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ace of the Box : A Stage Screening This Place at This Time

For Moojin Brothers, the world on which we stand is full of contradictions and loopholes.
Society always creates strict standards that members should follow, but the same standards are actually filled with loopholes, and the members use their loopholes to create their own hierarchy.

Moojin Brothers have been keenly observing the points of this contradiction and the others who are outside in it. Scriptures of the Wind (2016), an animated cartoon depicting the gap between generations caused by hierarchy, and Soaring in Transition (2015), which tells the story of our era in which the value of land was transformed through the abandoned objects in the field of redevelopment, are among the works through which Moojin Brothers embodied the story of the world that they had interpreted slowly and intensely, as if they were an elder. In addition, objects emerge and are portrayed with symbolic meanings in each story. Through elements such as 'Egg' and 'Letter' in Scriptures of The Wind, Moojin Brothers symbolize the gap between generations, while imputing meaning to each element, and through each of them, they induce the audience to read their works.

Moojin Brothers, who made their own trajectory, are starting a new project. It is a long term project that reads existing literary works and transforms them into the visual arts – it is called The Trace of the Box. This project will proceed under the principle that their role as a storyteller will be maintained, and even in the event of misreading, their reading results will be sufficiently achieved.

A plan to read a symbolically poetic poetry and to present the story of this land here and now in the language of the world reminded me of Voltaire's “Zadig ou, La Destinee ·Candide, ou l'Optimisme” (1747). Voltaire, who was always persecuted for criticizing the regime at the time, satirized the contradictions and pathological manifestations of the then society through "Zadig ou” and “Candide” through the wise and good Zadig and the extreme optimist Zadig. Zadig laments that it is difficult to live happily in this world. "Why do such evil things occur to me even when I am such a good person?1" For all Zadigs and Candides who live in a world of hopelessness and suffering instead of hopes, Moojin Brothers create the three stages with the language of poetry.


The useless Footnote

The term 'The Trace of the Box' in the dictionary means the process or traces in which something has been done. However, The trace of the Box of Moojin Brothers has a slightly different meaning. According to the author's note, for Moojin Brother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roject is what is left behind by or the traces of others, which means the new concept or image left for Moojin Brothers to discover from the records of others. Moojin Brothers are not just people who see, hear, and feel in front of other people's work but the ‘ones who make discovery’.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literary works into visual arts, meticulous reading is essential, and the secondary texts such as criticisms, critiques, and papers should be referred to. However, for Moojin Brothers, rather than theoretical and logical reading, how to connect the contents of poetry with our situation of today becomes a priority.

Moojin Brothers chooses three poems in this project : Friedrich Hölderlin's “Bread and Wine,” Vasco Popa's “Prudent Triangle” and Kim Jong Sam’s “Days of Battle Against Disease.” It is difficult to find contents or formal connections in these poems, however.

If you are looking for something in common, the symbolism of the poetry is very strong, so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what the poem implies. I suppose that the ambiguous and unfamiliar language of poetry for Moojin Brothers, who always insert elements with symbolic elements in their works, would have served as a guide to help visualize the world which they are looking at.
So Moojin Brothers create the three stages that translate poetry into the visual art.

"Bread and Wine" is translated into the A Better World where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scenes were filmed, whereas “Prudent Triangle" is translated into The Dawn Market and ”Days of Struggle Against Disease“ is translated into The Dialogue of the Night which talks about the lives of workers. The three stages have different stories, but they share the same thing as Moojin Brothers’ view of ”this place at this time.“

A Better World, capturing the scenes of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with a thermo vision camera, shows a voting scene filled with hopes and aspirations for a new world, just like the poetry of desiring the birth of a new light in the era of need2. The body contours and the temperatures of the people who count through the thermo vision camera are shown, and the ballot with the tension and the hurry also turns red with the temperature of the body. In the bus returning home after the voting count, people's story and laughter sound overlap with the scenery outside the bus photographed with a thermo vision camera, and the video ends.

