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oor into Summer - The Record of Pleasant Failure
여름으로 가는 문 - 기꺼운 실패의 기록


The Door into Summer - The Record of Pleasant Failure

The Door into Summer originates from a conversation with a boy. However, the questioner and the respondent stopped talking without getting answers both sides wanted. In the end, all the trials of conversation with the boy were not successful. But it does not mean that communication was impossible. Ironically, during the breaks in conversation, we could exchange something more than words. The intended conversations failed but the repeated breaks and long silence made the work The Door into Summer possible. The meeting with the boy finally ended in a pleasant failure. The whole work beginning from a point where the boy’s words and our conversation stopped unfolds in three spaces: the handrails that record failed conversations, the passage filled with images of the ruins created in silence and the end of the passage in which the boy’s responses and new questions are presented. Each space is based on the records, questions and new understanding of Moojin Brothers. Now we want to retrieve the things hidden in these spaces little by little. Despite some pressure of having to say with a written language at a break in conversation, we will tell you the story about the spaces.

1. Handrails – A Record of Failed Conversation

“I AM SHORT. I CANNOT DO ANYTHING.”

When we read this sentence, the boy’s words don’t seem to have a serious problem. It can be considered as a short boy’s complex, an immature teenager’s rebellion or a burnout of a student. Most of them are common problems that teenagers may have. But we couldn’t ignore what this boy said. Above all, we had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him and the boy showed an unusual act, saying he can do nothing.

Every morning, the boy does 4000 jump ropes in a park near his house. After knowing that, we felt that there was a big gap between his words and actions. As if watching a very short preview of a movie, we observed the boy’s words and behaviors. It seemed like a highlight scene without talking about the context at all. It was tantalizing. The people around him often said they couldn’t understand his words and acts. People say to him that he has to make more efforts than others if he thinks a short height is a problem. But the boy just responds by doing 4000 jump ropes every day. Nevertheless, we were curious. We kept asking him ‘why he does 4000 jump ropes’ but his answer was always the same: “I am just doing it.” We gave him some reasons that we analogized, but his answers were always, “No, no.” Our conversations usually ended at this point. He somehow answered all our questions, but we couldn’t hear the answers we expected. A process of our conversation with him was repeated continuously in this way.

The records of this repetitive reply were recorded in transparent acrylic letters installed on the handrails at the entrance of the exhibition space. At the moment visitors enter the exhibition hall, they are invited to interpret the boy’s answers twice: once literally and another time after reading the transparent acrylic material letters onto which the environments of the exhibition space are projected. In acrylic letters, the questions are eliminated because the questions that Moojin Brothers ask vanish in a moment, sliding into a long hiatus and silence between the boy’s answers.

As a result, visitors are asked to create questions based on the answers. Visitors may guess where the beginning and end of conversation or the impossibility of continuing conversation come from on the basis of the boy’s same repeated words. What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ll the questions, which visitors made up based on the failed conversation records, encounter, confronted by the boy’s impregnable replies? Visitors are then brought into the space of long silence and pause.

As what the boy says does not satisfy the questioner’s curiosity, visitors face a somewhat embarrassing situation that they cannot climb up the stairs while holding the handrails at the entrance of the exhibition space. The naïve belief and expectation of the questioner that conversation may be possible if talking with the boy continuously are totally gone during a course of conversation. Likewise, visitors realize that what they expected is gradually collapsing as they interpret the tiny letters written on the handrails instead of grabbing them as they used to do. In this way, the boy’s words commence the exhibition The Door into Summer.

2. Passage – Images of Ruins Created in Silence

Before seeing video and the boy’s answers, visitors need to cross a 14-meter passage. The passage, which is a floating space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floor, neither inside nor outside, begins at the point where the acrylic letters on the handrails end. Moojin Brothers made this place a space of ruins standing for silence and pause. The space of ruins is an impeccable and well-ordered space covered with white tiles. Black dirty walls and skinny frames are only left in places where the white tiles fell out.

The space of ruins spreads as if encroaching upon the space where videos are played and the place to which white tiles are barely clinging to. The sound of the boy’s jump roping, ‘tak tak tak,’ coming from the space of white tiles, spreads out across the whole exhibition space. In tune with the sound, black-and-white photographs placed on the floor give out light. Seven photos frenetically glimmer like a warning light at their own speeds and rhythms. It is necessary to follow the lights of the photos attached to the floor like puddles in order to pass through this dark space of ruins safely. But even the subjects of the pictures are the traces of the ruins filled with irregular cracks.

