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journey seeking for light

I am going to start this article by lamenting the reality that we have encountered. It is the situation where we cannot breathe because of things with lack of logic that are incredible even after seeing it and that are not recognizable even after listening to. There seems to be a saying that the reality is more brutal than a drama or movie. It is a painful time defined by an opaque struggle about a life every day. Who can we believe and rely on?

Looking at the dark reality of the present, I recalled 'M', which appeared in Moojin Brother's The Last Sentence (2015). I wondered what M has seen, having looking into M who was cleaning the underground pass everyday with an expressionless face and looking into his blank expression which was gazing the unidentifiable room after finding it. Would M be able to get out of the place? What M faced in the room would eventually opaque future? Where M and we are going to?

When looking at the work of Moojin brothers, including The Last Sentence, even though the content is not exactly identified, the lonesomeness of an aspect of life can be found through the dark tone screen and silent characters. But the silence of the characters is not lethargy in the darkness. It is the silence for gazing and at the same time, the silence to face the reality. This article is a fragmentary observation that reads out the works of Moojin brothers in three words: darkness, silence, and story.


Taking out darkness from the darkness

In fact, it is hard to find images of 'All color' in the works of Moojin brothers. (The scene where the most brilliant colors appeared in Moojin brothers was 'letter' of Scriptures of The Wind (2016). It was full of black, shadow or a dark tone scenery. The Field of M (2014), the first chapter of the public art project, was a black sculpture, and the inside of the space was never bright with only a small light.

After all, when it comes to the colors that appear mainly in the works of Moojin brothers, it can be referred to as achromatic colors. Through this, people face themselves completely (The field of M, 2014), observe a shadow of unidentifiable formative sculpture (Know, you, 2013) or find Odradek of Kafka (Odradek, 2013) or think about the base of their life whose value was lost. (Scriptures of the Wind, 2016)

There may be some reasons for using achromatic images but it is not likely to emphasize the pessimistic side of life. According to the writer's notes of Moojin brothers, they focus on catching the life of someone who gets highlighted shortly and disappears soon and the life whose life itself passes a subtle echo. Then darkness becomes an indispensable being because light can be clear only when darkness exists.

Light may be translated in many ways, but for Moojin brothers, it is perhaps a hope for an ordinary life. The hope may be the discovery of the possibility that can read a meaningless life differently, or an exit that can get out of the determinative definition that the world defines. When I reached this idea, I suddenly recalled Georges Didi-Huberman's "Sortir du Noir" (2015).
This book is a letter-type report sent to the film director of Laszlo Nemes from Didier-Weber Mann, having seen the Laszlo Nemes's film “Son of Saul (2015)”.

The film focuses on the terrible reality of Jewish concentration camps in which the main character of Saul (Sonderkommando) worked for during World War II. The screen is full of opaque scenes with achromatic color throughout its running time. The sharp sound clearly reveals gloomy and despair situation.

But as the uprising of the John Doe Commando to escape the shadow (of death) outbreaks, the film urgently proceeds. For the film, Didier-Weberman says that it did not forget the darkness, but instead pulled out the darkness from the abstract of darkness. It is an attempt as if to create light, although it is not a perfect light, but an attempt to make some light on the hole of the darkness.1

Moojin Brothers also visits the night by themselves, like Orpheus who wants to look straight into what it is hiding to dig out the memories2 and stories we have not seen in the dark, and also, we have been missing out. The story of reality so excavated is returned at the virtual stage of Moojin Brothers, not in a documentary.


Soundless clamor

“I don’t ask you to say. Listen to. Just listen to.” 3

The silence that face the darkness, the characters of Moojin brothers are silent. Instead of being forced to speak, a narration or subtitle of a third party that is off-screen appears. Noticeably, the way of speaking adopts abstract and literary clauses like the way a grandmother tells children a fairy tale.

Scriptures of The Wind is more prominent in a literary value and symbolism compared to the previous works. This work, made with stop-motion animation, raises a curiosity from the beginning. It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its subtitle - the only device that one can understand the context of Scriptures of The Wind - is abstract like a clause in a novel or poem.

