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lusion of the Future
미래의 환영


Illusion of the Future

Inside an art museum, a group of exhibition viewers are watching a work by a contemporary artist, titled Illusion of the Future. The docent provides an easy and friendly explanation for this somewhat unfamiliar and esoteric piece of contemporary art, with analogies to a racquetball game and a famous painting at a park in a newly developed city. After the explanation is done, the viewer will follow the docent to another artwork. The screen then fades into black, with the work on repetition with the same running time and sound. The docent gathers viewers in front of the video, which returns to its beginning. This is how the work, Illusion of the Future, begins.

The structure and narrative of the video begin with three art museums. In terms of content, it features a museum experienced by a contemporary artist, museums explained by a docent who appears in the video, and the museum with which actual viewers engage. The museums ar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within the structure of the video, delving into the inside and outside, fiction and reality. First of all, in the part that deals with the museum experienced by a contemporary artist, the artist talks about contemporary artists, museums, docents, and viewers through the work Illusion of the Future. His work is on display at an art museum. Therefore, the artist’s act of presentation and his work are conveyed through the commentary of a museum docent in the video. This is, of course, the content of the Moojin Brothers’ video Illusion of the Future. The work will be exhibited in an actual museum to be viewed by actual docents and viewers with proper commentary.

As such, all three museums in the work are discussed at different levels, ultimately returning to the same terms. It‘s the “artist-docent-viewer” that constitutes an exhibition space in an art museum. Following their actions and gestures, along with the way they relate and roam, we cannot help but encounter the illusions they create. This is why the title of Moojin Brothers’ work and that of the contemporary artist in the video are identical: Illusion of the Future. The “artist-docent-viewer” are transient beings in the museum (through temporary contractual relationships or one-time visitors) who compartmentalize the body of the museum, defining the periphery of the center, and establishing flows, boundaries, and implicit rules.

In essence, the exhibition space of an art museum is a place where the work of the artist, the information conveyed by the docent, and the gestures of the viewer intersect and repeat. At first glance, it seems to organize itself and move quite autonomously. However, the artist must constantly probe the white walls of the exhibition space to locate the fine line between one’s will and approval to install the work. The docent must calculate the gap between the artwork and the viewer to translate it into a public language, while the viewer creates a physical line of compromise every moment as they try to internalize their path through the museum. The body of the museum is sustained by this illusion of “artwork-explanation-gesture.”

Once an exhibition ends, the illusion fades away, leaving only white walls in the exhibition space. The artist’s work is transported to the venue for its next match (or exit); the docent’s commentary may be remembered or dissipated somewhere in the viewer’s mind, and the various gestures of the viewer are recorded as an achievement for the museum. Then, the next exhibition gets to be prepared for the sake of creating another illusion. In the body of the museum, the “artist-docent-viewer” constantly produces an “artwork-explanation-gesture” as if climbing up and down an endless spiral staircase with no exits above, below, or on either side.

The cumulative result of the constant illusions over time is the masterpiece painting reproduced with tiles at a park in a small town, which is mentioned by the docent in the video. Illusion of the Future refers to what we will see in museums in the future based on the present. But it also implies the different ways through which the masterpieces exist in the present, which is the future from the viewpoint of the past. Even after an artist passes away, the artwork can never be put to rest. It becomes part of the museum and continues to reproduce and multiply in the material conditions of the new society, human systems, and systems of knowledge. The contemporary artist in the video refers to this as the fate of the artwork. In art museums, there are works by contemporary artists who yearn to be exhibited as if competing in a fierce gam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classic pieces that have been luckily acquired to become part of a collection even in new times. In this way, museums can perpetuate their legacy by embracing both the past and the present.

Between the artists who are bound by temporary contracts and the viewers who are counted by the number of their tickets, museums prepare a variety of devices and programs in their exhibition space to ensure that they are not isolated from any era. Nevertheless, for those who visit museums, the works of contemporary artists are too unfamiliar and difficult to understand. For works that are well-known, they are asked to provide explanations for their fame. Docents are mediators and guides who can fulfill such needs and wants of museums. In the midst of exhibitions full of confusion and questions, they are the only ones who can stand in for the voices of contemporary artists who often work like racquetball players. For example, they can shed light on how sublime works of art from the past came to be reproduced on tiles at a park in a small town. In such a way, the docent exists as a voice that takes the place of the artist’s word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work and carefully instilling the institution and system of the museum by kindly silencing the doubts in the viewer’s mind.