Like the tiles attached to the world of grids, a number of requirements for a member of society such as common sense, ethics and superficial knowledge underlie out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The ruins are the traces of the tiles of common sense and objective knowledge that are broken away. It is a place of segmentation and division that our words and language cannot fully explain and a space where solid common sense is broken.

Silence and pause generated from conversation with the boy are symbolic of a realm where the questioner’s question and his or her intention no longer work. An area one can never reach with common sense. When talking with the boy, we felt like we were passing such a space. A collapse would be a right word for that. The time of collapse does not last forever as long as a relationship with the boy continues. One may pass the space of ruins instantly if one tried another kind of communication, noticing that communication with the boy is impossible quickly. However, Moojin Brothers wanted to look into this space more carefully. As a matter of fact, some more time is required to dig into the questions that one posed at the entrance, while walking slowly around the sites where one’s own matters (common sense, belief, expectation, etc.) are destroyed.

3. End of Passage – On the Way Back to the Ruins

Silence began from the place where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past stopped. Similarly, the ruins of the exhibition space are full of traces of the things that existed once and disappeared. The ruins were originally covered with white tiles. Numerous white tiles that were attached monotonously are the fragments of advance system clinging to the frame of our common sense and the world of grids.

The remnants still remain at the end of the passage covered by the ruins. The space looks like a square park where the boy does jump rope and the boundary lines on the imaginary weather chart. Videos show the summer time and the space in grids. On one side, the boy is jump roping in the space evenly divided and cut like tiles and on the other side, part of the weather chart delivering information on the flow of atmosphere is projected in real time. But in the two videos, there are things that move like the only errors in the world of grids created by the quantified forecasting system – the boy doing jump rope in his own way inside the dense apartment buildings and the solid lines of wind swirling somewhere in the world while strengthening its power. The white tiles in the exhibition hall may be cracked and ruptured by these two movements.

The boy does 4000 jump ropes every morning. He doesn’t have a pause unless he is out of breath or the rope is entangled. The boy is doing something at any rate. He is not just doing an action to follow a specific direction in life. Through the jump rope, the boy may establish an orbit of another life, which is the natural rhythm of the four phases of birth(saeng), growth(jang), harvest(su) and storage(jang)(生長收藏) by being born, growing, being harvested and being buried. Summer belongs to the phase of growth(jang) among them. The summer the boy was spending doing jump rope. The cycle of human life also follows the rhythm of these four phases. The boy is now going through a time of growth. He is spending two summers: one is an adolescent period of growth and the other is a hot summer repeating every year. This summer will be followed by the autumn soon. The boy will also get old and sick someday. In other words, he will also experience the phases of being harvested and buried. In a law of nature without specific orientations, both killing heat and the boy who neglects studies are in accordance with the rhythm of a natural cycle.

At this moment, an old mantis suddenly appeared when we were filming the boy as if noticing our thoughts. The dark brown-colored skinny mantis like a twig watched the boy jump roping for a long time around him. The mantis may be experiencing a phase of decline close to death. The motion and gaze of the mantis in its declining phase watching the boy who is in the stage of growth leave an odd impression. What does it think watching the boy? Although the mantis does not live longer than a year, its body has traces of several phases of life that he has passed ahead of the boy. The old body of the mantis makes a contrast with the boy’s body with soft hair even when he is wet. The video shows the scenes forming a contrast with each other to reflect the different rhythms of life that coexist in the same space in summer.

Another video explores the body of the ever-changing earth. It is an edited version of the videos including the imaginary weather charts showing the atmospheric flow of the earth. This video randomly shows the contrast of temperature and season as well as the flow of the air happening on the earth. It especially pays attention to the flow of the wind marked with white solid lines because it circulates temperature and season, crossing all the boundaries and numbers across the earth. Therefore, we would say the first video captures the landscape of the world around the boy with a focus on the boy and his movement, whereas the second video portrays the body of the earth changing gradually on the basis of the lines of wind.

The exhibition The Door into Summer seems to end with these two videos. But at the end of the passage, visitors have to pass a passage one more time to get out of the exhibition space. The acrylic letters at the entrance and the two-channel videoa are all connected to the passage of the ruins. The visitors may become more confident about the questions they have or change their minds, while going through the passage. No matter what questions or thoughts they have inside this exhibition space, it is the visitors who need to deal with them. Lastly, we have a question for visitors.