We should observe and infer the lives of the two main characters based on these languages. The father who went to find 'it' for two brothers but could not come back and became a wind. Polishing ‘eggs’ that was passed down from the generation of the grandfather to the two brothers – although the reason is not known. Dance of Monster that appears in Borges’s book. The literary symbolism of each object is maximized in Scriptures of The Wind.

But there is a scene in which obscurity is reversed. A letter is delivered suddenly while two silent brothers were polishing "egg" hard, which symbolizes the brilliant life of someone. The phrase "Everything will be end and stay still" is filled with colorful colors in a full screen. This scene is one in which the clearest message is transmitted from Scriptures of the Wind, and the audience remind of the 4.16-year horror.

"Stay still", the meaningless control caused an irreversible tragedy and left a distrust. In the end, Scriptures of The Wind reveals the worries of generations who can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uch as the generation that issued orders, the generation that cannot be defied, and the shouting generation that calls for change.

Mirmecoleon is the last to appear at the end of the film, which is a compressed form of trouble. Moojin brothers say that the severance of a generation is similar to the shape of Mirmecoleon. The monster is the presence of a misfortune that cannot make any choice, not being able to do either vegetable or meet diet and just dies. Images of Scriptures of the Wind, including the symbolism and analogy of Mirmecoleon, now proves the importance of reading the meaning of symbols in Moojin's works.

In Soaring in Transition (2016), the role of 'story' expands with the image of the symbolized object. In this work, Moojin Brothers borrows the legends related to a serpent to talk about a house, i.e., the base and space of a life. A kid of a serpent after boiling and swallowing a serpent that appeared in the house. A serpent who appeared in front of a daughter-in-law who rabbited her mother - in - law. The serpent is a symbol of the anxiety of a house. Through 'Gua,' which means the child of a serpent, MooJin brother is trying to collect memories of life that are being destroyed through constantly developing cities, houses, and development.

The reason why Moojin Brothers has brought a story of a home into a theme is that they have lived in Paju, a city that has been transformed through a new city project, for over ten years. During the period, they have witnessed their life base changed and disappeared. Moojin brothers are going to recall that a house is space where not only a history of an individual but also a history of a community so where a story is created, although the meaning was quite narrowed down to a target of speculation and development or space where one just sleeps.

Likewise, Moojin brothers brings abandoned goods from a site where redevelopment and development, destruction and oblivion are repeated. Those items are like a pipe, a hose, with a long, slender shape. The images slowly sweep them from bottom to top as if the serpent ascend. The narration reverberating in a low voice along with a monotonous image, the tales that have been passed down to Moojin Brothers, the fate of Gua and the weight of a life.

The audience is imagining, listening to the story like a fairytale but never light. Just as we imagine the scene, having listened to our grandmother's old story. Soaring in Transition induces the imagination of the space of Gua by arranging video, installation, photograph, script along the story. Therefore, Soaring in Transition becomes a "field of story" in which audience creates a synesthetic image by mixing their visuals along with their hearing.

Moojin brothers will continue to collect one aspect of a life. Their greatest interest is the story of beings who are now living or surviving. There are a few things in the collection scene that remain in mind. The face of Granny Eetto Eetto, looking down in The Heap (2015), the face of M looking at the room where the owner is unknown, and the look of two brothers who are facing each other in Scriptures of The Wind. Only silent exists, leaving only a glimpse of the situation facing each character. The silent moment and a look are not forgettable. These scenes call back the same questions as mentioned above. Where are we all going?

No one knows what happened to them, but nevertheless, please find a little light to illuminate the darkness somewhere. It may sound typical, but there is definitely expectation for Moojin brothers. It's faint but like a candle, which may become a big light if collected.