The movement and collision of the three sides in "Prudent Triangle" are translated as The Dawn Market. It captures the dawn sceneries of the three markets such as Majang-dong Livestock Market, Noryangjin Fish Market, and Yangjae Flower Market with a thermo vision camera and makes these three images into one slide film according to certain rules.

Although the image contains the scenery of the bustling dawn market, the images were taken with a thermo vision camera so that the images may be distorted or emphasized only on a specific part. Through the three different markets, and through the thermo vision camera shooting effects, each image collides and transforms within a single slide, but like the three sides that collide to form a triangle, for Moojin Brothers, the image is a struggle for life and the flow of life itself.

However, at the time of filming The Dawn Market, the filming of Noryangjin Fish Market was restrained 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modernized market and the old market merchants was confronted with the night security guards who said that the situation was 'disputed.' Through this incident, Moojin Brothers have realized the morbid signs of our society, such as the polarization caused by neo-liberalism and the anxiety, depression, and the lack of hopes derived from it, and the poem of “Days of Struggle Against Disease” filled with negatives words such as witches, night, and dawn, among others, are translated as The Dialogue of the Night, which portrays the life of the night security guard.

In The Dialogue of The Night, the shadows that are unclear just like those of a monster begin with taking a break. After a short break at the dawn, they return to their original appearance. However, the role of the night security guard is a task given to someone, so it also exists as an anonymous subject. The tired shadows of the monsters revealing the negativity of the workers who are living at this place at this time, who are portraying their lives as well as the night security guard.

As such, these three works are the result of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three po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ojin Brothers, but it is not easy to find the point of connection between the work and the poem. Moojin Brothers have also long considered how to expose the poem that they refer to in their work, and in conclusion, they omits the point of connection or explanation between the work and the poem, thereby leaving only the works of Moojin Brothers in the exhibition hall. As an analogy, 'each footnote' describing the work has been omitted, so the audience can find poem only through the minimal information about the project.

The three works have a point of connection, unlike the three poems. The desire for a new era, the expectation that a good world will come to life, and yet the negative reality and uncertainty of the society continue to repeat, are among the concerns Moojin Brothers have, which they have illustrated through abstract images in incoherent forms and shadows.


Reading - Image – Record

There is no poem for the audience who watches the work. Because of this absence, the audience may have questions about how to find the poem in the work. However, the absence of poem in the exhibition space does not lead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work. The three poems occupy an important place in the starting point of the work, but as a result, the language of poetry has become a different story because it has become the work of Moojin Brothers. In the end, what is important in The Trace of the Box is the process of tracing the footsteps of others and overlaying the footsteps of Moojin Brothers.3

So, if you reveal the poem in the exhibition hall, it is likely to be seen as a footnote or a quote about the work. In this way, Moojin Brothers would have a place to concentrate on their works. It is the cross-sections of the era in which Moojin Brothers stared and remembered in the exhibition hall, so the audience would have to look at the images of the three works symbolically like poems rather than looking for the connections between the poem and the works.

Hwang Hyeon San said that poetry is a mnemonic, and that the ethics of art is not about creating and encouraging norms, but about ensuring that the hopes and despairs of a pure day and the newly gained hopes are remembered4. The project of The Trace of the Box, which mixes the stories of the world where Moojin Brothers stand with the poem, which is the language of margins and representations, may serve as a box to remember all the hopes and despairs of this time. In addition, Moojin Brothers will always try not to turn off the light over the stage, "to think of your sorrows in such a bad world," That is, to include the voices of others5. The project is still in its initial stage, but I hope that this long term project will continue, and I hope to be able to meet the readings and works of Moojin Brothers together in one place.