Watching the second video, visitors may think they see part of the body of the earth or at least regard it as a reproduction close to the real one as much as possible. The images of weather seen through digital devices create an illusion that one is looking down at the earth from space. Accurate forecasts and real-time information that the weather chart provides make people believe that what they see are real images and movements of the earth.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fine dust, the red-hot summer of the Korean Peninsula, a typhoon growing somewhere in the Pacific, all sorts of pollutants covering the skies of India and China… Among all these things lies a virtual earth filled with information we need and want to see. Is this image the same as that of the atmosphere of the day when the boy jump roped? The wind that the boy felt behind him and the white lines of wind marked in the imaginary weather chart are the same?

The virtual earth is the information system created by the questions we asked the boy and the concerns about his life appearing to get out of course. It reflects the image of the earth in which what people commonly seek for and want to know for a convenient life is only left. When watching the earth in the palm of our hand from an omniscient perspective, we watch the earth the way we want and it is like graph paper eliminating the things out of necessity and randomness. What can we see eventually if we enlarge it over and over? It is the place where we live, namely, our own place. What we have attained using cutting-edge technology is ourselves in the end.

The two videos show the advance system based on objective knowledge and common sense that the entire work The Door into Summer deal with in totally different manners. The first video reflects the world in which this system becomes useless by the will of a boy, while the second one illuminates the way the system functions and is reenacted through various numbers and linguistic images. After watching them, visitors are supposed to get back to the questions posed in the beginning, passing the dark and winding passage of the ruins once again. A long silence has been created in the ruins where conversations with the boy stopped. What is waiting for us in the second ruins then?



여름으로 가는 문 - 기꺼운 실패의 기록

<여름으로 가는 문>은 한 소년과의 대화로부터 시작된다. 하지만 질문자와 응답자 모두 원하는 답을 듣지 못한 채 자기 얘기만 하다 입을 다물어버렸다. 결과적으로 소년과 나눈 모든 대화는 실패했다. 그렇다고 소통 불가는 아니었다. 말이 끊긴 지점에서 아이러니하게도 말 이상의 것을 주고받았다. 의도된 대화는 실패했지만, 단절된 말과 긴 침묵의 반복 속에서 <여름으로 가는 문>을 작업할 수 있었다. 그렇게 소년과의 만남은 기꺼운 실패로 기록되었다.

전체 작업은 소년의 말, 대화가 끊긴 자리로부터 시작해 총 세 개의 공간에서 펼쳐진다. 실패한 대화가 기록된 손잡이, 침묵 속에서 생성된 폐허의 이미지들로 가득한 통로, 그리고 소년의 응답과 새로운 의문이 제기된 통로의 끝이다. 각각의 공간은 무진형제의 기록과 질문, 그리고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이제 그 공간 속에 숨겨놓은 것들을 조금씩 회수해보려 한다. 말이 끊긴 자리에서 하필 문자 언어로 말해야 된다는 압박감이 있지만 천천히 그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보겠다.

1. 손잡이 – 실패한 대화의 기록

“나는 키가 작다. 그래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문장으로 읽는 소년의 말은 큰 문제가 없는 듯하다. 키가 매우 작은 소년의 콤플렉스거나 철없는 십대의 반항, 혹은 수험생의 번아웃(Burnout)쯤으로 받아들이기 마련이니까. 대부분이 10대들의 흔한 문제쯤으로 치부하고 넘어갈 수 있다. 그런데 이 소년의 말은 쉽게 넘길 수 없었다. 우선 소통의 어려움을 크게 겪었고, 무엇보다 아무것도 할 수 없다던 소년의 기이한 행동 때문이었다.

소년은 매일 아침 집 근처 공원에서 줄넘기 4000개를 뛰고 있다. 이걸 알고 나서야 그의 모든 말과 행위 사이사이에 커다란 구멍이 나 있음을 발견했다. 소년의 말과 행동을 관찰하는 동안 마치 긴 영화의 매우 짧은 예고편 일부를 엿본 기분이었다. 앞뒤 내용이 전부 잘려나간 채 하이라이트 한 장면만을 보고 입맛을 다시는 기분이랄까. 주변의 어른들도 상식적으로 소년의 말과 행동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말을 자주 했다. 키가 작은 게 문제라면 오히려 남들보다 더 열심히 살아야 하지 않느냐고 되묻지만, 소년은 매일 4000개의 줄넘기를 뛰고 있는 것으로 답 할 뿐이다. 그럼에도 궁금했다. '소년은 왜 4000개의 줄넘기를 하는가' 집요하게 캐물어도 돌아오는 답은 "그냥"이 전부다. 이유를 유추해서 물어도 "아니, 아니"라는 답만 되돌아온다. 소년과의 대화는 항상 이쯤에서 끝난다. 그는 어떤 식으로든 질문에 답했고, 질문자는 원하는 답을 듣지 못했다. 그와의 대화 기록은 이런 과정의 무수한 반복이었다.