1 Georges Didi-Huberman, 『Sortir du Noir』, Manil, 2016, p.25
2 Maurice Blanchot, 『The Space of Literature』, Chaeksesang, 1998, p.262
3 Maurice Blanchot, 『awaiting, oblivion』, translated by Junsang Park, Greenbee, 2009, p.17


Kim, Mi-Jung
Curator, Art Space Pool


빛을 찾는 여정

지금 우리가 맞닥뜨린 현실에 대한 한탄으로 이 글을 시작할까 한다. 보고도 믿을 수 없는, 듣고도 인정할 수 없는 어불성설의 일들로 가득해서 숨을 쉴 수 없을 지경이다. 현실이 드라마보다, 영화보다 더 잔인하다고 했던가. 하루하루 삶에 대한 불투명한 고전으로 고통스러운 시간이다. 이보다 더 괴로울 수 있을까. 누구를 믿고 누구를 의지해야 할까.

이렇게 작금의 어두운 현실을 보면서, 무진형제의 <결구>(2015)에 등장하는 ‘M’이 떠올랐다. 무표정한 얼굴로 매일매일 지하통로를 청소하는 M. 알 수 없는 방을 발견하고 그곳을 바라보는 M의 멍한 표정을 보면서 그때 M이 본 것이 과연 무엇인지 궁금해졌다. M은 그 곳을 벗어날 수 있었을까? M이 그 방에서 마주한 것은 결국 불투명한 미래일까? M은, 그리고 지금 우리는 어디에 있는 것인가?

<결구>를 비롯한 무진형제의 작품을 보고 있으면, 그 내용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 수 없어도 어두운 톤의 화면과 그리고 말없는 등장인물들을 통해 쓸쓸한 삶의 단면을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등장인물들의 침묵은 어둠 속 무기력함이 아니다. 응시를 위한 침묵이며, 동시에 현실을 마주하기 위한 침묵이다. 이 글은 무진형제의 작품을 어둠, 침묵 그리고 이야기, 이 세 단어로 읽는 소고(小考)이다.


어둠에서 어둠 꺼내기

사실 무진형제의 작품에서 ‘올칼라’의 영상은 발견하기 힘들며 (무진형제의 작품에서 가장 화려한 색채가 등장하는 장면은 <풍경(風經)>(2016)의 ‘편지’였다.) 흑백, 그림자, 혹은 어두운 색채의 풍경으로 가득하다. 첫 공공미술 프로젝트였던 <M의 장(場)>(2014)도 검은색의 조형물이었고, 내부도 작은 빛이 있었지만 결코 밝은 공간은 아니었다.

결국 무진형제의 작품에 주로 나타나는 색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무채색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속에서 사람들은 오롯이 자신을 마주하거나(<M의 장>), 정체 모를 조형물의 그림자를 관찰하기도 하고(<알다, 너를>, 2013), 카프카의 오드라덱(Odradek)을 발견하기도 하며(<오드라덱>, 2013), 가치를 잃어버린 삶의 터전을 생각하게 되기도 한다.(<풍경>, 2016)

무채색 이미지의 사용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단지 삶의 비관적인 면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아닐 것이다. 무진형제의 작가노트에 따르면, 이들은 잠깐 빛나다 사라지는 어느 사람들의 이야기 그리고 그 삶 자체가 묘한 울림을 주는 누군가의 반짝이는 삶을 포착하는데 주력한다. 그렇다면 빛은 어둠이 있어야 더 선명할 수 있기에, 어둠은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가 된다.

빛은 여러 가지로 번역될 수 있을 테지만 아마 무진형제에게는 보통의 삶에 대한 희망일 것이다. 그 희망은 무의미해 보이는 삶을 다르게 읽을 수 있는 가능성의 발견이거나, 세상이 규정한 한정적 정의를 벗어날 수 있는 출구를 의미할지도 모른다. 이런 생각에 다다랐을 때, 문득 조르주 디디-위베르만(Georges Didi-Huberman)의 『어둠에서 벗어나기(Sortir du Noir)』(2015)를 떠올렸다.

