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calized Good People
Technicalized Good People portrays today’s landscape where the entire ecosystem taken over by technology is sustained, from the images of chickens released in Nam June Paik’s artwork TV Garden. Both the vegetation and the video media in TV Garden, a place with plants and cathode-ray tube televisions, have been preserved, and maintain immortality through technology. However, this artificial utopia is somehow very similar to our own lives. It seems to reflect our technological reality in which we fill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with air purifying plants and we cannot live a single moment without smartphones until we sleep.
TV Garden does not merely represent the technology-driven lives of a distant future. The artwork, which centers around preservation and eternity, forms an ecosystem comparable to the one in the Galapagos Islands in the large lobby of an art museum, where the work is installed. Although considerable time has passed since the artwork was created, there are yet no signs of evolution, reproduction, genealogy or permanence in species. The appearances of the artwork’s living organisms and technology remain the same without going through life and death, decay and creation, as well as breakdown and destruction.
Chickens may be living beings that exist in reality like the plants or images of a virtual world, like the video playing on the CRT television screens. Whatever they may be, they follow the ways of life that are formulated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V Garden. In particular, even if they are real creatures, there are no eagles or maggots to consume their cadavers, as they are isolated from other species or the changes in the outside world, just like the plants and televisions. There exist only regulations and processes. The chickens in the artificial garden and settings cannot hatch eggs even if they lay them. Therefore, in order to preserve the chickens as they are, they need to be replaced via cloning technology in the physical world, and the devices that show their images need to be kept permanently in the virtual world.
If the chickens residing in such an ecosystem are real animals, they may reflect how our own lives and living environments are regulated and maintained by technology in a smart manner. On the other hand, if they are virtual ones, their lives that remain on 24/7 are close to immortality, which is what we humans wish to achieve through technology. In this regard, we travel between physical and virtual worlds, and live lives that cannot exist without technology, or rather have become technology per se. Meanwhile, the images of the chickens in the garden make us good people; there is no need to breed them in narrow cages, consume them as meat, or process them to be fed to other animals. However, in this seemingly perfect utopia, there are no life and death, or such phenomena as growth and aging in-between.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man and a woman in the video adheres to the ecological laws of the garden as well. They discuss Paik’s TV Garden and present-day technologies in distinctly dry voices. (What distinguishes these AIs from us is that they are immortal.) Technicalized Good People illuminates the complex minds of contemporary people, who produce countless discourses while quietly looking inside the fences of the natural and technological ecosystems — of those who are bred without doubt or resistance, even when the foundation of life itself has become technology.
* Project, The Trace of the Box
‘The trace of the box(櫃迹: Gwe Jeok)’ is the word composed of Gwe(櫃), which means the box containing the object, and Jeok(迹), which means the trace or footprint. In the work of Moojin Brothers, the Gwe(櫃) is the starting point of all the works. Gwe(櫃) such as box, bookshelf, chest, etc. is the space placing the book or materials required for work, etc, and at the same time, is the space that the tools, remaining materials and all kinds of memos are stored again when the work is finished. It can be the physical space that the beginning and end of work are repeated endlessly.
All the works starts and ends with the Jeok(迹). For Moojin Brothers, Jeok(迹) is the something like awe, question and strangeness. When some Jeok(迹) are found from the works of others contained in Gwe(櫃), new work starts and it becomes another question and story leading to next work.
The Trace of the Box(櫃迹) presented now have been started since 2017. Looking back the base of works, environment, etc. personally, I wanted to explore the geography in the same ages. Above all, I usually have some doubts on the press, information or knowledge in the SNS platform. Because exploring the conditions in the same ages around the contents in the timeline, which emerge and disappear repeatedly is seemed unreasonable. It needs to go further to different age, different background and far getting away from the current frame, which relies only on the information, That is why I selected the classic texts and images. with encountering with another age, I wanted to look our ages far away from it.
The work proceeded under the name of The Trace of the Box(櫃迹) is the work to explore this ages through the classic images and poetic language. So, all the works have a common point that the poetic language in the past were unraveled in various sites in this ages. I worked unraveling the poem of Hölderlin, Vasco Popa and Luis Carroll in the familiar and routine spaces such as ballot-counting site, Lotte World Tower, dawn market, new town apartment, etc.