그 반복적인 응답의 기록은 전시장 입구 난간대의 손잡이에 설치된 투명 아크릴 문자로 다시 기록되었다. 관객들은 전시장에 발을 들여놓는 순간 소년의 답을 이중으로(한번은 문자 그대로의, 다른 한 번은 전시장 환경이 투영된 투명 아크릴의 물질적 문자를) 읽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아크릴 문자에서 질문은 제거되었다. 질문자, 즉 무진형제가 던진 질문은 소년의 답 사이사이, 긴 공백과 침묵으로 미끄러져 순식간에 사라지기 때문이다.

결국 관객들이 답을 통해 질문을 만들어보는 수밖에 없다. 반복적으로 이어지는 소년의 동일한 언표로부터 관객들은 대화의 시작과 끝, 혹은 지속 불가능성이 어디서부터 발생하는지 유추해볼 수 있다. 실패한 대화기록을 통해 만들어진 관객들의 질문들은 소년의 철벽 같은 응답 앞에서 어떤 소통 불가능성으로 빠져들게 될까. 이제부터 관객들은 긴 침묵과 공백의 공간으로 들어서게 된다.

소년의 언표에 기대어 질문자의 궁금증을 해결할 수 없듯, 관객들은 전시장 입구의 손잡이를 잡고 안전하게 오를 수 없는, 조금은 당황스러운 상황에 마주하게 된다. 소년과 지속적으로 말을 주고받다 보면 대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질문자의 순진한 믿음과 기대는 대화 과정에서 말끔하게 사라져버린다. 마찬가지로 관객들은 평소 습관처럼 손잡이를 짚지 않고 오히려 그 위에 적힌 깨알 같은 문자를 해석하며 자신들이 기대했던 것들이 조금씩 무너져 내리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 그렇게 소년의 말은 <여름으로 가는 문> 전체의 포문을 연다.

2. 통로 – 침묵 속에서 생성된 폐허의 이미지들

소년의 답, 줄넘기 영상을 보기 전에 관객들은 약 14m의 통로를 가로질러야 한다. 통로는 1층과 2층 사이의, 안도 밖도 아닌, 그야말로 떠 있는 공간으로 손잡이의 아크릴 문자가 끝나는 지점에서 시작된다. 무진형제는 이곳을 침묵과 공백을 상징하는 폐허의 공간으로 만들었다. 폐허의 공간은 흰 타일들로 뒤덮인 무결점의 질서정연한 공간이었다. 그 흰색의 타일들이 떨어져 나간 자리에는 검고 지저분한 벽과 앙상한 뼈대만 남았다.

폐허의 공간은 영상이 상영되는 공간, 아직 흰 타일이 아슬아슬하게 붙어 있는 공간을 서서히 잠식해 나가듯 뻗어있다. 그 흰 타일의 공간으로부터 '탁-탁-탁-탁' 하는 소년의 줄넘기 소리가 전시 공간 전체로 퍼져나간다. 그 소리에 맞춰 바닥 곳곳의 흑백 사진들이 빛을 발한다. 7개의 사진들은 각각의 속도와 리듬에 맞춰 경고등처럼 정신없이 깜빡거린다. 어두컴컴한 폐허의 공간을 안전하게 건너기 위해선 바닥에 웅덩이처럼 붙어있는 사진의 불빛에 의지해야만 한다. 하지만 그 사진의 피사체마저 불규칙한 균열들이 가로지르고 있는 폐허의 흔적들이다.

격자화된 세계에 덕지덕지 붙어있는 타일처럼 우리의 대화와 소통의 저변에는 상식과 도덕, 얄팍한 지식처럼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갖추어야 할 것들이 잔뜩 껴 있다. 폐허는 그 상식과 객관적 지식의 타일들이 깨져 나간 흔적들이다. 우리의 말과 언어로 다 표현하지 못하는 분절과 분열, 그리고 견고한 상식이 부서진 자리다.