1 Voltaire, "Zadig ou“ and ”Candide“ translated by Lee Hyung Sik, Penguin Classic Korea, 2011, p. 23
2 I am omitt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oem that appears in the work, but I am attaching a part of the poem to help you understand this sentence. ‘So come if you will! And let us look at the universe of openness / Though it is far, we must find what is unique to ourselves / One thing is certain now whether it is midday or night, there is always a measure that exists / It is universal to everyone, yet everyone has its own (...)'
3 Quoted from the artists’ notes.
4 Hwang Hyeon San, "Night is the Teacher," 2016, Nanda, p. 204.
5 Park Joon, "Sadness Can be Proud" and "I Built Your Name and Had It For a Few Days," Literary Society, 2012, p. 22.


Kim, Mi-Jung
Curator, Art Space Pool


궤적(櫃迹): 지금, 여기를 상영하는 무대 1

무진형제에게 있어 우리가 발 딛고 있는 세계란 모순과 허점이 가득한 곳이다. 사회는 늘 구성원들이 따라야하는 엄격한 기준을 만들지만, 그 기준은 사실 허점으로 가득하며 구성원들은 그 허점을 이용해 그들만의 위계를 만들어낸다.

무진형제는 이 모순의 지점들 그리고 그 안에서 외면 받는 타자들을 예민하게 관찰해왔다. 위계로 인한 세대 간의 불통을 이야기하는 애니메이션 <풍경(風經)>(2016), 재개발의 현장에서 버려진 물건들을 통해 땅의 가치가 변질된 우리의 시대를 전래동화처럼 이야기했던 <비화飛化>(2016)등의 작품에서, 무진형제는 마치 어르신의 말투처럼 느릿하면서도 진득하게 자신이 해석한 세상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담아냈다. 또한 각 이야기에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사물들을 등장시켜 시적으로 그려지는데, 세대 간의 불통을 상징하는 <풍경>의 ‘알’, ‘편지’등 무진형제는 작품에 등장하는 요소 하나하나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들을 통해 관객이 작품을 읽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자신만의 궤적(軌跡)을 만들었던 무진형제가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기존에 존재하는 문학작품들을 독해하고 이를 시각예술로 변환시키는 장기 프로젝트 <궤적(櫃迹)>이 그것인데, 이야기꾼으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유지하면서 오독이 발생하더라도 작품에 자신들의 독해 결과를 충분히 담아낸다는 원칙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상징성이 강한 시를 독해하고 그 언어에 세상을 비춰 지금 여기의 이야기를 담아내겠다는 계획은 볼테르(Voltaire)의 「쟈디그·깡디드 Zadig ou, La Destinee ·Candide, ou l'Optimisme」 (1747)를 떠올리게 했다. 당시 정권을 비판하여 늘 핍박받던 볼테르는 「쟈디그·깡디드」를 통해 지혜롭고 선한 쟈디그와 극단적 낙천주의자인 깡디드가 겪는 사회의 모순과 병적 징후들을 풍자했다. 쟈디그는 이승에서 행복하게 살기가 어렵다며 한탄한다. “이렇게 선한 나에게 이렇게 악한 일만 일어나다니!”1 희망 대신 절망과 고통이 점철된 세상에서 살아가는 모든 쟈디그와 깡디드를 위해, 무진형제는 시의 언어를 빌려 세 개의 무대를 만든다.


무용(無用)한 각주

사전적 의미의 ‘궤적’은 어떤 일을 이루어온 과정이나 흔적을 의미한다. 그러나 무진형제의 <궤적(櫃迹)>은 그 의미가 조금 다르다. 작가노트에 따르면 무진형제에게 있어 이번 프로젝트의 시작점은 타인의 자취 또는 흔적으로, 이는 타인의 기록으로부터 발견한 새로운 개념이나 이미지가 무진형제에게 남긴 것들을 뜻한다. 타인의 작업 앞에서 무진형제는 단순히 보고 듣고 느끼기만 하는 자가 아니라 ‘발견하는 자'다.