As a result, Moojin Brothers used to discover the contemporary problems in the classic works and was able to capture diverse images in the routine spaces. For example, A Better World is the work that discovered the question about sacred world depicted by the poet in the ages of impoverishment from the “Bread and Wine” by Hölderlin and unraveled in the ballot-counting site of past Presidential Election. It captured the crowd that were divided by diverse political opinions and the ballot of many votes contained the aspiration of voter for better world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under the strict surveillance in the ballot-counting site. In addition, In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by Jules Verne and "Hunting of the Snark" by Luis Carroll, the images capture at the skyscraper and new town apartment complex and the written language, which rewrote the original test in the form of poem, were written down mixing them together
Originally, The Trace of the Box(櫃迹) is not the work having correct answer and clear direction. So, some people may consider these works as a results of misreading. However, Moojin Brothers consider that as the questions raised by works and I hope that you would appreciate that same way. Because Moojin Brothers did not make this works to give an answer. Rather, the work started in the questions was leaded to another question. In such questions, it is possible to share the linguistic images with the audiences. I hope that seeing the works of Moojin Brothers in the linguistic images, which were generated and disappeared in an instance, we would have time to be able to think over and appreciate the current problems calmly.
궤적(櫃迹) – 기술된 선인(善人)들
생태계 전체가 기술에 포섭된 채 유지되고 있는 상황을 백남준의 <TV 정원>과 그곳에 풀어놓은 닭의 이미지와 함께 그려보았다. <TV 정원>은 식물과 브라운관 티브이가 함께 놓여있는 공간으로 식물과 영상매체 모두 기술에 의해 보존되고 영생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 인공의 유토피아는 어딘지 우리의 삶과 너무도 닮아있다. 초고층 아파트를 공기정화 식물로 가득 채우고, 잠드는 순간까지 스마트폰을 내려놓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테크놀로지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듯하다.
물론 <TV 정원>은 단순히 먼 미래의 기술 지배적 삶을 반영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보존과 영생으로 점철된 <TV 정원>은 거대한 미술관 로비에서 갈라파고스 섬과 같은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작품이 만들어진지 꽤 많은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그곳에서 진화와 종의 번식, 계보와 영속성 등의 결과물은 보이지 않는다. 삶과 죽음, 부패와 생성, 고장과 파괴조차 없이 생명체와 기술의 외양이 늘 하나의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다.
닭은 식물처럼 실제 하는 생명체일 수도 있고, 브라운관 속 영상 이미지처럼 가상 세계의 이미지일지 모른다. 어쨌든 이들은 <TV 정원>의 생태계로부터 형성된 삶의 방식을 그대로 따르며 살고 있다. 무엇보다 정원의 식물과 TV처럼 다른 종의 생명체나 외부의 변화와 단절되어 있어, 혹 실제 하는 닭들이 죽어도 사체를 뜯어먹을 독수리나 구더기도 없다. 오직 보이지 않는 관리와 처리가 있을 뿐이다. 인공적인 정원에서의 인위적인 관리 속에서 닭들은 알을 낳아도 이를 부화시키지 못한다. 때문에 그들의 현재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하려면 물리적 환경에서는 복제 기술에 의지해 교체시키고, 가상 세계에서는 그들의 이미지가 담긴 기기장치들을 영구 보존해야 한다.
이런 생태계 속에서 살고 있는 닭이 실제하는 동물이라면 그를 통해 현재 우리의 생명과 거주 환경 등이 기술에 의해 어떻게 스마트하게 관리되고 유지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닭이 가상의 이미지라면 24시간 내내 꺼지지 않는 그의 삶이야말로 우리 인간이 기술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영생에 가깝다. 그렇게 우리는 물리적 환경과 가상 세계를 넘나들며 점차 기술이 없이는 살 수 없는, 차라리 기술이 된 삶을 살고 있다. 한편으로 정원의 닭 이미지는 우리를 선하게 만든다. 우리는 그들을 비좁은 케이지에서 사육하지 않아도 된다. 고기로 소비하지 않아도 되고, 다른 동물의 사료로 가공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그처럼 완벽해 보이는 유토피아로부터 우리는 생과 사 그사이의 성장과 노화 같은 것을 볼 수 없다.
영상에서 두 남녀가 나누는 대화도 이러한 정원의 생태계 법칙을 따르고 있다. 그들은 매우 건조한 목소리로 <TV 정원>과 오늘날의 기술에 대해 얘기한다.(AI인 그들이 우리와 다른 점은 영생에 있다.) 자연과 기술의 생태계의 울타리 안을 조용히 주시하며 무수한 담론을 생산하는 동시대인들의 복잡한 머릿속을 대변한다. 삶의 기반 자체가 기술이 된 상황에서도 아무런 의심과 저항 없이 사육되는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을 말이다.
