RGB 트라이어드들은 왠지 모르게 물성을 지닌 것처럼 느껴지기까지 한다. 빛의 삼원색과 가상의 가금류로 구성된 이 생태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단서가 될 만한 백남준의 기술-자연관을 떠올려 보자.
“자연환경의 특성은 영화나 회화보다 텔레비전에 더 많이 담겨 있다.
사실 텔레비전 그 미세한 전자들의 임의적 움직임은 자연 자체이다.”4
자연과 기술의 이분법을 무화시키는 이 사고방식의 1974년도 버전은 〈TV 정원〉이며, 2022년도 버전은 〈선인들〉이다. 따라서 이 생태계는 기술화와 자연화, 두 지류가 포개어진 곳이다. 텔레비전 수상기와 닭들은 이 생태계 속 사물들이다. 자연환경과 기술환경을 불가분의 것으로 바라보는 〈TV 정원〉은 미디어론에 있어서 당대에 대한 진단이자, 동시대적 풍경에 대한 예언인 셈이다. 그런데 고전과 교집합을 이룰 동시대의 풍경, 선인들은 이 자연 안에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이제 RBG나 가상의 가금류들처럼 가시적인 무언가로 남지 않고 목소리로만 남았다. 이 고담준론의 주인공들은 끝내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구경꾼의 어조로만 드러났다 사라진다. AI의 목소리는 마치 기화되어 버린 선인들인 듯 이 생태계 안에서 웅성거림으로만 남아 더욱 비물질적으로 느껴진다. 앞선 ‘궤적’을 떠올리고 다시 ‘생태계’ 속의 대비를 보노라면, AI 목소리는 선인들이 맞다. 이 둘이 선인들이다. 대부분의 ‘궤적’ 시리즈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선인들, 착한 사람들, 보통 사람들은 AI화 되어 이제 그 순수하고 순진한 태도만 청각적 자취로 남았다. 말마따나 선인들은 “기술된”(technicalized) 자들, 즉 기술-자연 안에서 기화 되어 버린 사람들일 따름이다.
미디어의 지질사와 기계음의 구술사
고전과 동시대적 풍경의 공통 분모를 감각적으로 추출해 오던 미디어는 선인, 동시대적 풍경의 자리에 눌러앉아 기술된 ‘생태계’가 되었다. 고전과 교집합을 이루던 선인들은 그 위에서 반향처럼 맴돈다. 고전과 동시대 풍경의 교집합을 미디어로 추출하는 ‘궤적’ 프로젝트에 변화가 생긴 것은 아닐까? 앞선 ‘궤적’ 프로젝트에는 늘 선인들을 통해 동시대의 기본값이 제시되었다. 선인들의 군집을 통해 동시대에서 무엇이 자연화된 부분인지, 더 정확하게는 무엇이 자연화된 시스템인지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선인들〉에서는 그 군집이 남녀 한 쌍을 통해 목소리로만 남겨진다. 자연화가 기술화가 되어버린 시대에 선함, 앞서 말한 것 같이 시스템에 순종하게 만드는 맹목적 순수성으로서의 선함은 가금류 이미지를 통해 공급된다. 그리고 선인들은 기술이 되어 몇 마디 말을 얹을 뿐이다. 현재가 웅성거림으로만 남고 유토피아가 시각적으로 공급되는 상황은 다른 ‘궤적’ 시리즈들과 다르게 현재의 풍경 그대로가 겹쳐 보이기보다 디스토피아적 미래상을 본 듯한 착시효과를 만들어 낸다. 한 쌍의 목소리가 유토피아를 말하고 있지만, 이 대화가 디스토피아적으로 들리는 역설은 이 때문이다.
상자 안에는 시간이 쌓이고 있다. 서로 먼 시간대 사이의 교집합을 감각화 하는 일, 궤적을 바퀴 쫓듯 하기보다 상자 안에 포개어 보는 일, 흔적의 입방체를 조형하는 일, 그래서 선인들, 세상의 기본값을 현상하는 일, 이것이 무진형제가 궤적 프로젝트를 통해 해온 작업일 것이다. 그러나 동시대의 기본값을 만들어 온 선인들로부터 유의미한 흔적이 남지 않고 도구인 미디어가 그 안에 녹아버린 다음, 계보 없는 시대가 도래했을 때, 상자 속 풍경이 달라진다. 그 안에는 기술이라는 자연과 선인이 휘발되는 시대를 느낄 수 있다. 선인들은 흔적을 밟지 않고(不踐迹) 경지의 안쪽으로 가지 않기(亦不入於室) 때문에 멸종될 수 있다. 역사화 되는 존재가 되지 못할 수 있다. 무진형제가 ‘궤적’ 프로젝트란 문서고를 통해 역사성을 담는 것은 이 때문일지도 모른다. 미디어의 지질사와 기계음의 구술사를 남기는 것은 이 때문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귀 기울여 들어야 할 것이 있다.
1 한국비디오아트 아카이브 더 스트림의 17번째 스크리닝에서의 인터뷰, 정세라, 무진형제. 2018.07.30.
http://moojinbrothers.com/texts/text.php?id=interview-03
2 “큐레이터와 함께 1: 백남준, 〈TV 정원〉 Curator's Take 1: Nam June Paik, TV Garden”, 백남준 아트센터
3 “子張問善人之道。子曰:不踐迹亦不入於室。”, 『논어』, 「선진」, ‘19장’.
4 “큐레이터와 함께 1: 백남준, 〈TV 정원〉 Curator's Take 1: Nam June Paik, TV Garden”, 백남준 아트센터
이문석
미학관 공동 대표, 독립 큐레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