이 책은 디디-위베르만이 라즐로 네메시(Laszlo Nemes) 감독의 영화 「사울의 아들(Son of Saul)」(2015)을 보고 감독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의 감상문이다. 영화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유태인 수용소에서 일했던 존더코만도(Sonderkommando, 수용소의 시체처리반) 사울을 주인공으로 당시의 끔찍했던 현실을 다루는데, 러닝타임 내내 화면은 무채색으로 불투명한 풍경으로 가득하다. 시야의 불투명함과 더불어 날카로운 사운드는 암울하고 절망스러웠던 당시 상황을 여실히 드러낸다.

하지만 (죽음의) 그림자에서 벗어나기 위한 존더코만도의 봉기가 발발하면서, 영화는 급박하게 진행된다. 디디-위베르만은 이 영화에 대해 암흑을 망각하지 않으며 반대로 어둠의 추상에서 어둠을 끄집어냈다고 말한다. 이는 마치 빛을 만들려는 시도이며, 완벽한 빛은 아니지만 암흑의 구멍에 대한 어떤 빛을 만들려는 시도이다.1 무진형제 역시 스스로 밤을 찾아가 그것이 감추고 있는 것을 직시하려는 오르페우스처럼,2 어둠에 가려 보이지 않던 그리고 우리가 놓치고 있던 기억과 이야기들을 들춰낸다. 그렇게 들춰진 현실의 이야기는 다큐멘터리가 아닌, 무진형제의 가상의 무대에서 환원된다.


소리 없는 아우성

“저는 당신에게 말하라고 요구하지 않아요. 들으세요. 다만 들으세요.” 3

어둠을 직시하는 침묵, 무진형제의 등장인물들은 말이 없다. 등장인물이 말하기를 강요받지 않는 대신 화면 밖 제3자의 나레이션 혹은 자막이 등장한다. 주목할 것은 이 발화의 방식이 마치 할머니가 아이들에게 전래동화를 들려주듯, 추상적이고 문학적인 구절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풍경>은 전작과 비교했을 때 문학성, 상징성이 더욱 두드러진다.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진 이 작품은 시작부터 궁금증을 자아낸다. <풍경>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장치인 자막이 마치 소설이나 시의 구절처럼 추상적인 탓도 있다. 그 언어들을 바탕으로 주인공인 두 형제의 삶을 지켜보고 유추해야 한다. 두 형제를 위해 ‘그것’을 찾으러 갔지만 돌아오지 못하고 바람이 되어버린 아버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오랫동안 아버지의 아버지 세대부터 두 형제들에게까지 이른 일인 ‘알’닦기, 그리고 보르헤스의 책에 등장하는 괴물들의 춤까지, 각 대상들이 가진 문학적 상징성은 <풍경>에서 극대화된다.

하지만 그 모호함이 반전되는 장면이 있다. 말 없는 두 형제가 누군가의 빛나는 삶을 상징하는 ‘알’을 열심히 닦는 와중에 갑자기 편지가 배달된다. “모든 것이 곧 종료되니 가만히 있어라”라는 문구는 화려한 색채로 화면에 가득 찬다. 이 장면은 <풍경>에서 가장 명확한 메시지가 전달되는 장면이며 관객은 4.16 세월호 참사의 기억을 바로 떠올리게 된다. “가만히 있어라”라는, 무의미한 통제는 돌이킬 수 없는 비극을 초래했고 불신의 상처로 남겨졌다. 결국 <풍경>은 명령을 내린 세대, 그것을 거스르지 못하는 세대, 그리고 변화를 부르짖는 세대 등 서로 소통하지 못하는 세대에 대한 고민을 드러낸다.

이 고민이 압축된 형상이 영상 마지막에 등장하는 미르메콜레온인데, 무진형제는 세대의 단절이 곧 미르메콜레온의 형상과도 비슷하다고 말한다. 사자의 머리와 개미의 몸을 하여 채식도, 육식도 하지 못하고 죽어버리는 이 괴물은 어떤 선택도 할 수 없는 비운의 존재이다. 미르메콜레온의 상징성과 비유를 비롯한 <풍경>의 이미지들은 이제 무진형제의 작품에서 기호의 의미를 읽는 행위가 중요해짐을 반증한다.