* 궤적(櫃迹) 프로젝트
‘궤적(櫃迹)’은 문자 그대로 풀어보면 물건이 담긴 상자를 뜻하는 ‘궤(櫃)’와 발자국이나 자취를 뜻하는 ‘적(迹)’을 합한 글자다. 무진형제의 작업에서 ‘궤(櫃)’는 모든 작업의 시작점이다. 공간박스, 책장, 상자 등 ‘궤(櫃)’는 평소 책이나 작업에 필요한 재료 등을 넣어두는 공간임과 동시에 작업을 마치면 공구와 남은 재료, 그리고 온갖 메모들이 다시 저장되는 공간이다. 작업의 시작과 끝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물리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작업은 ‘궤(櫃)’에서 발견한 ‘적(迹)’으로부터 시작하고 끝을 맺는다. 무진형제에게 ‘적(迹)’은 누군가의 텍스트나 이미지가 주는 경외감, 의문, 낯섦 같은 것들이다. ‘궤(櫃)’에 담긴 타인의 작품으로부터 어떤 ‘적(迹)’을 찾아내면 새로운 작업이 시작되고, 그것이 또 다른 질문과 이야기가 되어 다음 작업으로 이어지는 식이다.
이번에 선보일 <궤적(櫃迹)>은 2017년부터 작업해 왔다. 개인적으로 작업의 기반과 환경 등에 대해 돌아보며, 동시대의 지형을 탐색해보고 싶었다. 무엇보다 평소 언론과 SNS 플랫폼 속 정보나 지식에 대한 의구심 같은 게 있었다. 한시적으로 떠돌다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타임라인 속 내용을 중심으로 동시대의 조건을 탐색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였기 때문이다. 정보에만 기댄 현재의 프레임을 벗어나 좀 더 다른 시대, 다른 배경, 그리고 더 먼 거리까지 가 볼 필요가 있었다. 고전 텍스트와 이미지를 선택한 이유다. 다른 시대와의 조우 속에서 지금 우리의 시대를 좀 멀찌감치 떨어져서 보고 싶었다.
지금까지 <궤적(櫃迹)>이라는 이름으로 진행했던 작업은 고전의 이미지와 시적 언어를 통해 동시대를 탐색하는 작업이었다. 때문에 작업 모두 과거의 시적 언어를 동시대의 여러 현장에서 풀어낸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선거 개표장, 제2롯데타워, 새벽시장, 신도시 아파트 등 익숙하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횔덜린과 바스코 포파, 그리고 루이스 캐럴의 시를 풀어놓고 작업했다.
그 결과 무진형제는 고전 작품으로부터 동시대의 문제들을 발견하기도 했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포착해낼 수 있었다. 가령 <좋은 세상>은 횔덜린의 「빵과 포도주」로부터 궁핍한 시대의 시인이 그려낸 신성한 세계에 대한 의문을 발견하고, 이를 지난 장미대선의 개표 현장에서 풀어낸 작업이다. 개표장의 삼엄한 감시 속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다양한 정치적 견해로 갈리는 군중들과 좋은 세상에 대한 열망이 담긴 수많은 유권자의 투표용지를 담아보았다. 또한 쥘베른의 「해저 2만리」와 루이스 캐럴의 「스나크 사냥」에서는 초고층 빌딩과 신도시의 아파트 단지에서 포착한 이미지들과 원 텍스트를 시의 형식으로 리라이팅 한 문자 언어를 뒤섞어 써내려가기도 했다.
애초에 <궤적(櫃迹)>은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고 한 작업은 아니었다. 그렇기에 어떤 사람들은 이번 작업들을 오독의 결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진형제는 그 또한 작업들이 제기한 의문으로 보고 함께 곱씹어 보았으면 한다. 무진형제 또한 답을 제시하기 위해 이번 작업을 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의문 속에서 시작된 작업은 끊임없이 또 다른 의문으로 이어졌다. 그러한 의문 속에서 관객들과 더 많은 언어 이미지를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순식간에 생성되고 사라지는 언어 이미지 속에서 무진형제의 작업을 보며 현재의 문제들을 좀 더 긴 호흡으로 숙고하고 곱씹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