문학작품을 시각예술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꼼꼼한 독해는 필수적이며, 평론이나 비평, 논문 등 해석을 논리적으로 제시한 2차 텍스트들도 참고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무진형제에게 있어 이론적이고 논리적인 독해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물론 시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하나, 무진형제에게는 시의 내용을 지금 우리의 상황과 어떻게 연결하여 독해할 것인지가 우선이다.

무진형제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프리드리히 횔덜린(Friedrich Hölderlin)의 「빵과 포도주 Bread and Wine」, 바스코 포파(Vasco Popa)의 「신중한 삼각형 Prudent Triangle」, 김종삼의 「투병기」, 총 세 개의 시를 선택하는데, 내용이나 형식적인 연관성을 찾기는 어렵다. 굳이 공통점을 찾는다면 시어(詩語)의 상징성이 매우 강하며, 때문에 정확히 시가 함축하는 의미를 알기는 쉽지 않다는 점이다. 짐작컨대, 작품에 상징성이 강한 요소들을 늘 삽입하는 무진형제에게 시의 모호하고도 낯선 언어는 작가가 바라보는 세계를 시각적으로 구현할 하나의 길잡이로 작동했을 것이다.

그렇게 무진형제는 시를 시각예술로 번역한 세 개의 무대를 만든다. 「빵과 포도주」는 지난 대선 투표 현장을 촬영한 <좋은 세상>으로, 「신중한 삼각형」은 <새벽시장>, 「투병기」는 노동자들의 삶을 이야기하는 <밤의 대화>로 번역된다. 세 개의 무대는 각자 다른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무진형제가 바라보는 ‘지금 여기’의 모습을 담아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19대 대선 투표 현장을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좋은 세상>은 궁핍의 시대에 새로운 빛의 탄생을 바랐던 횔덜린의 시처럼, 새로운 세상에 대한 기대와 열망이 담긴 투표 현장을 보여준다.2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개표하는 사람들의 신체 외곽선과 그 온도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긴장과 서두름이 묻은 투표용지 또한 신체의 온도를 타고 붉게 변한다. 개표가 끝난 후 집으로 돌아가는 버스 안에서 사람들의 이야기 소리, 웃음소리가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버스 밖 풍경과 겹쳐지며 영상은 끝이 난다.

「신중한 삼각형」에서의 세 변의 움직임과 충돌은 <새벽시장>으로 번역된다. 마장동 축산시장, 노량진 수산시장, 양재 꽃시장 등 세 시장의 새벽 풍경을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 세 장의 이미지를 특정한 규칙에 따라 하나의 슬라이드 필름으로 만든다. 이미지 안에는 분주한 새벽시장의 풍경이 담겨있지만,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했기에 그 이미지들은 실제 풍경보다 왜곡되거나 특정 부분만 강조되기도 한다. 세 개의 서로 다른 시장, 그리고 적외선 카메라 촬영 효과를 통해 각 이미지들은 한 장의 슬라이드 안에서 충돌하고 변형되지만, 삼각형을 이루고자 충돌하는 세 변들처럼 무진형제에게 있어 그 이미지는 삶을 위한 투쟁이자 삶의 흐름 그 자체를 상징한다.

그런데 <새벽시장> 촬영 당시, 노량진 수산시장의 촬영을 제지하고 현대화된 시장과 구(舊)시장 상인들의 대치 상황을 ‘분쟁상태’라며 언성을 높이는 야간경비원과 부딪히게 된다. 이 사건을 통해 무진형제는 신자유주의로 인한 양극화와 여기에서 파생된 불안, 우울, 희망의 부재 등 우리 사회에 만연한 병적 징후들을 실감하게 되고, 마녀, 밤, 새벽 등 어두운 단어들로 가득 찬 시 「투병기」를 야간경비원의 고된 삶을 담은 <밤의 대화>로 번역한다.