<비화(飛化)>(2016)에서는 기호화된 대상의 이미지와 함께 ‘이야기’의 역할이 확대된다. 이 작품에서 무진형제는 집, 즉 삶의 터전과 공간을 이야기하기 위해 구렁이와 관련된 전설들을 차용한다. 집에 나타난 구렁이를 삶아먹었더니 태어난 구렁이 아이, 매정한 시어머니를 저주한 며느리 앞에 나타난 구렁이 등 흔히 구렁이는 집안을 관장하고 집안의 우환을 상징하는 존재이다. 구렁이 아이를 뜻하는 ‘구아’를 통해 무진형제는 끊임없이 개발되는 도시, 집, 그리고 개발을 통해 무너지는 삶의 기억들을 모아보고자 한다.

집에 대한 이야기를 가져온 것은 무진형제가 신도시 사업으로 변모해온 도시인 파주에서 10년 넘게 살며 자신들의 터전이 변하고 스러지는 모습을 지켜봐왔기 때문이다. 집은 이제 투기와 개발의 대상으로, 혹은 고작 몸 누이는 공간으로 그 의미가 축소되었지만, 개인의 역사는 물론 공동체의 역사가 생산되는, 그래서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공간임을 무진형제는 상기하려 한다.

이렇듯 재개발과 개발, 파괴와 망각이 반복되는 현장에서 무진형제는 버려진 물건들을 가져온다. 그 물건들은 파이프, 호스 등의 길고 가느다란 형상으로 마치 구렁이를 연상시킨다. 영상은 이들을 천천히 아래에서 위로 훑어 마치 구렁이가 승천하듯 그려낸다. 단조로운 이미지와 함께 나지막이 울리는 나레이션에는 무진형제에게 전해져 내려왔던 설화들, 구아의 운명, 그리고 삶의 무게에 관한 내용들로 채워진다. 동화 같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그 내용에 귀를 기울이며 관객은 상상하게 된다. 마치 할머니의 옛날이야기를 들으며 그 장면을 상상했던 것처럼 말이다.

<비화>는 이야기를 따라 영상, 설치, 사진, 대본이 함께 배치되어 구아의 공간에 대한 상상력을 유도한다. 때문에 <비화>는 청각을 따라 시각이 혼합되어 관객이 공감각적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이야기의 장’이 된다.

무진형제는 계속해서 삶의 단면을 채집할 것이다. 그들의 가장 큰 관심은 지금 이 세상을 살아가는 혹은 살아내는 존재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채집의 장면 중 몇 가지 뇌리에 남는 것들이 있다. <더미>(2015)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이토이토 할멈의 표정, 주인을 알 수 없는 방을 바라보는 M의 얼굴, 그리고 <풍경>의 두 형제가 서로 마주보는 모습이다. 이 장면에는 모두 침묵이 흘렀고, 각 등장인물이 마주한 상황에 대한 응시만 남았다. 그 침묵의 순간을, 눈빛을 잊을 수 없다. 이 장면들은 다시 앞서 언급했던 것과 같은 질문을 소환한다. 우리는 모두 어디로 가고 있는가?

그들이 어떻게 됐는지는 아무도 모르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딘가에서 부디 어둠을 밝힐 자그마한 빛을 찾아주길 바란다. 상투적으로 들리겠지만 무진형제의 작품에 거는 기대가 그렇다. 아스라하지만 모이면 커다란 빛이 되는 촛불 같은, 그런 것 말이다.

1.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어둠에서 벗어나기』, 이나라 역, 만일, 2016, p.25
2. 모리스 블랑쇼, 『문학의 공간』, 박혜영 역, 책세상, 1998, p.262
3. 모리스 블랑쇼, 『기다림 망각』, 박준상 역, 그린비, 2009, p.17


김미정
큐레이터, 아트스페이스 풀