소년과의 대화로부터 발생한 침묵과 공백은 실은 질문자의 질문과 의도가 더 이상 먹혀 들어가지 않는 곳을 상징한다. 기존의 상식으로 도저히 닿지 않는 영역. 소년과의 대화에서는 늘 그러한 공간을 지나는 기분에 휩싸였다. 붕괴되었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 물론 그 붕괴의 시간은 소년과 계속해서 관계를 맺고 있는 한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 어쩌면 소년과 대화가 불가능하다는 걸 빨리 알아채고 다른 소통을 시도한다면 폐허의 공간은 찰나에 지나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진형제는 이 공간을 좀 더 찬찬히 지켜보고 싶었다. 각자의 무언가가(상식, 믿음, 기대 같은 것들) 붕괴된 현장을 천천히 걸으며 전시장 입구에서 제기했던 의문들을 오랫동안 곱씹어 보기 위해서는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기 때문이다.

3. 통로의 끝 – 폐허로 돌아가는 길목에서

침묵은 과거의 질문과 응답이 멈춘 곳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마찬가지로 전시장의 폐허 또한 무언가 있다가 없어진 흔적들로 가득하다. 그 폐허를 빽빽하게 뒤덮고 있던 것은 다름 아닌 흰색 타일들이다. 지루하고 빽빽하게 붙어있던 흰색 타일들은 우리의 상식틀, 격자화된 세계에 덕지덕지 붙어있는 진보시스템의 조각들이다.

아직 그 찌꺼기들이 폐허로 뒤덮인 통로의 끝에 남아있다. 그 공간은 소년이 줄넘기 하고 있는 네모반듯한 공원, 가상의 기상도에 그려진 경계선들을 닮았다. 영상은 여름이란 시간과 격자화된공간 속에서 펼쳐진다. 타일처럼 균일하게 나뉘고 절단된 공간에서 소년은 줄넘기를 뛰고, 실시간으로 대기 흐름의 정보를 전달하는 기상도의 일부를 보여준다. 하지만 두 영상을 보다 보면 수치화된 예측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 격자의 세계에 유일한 오류처럼 움직이는 것들이 존재한다. 빽빽한 아파트 단지 속에서 제멋대로 줄넘기를 뛰고 있는 소년과 지구촌 어딘가에서 세력을 키우며 소용돌이 치고 있는 바람의 실선이다. 아마도 전시장의 흰 타일들도 이 두 움직임에 의해 균열이 나고 파열될 것이다.

공원에서 소년은 매일 아침 4000개의 줄넘기를 뛴다. 숨이 차거나 줄이 꼬일 때를 제외하고 쉬지 않는다. 그렇게 소년은 뭐라도 한다. 특정한 삶의 방향을 따르기 위한 행위를 하지 않고 있을 뿐이다. 줄넘기를 통해 소년은 다른 삶의 궤도를 그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바로 생장수장(生長收藏)의 자연 리듬이다. 태어나 자라고 거둬져 죽는다는 자연의 이치. 여름은 이 자연의 리듬 중 장(長)에 해당한다. 소년이 줄넘기를 뛰던 바로 그 여름이다. 인간 삶의 주기 또한 생장수장(生長收藏)의 리듬을 탄다. 소년은 지금 장(長)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 그의 여름은 두 개의 여름, 청년기 성장의 시기와 매년 찾아오는 뜨거운 계절이 순환 중이다. 그 여름이란 계절은 곧 가을로 접어들 것이다. 소년 또한 언젠가 늙고 병들어 수장(收藏)의 리듬을 타게 될 것이다. 어떠한 지향성도 없는 자연의 원리에서 죽을 듯한 무더위와 학업을 놓아 버린 소년 모두 자연스러운 순환의 리듬을 타며 살고 있을 뿐이다.