<밤의 대화>에는 마치 괴물처럼 형체가 불분명한 그림자들이 휴식을 취하는 모습으로 시작된다. 새벽의 짧은 휴식시간이 끝난 후 그들은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야간경비원이라는 역할 역시 누군가에게 부여받은 것이기에, 그 또한 익명의 대상으로 존재할 뿐이다. 힘없이 고개를 떨군 괴물의 지친 그림자는 비단 야간경비원 뿐 아니라 자신의 삶을 갈아내며 지금 여기를 살아가는 노동자들의 어둠을 드러낸다.

이렇게 세 작품은 세 개의 시를 무진형제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이지만, 작품과 시의 연결점을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무진형제 또한 작품에 참고했던 시를 어떻게 노출할 것인지 오래 고민했고, 결론적으로 시와 작품과의 연결점 혹은 부연설명을 과감히 생략하여 전시장에는 무진형제의 작품만을 남긴다. 비유하자면 작품을 설명하는 ‘각주’를 생략했기에 관객은 프로젝트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를 통해서만 시를 발견할 수 있다.

세 작품은 세 개의 시와는 다르게 서로 연결점을 가진다. 새로운 시대에 대한 열망, 좋은 세상이 올 것이라는 기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반복되는 사회의 암울한 현실과 불안한 미래, 그리고 거기서 살아가는 이들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무진형제의 고민들은 구체적이기보다는 형체를 흐트러트리거나 그림자 등의 추상적인 이미지로 발화된다.


독해-이미지-기록

작품을 보는 관객에게 있어 시는 부재한다. 때문에 관객은 작품에서 시를 어떻게 찾아야 할지 의문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전시장에서의 시의 부재가 작품의 이해에 대한 부재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세 개의 시는 작품의 시작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시의 언어는 무진형제의 작품으로 녹아들어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궤적(櫃迹)>에서 중요한 것은 타인의 발자취를 더듬고, 거기에 무진형제의 발자취를 덧씌우는 과정이다.3 때문에 전시장에서 시를 드러낸다면 이는 작품에 대한 각주나 인용 정도로 보일 가능성이 크기에, 무진형제는 오히려 작품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한다. 전시장에 남은 것은 무진형제가 응시하고 기억하는 시대의 단면들이기에, 관객은 시와 작품의 연결점을 찾기보다 시처럼 상징적인 세 작품의 이미지들을 하나하나 찬찬히 읽어보고 우리가 속한 세계를 돌아봐야 할 것이다.

황현산은 시는 기억술이라고 말한 바 있다. 또한 예술의 윤리는 규범을 만들고 권장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순결한 날의 희망과 좌절, 그리고 새롭게 얻어낸 희망을 잊지 않게 하는 데 있다고 언급한다.4 여백과 표상의 언어인 시에 무진형제가 서 있는 세계의 이야기를 섞은 <궤적(櫃迹)> 프로젝트는 어쩌면 이 시대를 기억하는 궤(櫃)의 역할을 할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무진형제가 늘 그래왔듯 ‘좋지 않은 세상에서 당신의 슬픔을 생각하기 위해’, 즉 타자들의 목소리를 담기 위해 <궤적(櫃迹)>이라는 무대의 불을 꺼뜨리지 않으려 할 것이다.5 아직 시작 단계이지만 이 장기 프로젝트가 부디 계속되어, 무진형제가 독해한 글들과 작품들을 언젠가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1 볼테르, 『쟈디그·깡디드』, 이형식 역, 펭귄클래식코리아, 2011, p.23
2 작품에 등장하는 시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본 문장의 이해를 돕기 위해 횔덜린의 시 일부를 첨부한다.‘그러하거늘 오라! 하여 탁 트인 천지를 보자/비록 멀다한들 우리 고유한 것을 찾자/한 가지는 지금도 확실하다, 한낮이건/한밤중에 이르건 언제나 하나의 척도 존재하는 법/모두에게 공통이며, 그러나 각자에겐 자신의 것이 주어져 있고(...)’
3 작가노트에서 인용
4 황현산, 『밤이 선생이다』, 2016, 난다, p.204
5 박준,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문학동네, 2012, p.22


김미정
큐레이터, 아트스페이스 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