The video ends with the movements and gestures of viewers. In museums, viewers exist as a mass of constantly aggregated big data, a public to be viewed and educated, and a crowd outside the fence that sometimes has to be physically distanced from the artwork. They are the wanderers of the museum in a different sense than the artist. They cannot see the body of the museum itself. After the artist completes the installation, viewers enter the museum, which is already well arranged, as if they are changing shifts.

Viewers are a group of people who have instinctively learned the best way to engage with the unfamiliar, majestic, and authoritative body of the museum. We just need to entrust our eyes to the artwork, our ears to the docent, and our body language to safety fences and distances from others. As we open our senses and follow the voice of a docent through the sleek walls and floors of an art museum, art and artworks suddenly become the content that feeds our senses and educates us, transforming us from individuals full of questions and curiosity into spectators.

The bodies of viewers, optimized for the museum system, walk in different directions. However, they never bump into each other or go where they’re not supposed to, even in the midst of what appears to be a chaotic environment. Since art museums have distinct entrances and exits, it’s impossible to get lost even if one wanders around for a while. Even when confronted with an artist’s work that appears to break through a white wall of the museum, the viewer is protected by a safety fence. All the viewer has to do is keep their distance with a cynical, impassive face and move on to the next work of art. This is thanks to the docent’s ability to provide fluent commentary and friendly guidance.

This allows the artist to remain silent for the duration of the exhibition and the viewer to surrender their appreciation to the docent. Of course, the docent’s detailed explanations and friendly guidance do not come at no cost. Collected by the docent, the words of the artist and the senses of the viewer are accumulated in the museum in one way or another. The museum’s next move, or its illusion of the future, will be built on it.

In Moojin Brothers’ work, the docent leads viewers to the next piece once the video ends, and it is the same process as visiting an art museum in real life. Led by the docent, what other information and commentary will the group of viewers receive to create new illusions, just a few steps in the future? It’s never possible to know which artwork a docent in an actual museum will lead the viewer to. In this video, however, the moment the docent leads the viewers to the next artwork, the video fades to black. The timeline and sound then run backward from the video’s running time. Although this is the only time viewers can view the artwork without a docent’s explanation, the video is occupied with time and sound in reverse for about nine minutes. During this time, the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museum over the years will become abstract and fill the exhibition space.

Behind the black screen is another empty wall, or blank screen, glowing under a bright light. It is the white wall of a museum where the contemporary artist played a match.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place where another triangle of “artist-docent-viewer” will create an illusion in the time to come. What have we seen and what will we see again? At the very least, can we ask ourselves what paths and walls we have traveled to reach this place and where we are headed? We wanted to give the viewers time to come face-to-face with the white walls of the museum, which the artist faced without any mediation or commentary. Of course, even at that point, it’s not unlikely that many viewers will stand outside the safety fence and dare not to look deep inside it. However, if there is anyone who will become an artist one day, unable to control their overflowing thoughts and talents, and will one day enter a new arena, I think that will be more than enough.



미래의 환영

관객들이 미술관에서 ‘미래의 환영’이라는 동시대 작가의 작품을 감상 중이다. 동시대 미술을 주제로 한, 다소 낯설고 난해한 작품에 대해 도슨트는 라켓볼 경기와 신도시 공원의 명화 이미지에 비유해 쉽고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설명이 끝난 후 관객들은 도슨트를 따라 또 다른 작품을 향해 갈 것이다. 그리고 블랙 아웃 된 화면에는 작품과 동일한 상영 시간과 사운드가 리와인드 된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간 영상에서 도슨트가 관객들을 모으며, <미래의 환영>이 시작된다.

영상의 구조와 내용은 총 세 개의 미술관으로부터 시작된다. 내용상으로는 동시대 작가가 경험한 미술관, 영상 속 도슨트가 알려주는 미술관, 그리고 실제 관객들이 참여하는 미술관이 있다. 이들의 미술관은 영상의 안팎과 허구와 실재 등 여러 구조 속에서도 세 부분으로 나뉜다. 우선 동시대 작가가 경험한 미술관에서 작가는 ‘미래의 환영’이라는 작품으로 동시대의 작가, 미술관, 도슨트, 관객 등에 관해 얘기한다. 그의 작품은 어느 미술관에서 전시 중이다. 때문에 작가의 전시 행위와 작품은 영상 속 어느 미술관의 도슨트 해설로 전달되고 있다. 물론 이 모든 상황은 무진형제의 영상 작품인 <미래의 환영>의 내용으로, 실제 어느 미술관에서 전시되어 현실의 도슨트와 관객들에 의해 관람 되고 적절한 해설이 덧붙여질 것이다.