그 순환의 리듬 끝에 늙은 사마귀 한 마리가 있다. 온몸이 마른 나뭇가지처럼 삐쩍 마른 진한 갈색의 늙은 사마귀는 소년의 주위를 맴돌며 줄넘기 하는 모습을 한참 동안 바라본다. 그 사마귀는 죽음에 가까운 폐장(廢藏)의 리듬을 타고 있을 것이다. 뜨겁게 성장(成長) 중인 소년을 바라보는 폐장(廢藏)의 몸짓과 시선이 매우 미묘하다. 무슨 생각을 하며 소년을 바라보고 있을까. 채 1년을 살지 못하고 죽는 짧은 생애지만 그의 몸체는 소년보다 앞서 삶의 여러 주기를 통과해 온 흔적들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늙은 사마귀의 몸은 땀에 젖어도 솜털이 부숭부숭한 소년의 몸과 대비된다. 영상에서는 이러한 대비를 교차 편집해 보여준다. 여름의 한 공간 속에 공존하는 서로 다른 삶의 리듬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두 번째 영상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지구의 몸체를 조망한다. 지구 대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가상의 기상도 영상들 중 일부를 편집한 영상이다. 이 영상은 지구의 몸체로부터 벌어지고 있는 기온과 계절의 대비, 대기의 흐름 등을 무작위로 보여준다. 특히 하얀 실선으로 표시된 바람의 흐름에 주목한다. 지구의 몸체를 가르는 모든 경계선과 수치들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기온과 계절을 순환시키기 때문이다. 때문에 첫 번째 영상에서 소년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그의 주변 세계의 풍경을 포착했다면, 두 번째 영상에서는 바람의 실선을 기준으로 조금씩 변화해 가는 지구의 몸체를 담아냈다.

영상을 마지막으로 <여름으로 가는 문>이 모두 끝난 것 같다. 하지만 통로의 끝에 이른 관람객들은 다시 한 번 통로를 통과해야 전시장을 나갈 수 있다. 입구의 아크릴 문자와 통로 끝의 2채널 영상은 모두 폐허의 통로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관객들 각자가 지니고 있던 의문은 그 통로를 지나며 공고해지거나 혹은 바뀌게 될 것이다. 전시장 안을 맴도는 의문과 생각들이 무엇이든 관객들 각자가 풀어보기 바란다. 다만 관람객들에게 마지막으로 던지는 질문이 있다.

두 번째 영상을 보며 관객들은 지구의 몸체 일부를 보았다고, 아니면 적어도 그것을 최대한 실제에 가깝게 재현한 것이라 여길 것이다. 디지털 기기를 통해 내려다본 기상 영상은 마치 우주에서 지구를 내려다보고 있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기상도가 제공하는 정확한 예측과 실시간 정보를 통해 지구의 실체와 실제 움직임이라 여기는 것이다. 미세먼지가 이동하는 방향, 빨갛게 달아오른 한반도의 여름, 태평양 어디쯤에서 점차 커져가는 태풍의 크기, 인도와 중국 하늘을 뒤덮은 온갖 오염물질 등. 그 안에는 결국 우리가 보고 싶고 필요로 하는 정보들로 뒤덮인 가상의 지구가 있다. 과연 이 이미지가 소년이 줄넘기하던 그 날의 대기와 같은 것일까. 소년의 등 뒤로 불던 바람과 가상의 기상도 속에 표시된 흰 바람의 실선이 과연 같은 것인가.

그 가상의 지구는 애초에 우리가 소년에게 던진 질문, 그의 이탈된 삶을 걱정했던 시선이 만들어낸 정보체이다. 그곳은 편리한 삶 속에서 공통으로 추구하는 것, 필요로 하는 정보만 남은 지구의 이미지다. 결국 손바닥 안에 들어있는 지구를 전지적 시점으로 바라보고 있는 건 우리가 보고 싶어하던 지구를 보는 것이며 그 밖의 우연성과 필요성을 벗어난 것들은 모두 제거된 모눈종이 같은 곳이다. 그걸 확대하고 또 확대하면 궁극적으로 무엇을 보게 될까. 결국 우리가 살고 있는 곳, 바로 우리 자신의 자리이다. 최첨단 기술을 이용해 도달한 곳이 바로 우리 자신인 것이다.

두 영상은 <여름으로 가는 문> 전체 작업에서 건드리고 있는 객관적 지식과 상식을 기반으로 한 진보 시스템을 전혀 다른 방식으로 보여준다. 첫 번째 영상은 한 소년의 의지에 의해 그것이 무화된 세계를, 두 번째 영상은 온갖 수치와 언어 이미지를 통해 시스템이 재현되고 작동되는 방식을 비추고 있다. 영상이 끝나면 관객들은 다시 한 번 어두컴컴하고 울퉁불퉁한 폐허의 통로를 지나며 처음에 제기됐던 문제로 되돌아와야만 한다. 입장할 때 소년과의 대화가 끊긴 폐허의 자리에는 긴 침묵이 생성되었다. 두 번째 폐허에서 우리를 기다리는 것은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