이처럼 세 개의 미술관 모두 각각 다른 차원에서 얘기되고 있지만, 결국 동일한 조건으로 회귀하게 된다. 미술관 전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작가-도슨트-관객’이다. 이들의 행위와 몸짓, 그리고 관계 맺고 배회하는 방식을 따라가다 보면 결국 그 안에서 생성되는 환영과 마주할 수밖에 없다. 무진형제의 작업과 영상 속 동시대 작가의 작품명이 ‘미래의 환영’으로 동일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작가-도슨트-관객’들은 미술관의 임시적인 존재들로(임시적 계약 관계 혹은 일회적 방문자) 미술관의 몸체를 구획하고 중심 주변을 구분해 놓으며, 흐름과 경계, 암묵적 규칙 같은 것들을 설정하기도 한다.

사실상 미술관의 전시장은 작가가 만들어낸 작품, 도슨트가 전달하는 정보, 관객들의 몸짓이 교차 되고 반복되는 곳이다. 언뜻 보면 매우 자율적으로 조직되고 움직여지는 것 같다. 하지만 작가는 전시장의 흰 벽을 끊임없이 더듬거리며 의지와 승인 사이에서 조율된 선을 찾아 작품을 설치해야 한다. 도슨트는 작품과 관객 사이에 발생한 간극을 계산해 공공의 언어로 풀어내야 하며, 관객들은 미술관의 경로를 자신의 동선으로 체화하기 위해 매 순간 물리적인 타협선을 만들어낸다. 미술관이라는 몸체는 이 ‘작품-해설-몸짓’이라는 환영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셈이다.

하나의 전시가 끝나면 기존의 환영은 말끔히 사라지고 전시장엔 흰 벽만 달랑 남게 된다. 작가의 작품은 다음 경기를(혹은 퇴장을) 위한 곳으로 이송되고, 도슨트의 해설은 관객들의 뇌리 어딘가에서 기억되거나 흩어져버릴지 모르며, 관객들의 다양한 몸짓은 미술관의 성과로 기록된다. 그리고 다음 전시가 또 다른 환영을 생성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미술관의 몸체 속에서 ‘작가-도슨트-관객’들은 위, 아래, 양옆 어디에도 출구 없이 그저 끝없는 나선형 계단을 오르내리듯이 ‘작품-해설-몸짓’을 끊임없이 생산해 내고 있다.

그 끊임없는 환영들에 의해 오랜 시간 동안 축적돼 만들어진 결과물이 영상 속 도슨트가 언급했던 소도시 공원의 타일 명화이다. <미래의 환영>은 현재를 기준으로 하면 앞으로 미술관에서 보게 될 것들을 가리키지만, 먼 과거로부터의 미래인 지금 우리에게 남은 명화들의 다양한 존재 방식을 뜻하기도 한다. 작가가 죽은 뒤에도 작품은 잠들지 못한 채 미술관의 일부가 되어 새로운 사회의 물적 조건과 인간 시스템, 그리고 지식의 체계 속에서 끊임없는 복제와 증식을 계속해 나간다. 영상 속 동시대 작가는 이를 작품의 운명이라 일컫는다. 미술관은 치열한 게임을 벌이듯 전시를 갈망하는 동시대 작가들의 작품이 있고, 다른 한편에는 새로운 시대에도 운 좋게 컬렉션 된 클래식 작품들이 공존해 있다. 미술관은 이처럼 과거의 유산과 현재의 흐름 모두를 포섭해야 영속(永續)할 수 있다.

한시적 계약으로 맺어진 작가와 입장권으로 카운팅 되는 관객 사이에서 미술관은 그 어떤 시대로부터도 단절되지 않기 위해 전시장에 다양한 장치와 프로그램을 준비해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술관을 찾은 관객들에게 동시대 작가들의 작품은 너무 낯설고 어렵다. 이미 유명한 작품에 대해서는 그 유명세에 대한 설명이 뒤따라야 한다. 도슨트는 이러한 미술관의 요구와 필요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매개이자 안내자이다. 그들만이 혼란과 의문에 가득찬 전시장 안에서 때로는 라켓볼 플레이어와 같은 동시대 작가의 목소리를 대신하고, 과거의 숭고한 예술작품이 소도시 공원의 타일에 복제된 경위에 대해 명쾌하게 해명해줄 수 있다. 그렇게 도슨트는 작가의 입을 대신해 작품의 정보를 제공하며 관객의 머리 속 의문까지 친절하게 소거해 미술관이라는 제도와 시스템을 꼼꼼하게 주입시키는 목소리로 존재한다.

영상은 관객들의 움직임과 몸짓으로 마무리된다. 미술관에서 관람객들은 끊임없이 집계되는 빅데이터이자, 관람하고 교육되는 대중이며, 때로 작품과 물리적 거리를 두어야만 하는 펜스 밖의 무리들이다. 그들은 작가와는 다른 의미에서 미술관을 떠도는 자들이다. 그들은 미술관의 몸체 자체를 볼 수 없다. 전시 설치를 마친 작가가 퇴장한 후 관객들은 마치 교대를 하듯 이미 잘 꾸며진 미술관에 입장하게 된다.

관객들은 낯설고 웅장하며 권위로 가득한 미술관의 몸체와 마주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을 본능적으로 깨우친 사람들이다. 눈은 작품을, 귀는 도슨트에게, 몸짓은 안전 펜스와 타인과의 간격에 의탁하면 그만이다. 미술관이라는 매끈한 벽과 바닥에서 도슨트라는 안내자의 목소리를 따라 감각을 열고 발걸음을 옮기다 보면, 예술과 예술 작품은 어느새 잠깐의 감성과 교양을 채워줄 컨텐츠로, 의문과 호기심 가득했던 개인은 관람객으로 변이하게 된다.

미술관 시스템에 최적화된 관객들의 신체는 제각기 다른 곳을 향해 걸어가지만, 무질서해 보이는 가운데서도 절대 부딪치거나 금지된 곳을 향하지 않는다. 미술관은 입구와 출구가 분명한 곳이라 잠시 헤매더라도 길을 잃을 수 없는 곳이다. 흰 벽을 뚫어버릴 듯 치열하게 달려드는 작가의 작품과 마주해도 안전 펜스가 있기에 관객은 안전하다. 짐짓 냉소적이고 무표정한 얼굴로 거리를 유지하며 다음 작품으로 가면 된다. 도슨트의 막힘없는 해설과 친절한 안내가 준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덕분에 전시 기간 내내 작가는 입을 다물고, 관객은 감상을 의탁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도슨트의 상세한 해설과 친절한 안내는 공짜가 아니다. 도슨트에 의해 수집된 작가의 말과 관객의 감각은 어떤 식으로든 미술관에 축적된다. 미술관의 다음 행보, 미래의 환영은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질 것이다.

영상이 끝나면 도슨트가 관객들을 이끌고 다음 작품으로 이동하는데, 이는 현실의 미술관 관람 과정과 동일하다. 도슨트가 이끄는 관객의 무리는 단 몇 걸음의 미래에 또 어떤 정보와 해설을 듣고 새로운 환영을 생성해 낼까. 실제 미술관의 도슨트가 관객을 어떤 작품으로 이끌지 알 수 없다. 다만 이 영상에서 도슨트가 관객들을 이끌고 다음 작품으로 간 순간 영상은 블랙 아웃 되고 타임라인과 사운드는 영상의 상영 시간으로부터 거꾸로 흐른다. 관람객이 도슨트의 설명 없이 유일하게 작품을 관람할 수 있는 시간이지만, 약 9분 동안 영상의 화면에는 리와인드 되는 시간과 사운드가 흐른다. 오랫동안 축적된 미술관의 정보가 추상이 되어 전시 공간을 채우게 될 것이다.

그 검은 화면 뒤에 환한 조명으로 빛나고 있는 또 다른 빈 벽, 혹은 빈 스크린이 서 있다. 동시대 작가가 경기를 펼치던 미술관의 흰 벽이자 곧 도래할 시간에 또 다른 ‘작가-도슨트-관객’의 삼각 편대가 만들어낼 환영이 깃들 곳이기도 하다. 우리는 무엇을 보았고 또 무엇을 볼 것인가. 적어도 우리가 어떤 길과 벽을 지나 이곳까지 왔는지, 어디로 갈 것인지, 스스로 되묻고 그려볼 수 있을까. 관객들에게 어떠한 매개와 해설 없이 작가가 마주했던 미술관의 흰벽과 직접 대면할 수 있는 시간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물론 그 순간에도 안전 펜스 밖에 서서 굳이 그 펜스 안의 깊숙한 곳까지 들여다볼 생각을 하는 관객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다만 그중에 차오르는 생각과 재능을 주체하지 못해 언젠가 새로운 경기에 뛰어들 미래의 작가가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